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의 웰니스적 활용을 위한 치유의 숲 면적 기준 정립 연구 -대도시 지역(특·광역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ndard of healing forest size for application of forest area on wellness -focused on urban a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6, 2015년, pp.297 - 305  

정미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정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유리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박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김재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강증진을 위한 장소로서 산림을 이용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산림청에서는 산림을 이용하여 웰빙과 건강증진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융복합적 시도를 하였으며, 이를 '산림치유'라 정의하고, 치유의 숲을 조성하여 산림치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치유의 숲은 대도시와 접근성이 떨어지는 위치에 조성되어 있어 치유활동이 필요한 교통약자들이 산림치유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현재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면적기준은 대도시의 파편화된 산림 면적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대도시 치유의 숲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도시 치유의 숲에 대한 적정 면적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도시숲을 활용한 야외공간에 대한 조성면적 기준 현황을 검토하고, 치유활동이 필요한 교통약자의 보행권을 조사하여, 면적기준과 보행권의 분석을 복합적으로 진행하였다. 도시자연공원, 관광단지 등 유사 야외휴양공간의 면적기준에 비하여 치유의 숲 면적 기준은 대도시 환경에 맞추어 세분화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교통약자의 보행권을 고려하여 대도시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최소 면적기준을 산출한 결과, 국공유림 25만제곱미터 이상, 사유림 15만제곱미터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대도시 지역의 치유의 숲 적정 면적기준에 대한 정책적 근거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area was applied as health promotion place for resident. Korea Forest Service set the term of "forest healing" based on the application of forest area as health promotion, which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forest policy, and construct the "healing forest" for the healing space. Handicapp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대한 조성면적 관련 법적 기준과 제도를 검토하였다. 도시숲에서 활용한 적정 조성 면적과 기준정립에 대한 근거 등을 검토하여 대도시 치유의 숲의 조성 면적 기준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또한, 산림지역에 비하여 대도시라는 공간의 구분과 면적기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대도시에서의 산림과 녹지의 적정 면적을 검토하였다.
  • 숲길 길이는 운동효과가 나타나는 최적의 길이를 산출하여 반영하고자 한다. 미국 질병통제 및 관리센터에서는 운동시간에 대해서 신체활동의 최소기준으로 하루 20분, 주3일간이 적합하다고 주장하였다[14].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과 관련된 야외공간에 대한 법률상 적정 면적 기준을 분석하고, 노약자, 장애인의 보행 거리 등을 반영한 대도시 치유의 숲의 적정 면적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률에 제시된 도시숲 활용 야외공간에 대한 면적 기준, 기존 숲길 프로그램 실행 폭 산출식과 대도시에 주로 거주하는 교통약자의 보행권을 고려하여, 최소 조성면적기준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환경에서,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현재 도시환경은 인구과밀화, 오염물질 배출 등으로 인해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도시환경의 수용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도시 구성요소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가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도시환경의 쾌적성과 활용성 증진을 위해, 도시숲과 같은 그린인프라를 적극 활용해야 하는 이유는? 도시환경의 쾌적성과 활용성 증진을 위해서는 도시숲과 같은 그린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1]. 도시숲은 인구과밀화와 산업 활동 등에 의해 악화된 도시환경에 대해 온도저감효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도시민의 건강증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2].
산림치유란 무엇인가? 산림청에서는 2011년에 산림을 국민 건강증진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산림치유’라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산림치유는 숲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회복시키는 활동을 말한다(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2조). 또한, 이러한 산림치유 개념을 도입한 공간을 치유의 숲으로 명명하고 있으며,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산림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산림으로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A. Benedict, T. Edward, A green infrastructure: linking landscapes and communities. Island Press, 2006. 

  2. S. de Vries, R.A. Verheiji, P.P. Groenewegen, P. Spreeuwenberg, Natural environments-healthy environments. Environment and Planning, Vol. 35, pp. 1717-1731, 2003. 

  3. J. Lee, S. Park, C.W. Park, J.J. Kim,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s of visitors in the healing forest. Journal of Korean Recreation and Welfare Conference, Vol. 2013, pp. 1118-1120, 2013. 

  4. J.H. Choi, C.S. Shin, P.S. Yeoun, Effects of forest-walking exercise on functional fitness and gait patter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Vol.103, No.3, pp.503-509, 2014. 

  5. M.H. Lee, Y.K. Yoo,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steem, psychosocial behavior, emotional behavior and hand function in disabled pers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Vol.13, No.5, pp.9-16, 2010. 

  6. Green Research, The researches on ecotourism certification program developmen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118, 2010. 

  7. London Authority, Guide to preparing open space strategies-best practice guidance of the London plan. 2004. 

  8. Statistic Korea,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2010-2016). p. 62, Statistic Korea, 2004. 

  9. B. Pushkarev, Urban space for pedestrian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p.212, 1975. 

  10. B.G. Kang, B.G. Choi, A study of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neighbor hood facilities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17, No.1, pp.3-23, 1982. 

  11. G.K. Jeon, Biomechanical analysis of gait pattern in fall experienced elderly women.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008. 

  12. H.W. Park, S.K. Park, Changes of lower limb joints stiffness with gait speed in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29, No.7, pp.723-729, 2012. 

  13. Y.S. Shin, Assessment on the transportation environment of mobility handicapped.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2.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Jones & Bartlett Learning, p.265, 1996. 

  15. B. Berger, Running away from anxiety and depress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4. 

  16. H.G. Lee, 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 to Walking with Nordic Poles or Hand Weights on Treadmil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Vol.11, No.2, pp.9-17, 2009. 

  17. Korea Forest Service, Development of therapeutic program on forests. Korea Forest Service, p.501, 2011. 

  1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es on development of forest recreation program and interpretation skill in Korea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p.328, 1999. 

  19. J. Sanford, Molly Follette Story, M.L. Jon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ramp slope on people with mobility impairments. The Official Journal of RESNA, Vol.9, No.1, pp.22-23, 1997. 

  20. C.Y. Kim, K.W. Kim, Planning and Design of Forest Aromatic Bath Trails for the Handicappe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Vol.6, No.1, pp.1-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