$\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분석을 이용한 산림치유마을 대상지 평가기준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Criteria for a Forest Healing Village Using AHP Method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1 no.1, 2015년, pp.117 - 127  

김성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허윤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서정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properties and items for selecting on a forest healing village. In order to assign a weight value-between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primary survey first and then the secondary survey for measuring the importance of items. Experts'surveys were conducted on 3 items 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림치유마을 조성을 위한 적지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속성 및 항목의 도출과 각 평가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적지선정 평가기준을 정립하여 산림치유마을 대상지 선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와 유사한 평가기준 선발 및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던 선행 연구에서의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Seo et al.
  • 본 연구는 우수한 산촌마을을 산림치유 거점지역으로 육성하고 소득증대 및 일자리창출 등 산촌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내용의 산림치유마을 대상지 선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목표로 전문가 설문 AHP 분석을 통해 3개 1계층 항목, 9개의 2계층 항목, 35개의 3계층 평가요소에 관한 중요도 선정 및 평가기준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4개 그룹으로 구분되는 전문가 집단의 설문의 3개의 계층으로 구성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계층의 물리적자원 속성의 중요도가 0.
  • 하지만 아직까지 산림치유를 테마로 산촌마을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와 어떤 특성으로 추진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며 당장 실행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적합한 대상지 선정에 대한 기준 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급하게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산림치유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적정한 대상지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차 기초설문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부여를 위해 1차 기초설문조사와 중요도 측정을 위한 2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 기초설문조사는 국립산림과학원 관련 연구자, 산림치유지도사와 숲해설가 등을 포함한 자연휴양림 관련 종사자, 각 도 및 시·군의 지자체 일반 공무원, 산촌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산림치유마을 적지선정의 기준이 되는 속성에 대한 의견제시를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적지선정을 위한 평가인자를 결정하였다. 이후 2차 설문조사는 1차 기초설문조사에서 결정된 평가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서 국립산림 과학원 관련 연구자, 산림치유지도사 및 숲해설가 등을 포함한 자연휴양림 관련 종사자, 사업과 관련된 각 도 및 시·군의 지자체 일반 공무원과 산림치유 관련학과 교수를 포함한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계층분석법에서 설문조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이후 2차 설문조사는 1차 기초설문조사에서 결정된 평가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서 국립산림 과학원 관련 연구자, 산림치유지도사 및 숲해설가 등을 포함한 자연휴양림 관련 종사자, 사업과 관련된 각 도 및 시·군의 지자체 일반 공무원과 산림치유 관련학과 교수를 포함한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 방법은 1차, 2차 설문조사 모두 현장 설문조사, 산림청의 협조공문을 통한 우편 설문조사 및 E-mail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1차 설문대상자(국립산림과학원 15, 산림치유지도사 22, 자연휴양림 관련 종사자 13, 일반 공무원 8, 산촌거주주민 7)에 대한 설문 회수율은 65명(81.
산림치유마을의 정의는? 산림치유마을의 정의를 살펴보면 Park(2010)은 산림치유의 공간이란 “치유의 숲, 자연휴양림 등을 포함하는 숲 환경과 도시림, 마을 숲을 포함하는 숲 환경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숲의 환경요소를 활용한 장소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향도원 평화생태마을(산림치유마을)을 조성·계획한 Goseong-Gun(2012)은 산림치유마을이란 “산림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 인문적 요소가 사람에게 미치는 물리적, 화학적, 심리적 영향을 활용하여 심신을 건건하고 건강하게 하는 자연요법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병증의 완화, 치료 및 회복을 도모하여 ‘온전함’을 추구하는 과정을 마을공간에 반영하여 주민이 생활하는 가운데에서 마을 공간 전체의 구성요소를 치유활동에 제공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보완한 곳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정의된 산림치유 및 산림치유공간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종합해보면 산림의 환경적 요소를 활용한 면역력 향상 및 건강증진을 의미하고, 산림치유마을이란 이러한 산림치유의 기능이 마을 공간 전체의 구성요소에서 제공되도록 마을단위로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마을의 개념을 “산촌의 산림자원 및 문화‧휴양자원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증진을 위해 마을 공간의 구성요소를 치유활동에 맞춰 조성한 마을”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oseong-Gun. 2012. Ecological Peace Town 'HyangDoWoen' Master Plan. 

  2. Ji. K. B. 2007. A Study on Forest Therapy Quarters Composition in Gangwondo.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3. Jung. C. H. 2011. A Study on Forest Therapy through Taoism. Journal of Asian Studies 35: 239-262. 

  4. Kim, S. H., J. W. Seo, Y. S. Park, J. H. Kim. 2013. An Analysis of Residents' Supplementation Demand and Expected Effect by Types of Mountai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71-80. 

  5. Kim, J. H. 1999. Division of Mountain Areas in South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3(3&4): 19-101. 

  6. Kim, S. H., J. W. Seo. 2014. A Study on Mountain Eco-village Reviralization through Social Economic Promo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3): 21-31. 

  7. Korea Forest Service. 2013. 6th Forestry Sector Industrialization Plan. 

  8. Park. B. J. 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 Park. S. J., S. H. Kim, W. J. Kim. 2013. A study on Criteria of Selection Heavy Lifting Service Provider Using QFD/AHP,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36(3): 51-62. 

  10. Park. S. H. 2013. Study based on facilities for the composition of the Forest Healing Villages. Graduate Department of Forest Therap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1. Shin. C. G., H. J. Sung, S. Lee. 2008. A study on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Investigation Priority Decision for Road Cutting Slopes Using AHP,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2(4): 107-114. 

  12. Seo. J. W., K. H. Kwak, S. M. Jeong, S. P. Pyo, K. W. An. 2011.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valuation Factors on Forest Carbon Cycle Community(F.C.C.C) using DHP Analysis Metho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4): 672-2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