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이용객의 긍정·부정 감정과 신체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Stay Forest Therapy Program on Us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Physical Change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544 - 552  

이범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국립산림치유원) ,  박충희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국립산림치유원) ,  박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2019년 진행된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숲 속 힐링스테이」에 참가한 49명을 대상으로, 참여 전·후 설문조사 및 혈압, 체성분, HRV 등 신체변화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후에 참여자의 부정감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율신경 균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진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병력 유무에 따른 체력측정 변화를 살펴본 결과 악력 및 제자리높이뛰기 증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병력이 있는 사람들이 병력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증진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형 프로그램 효과검증에서 벗어나 6박7일 장기체류 형태의 산림치유 효과성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Healing Stay in Forest," a long-term stay forest therapy program implemented by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in 2019 with 49 participants by measuring pre- and post-questionnaire responses and physical changes, such as blood pressure, body composi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9년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실시한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숲 속 힐링스테이」 참여자 49명을 대상으로 긍정·부정 감정 변화 및 신체적 변화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6박7일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이용객의 긍정․부정감정 및 신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후로 설문조사 및 신체변화 측정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
  • 이번 연구는 기존의 단기형, 회기형 산림 치유프로그램이 아닌 6박7일 이상의 장기체류 형태의 산림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조군 없는 사전․사후 비교 및 개인별 질병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단순 병력유무에 따른 효과분석을 진행하였고 비교적 비중이 많은 셀프치유시간 활동 유무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진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6박 7일의 장기체류 산림 치유프로그램이 이용객의 긍정·부정 감정 및 신체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이용객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관리와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활성화 및 프로그램 개발, 적절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기간 설정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프로그램은 치유숲길․정원의 지형을 활용한 산림 운동으로 걷기운동효과 증진,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스트레칭, 소도구 운동 등을 통한 각 부위의 근력증진과 이완, 마음을 다스리는 활동을 통한 정서적 안정 도모를 목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vay, C.G. 2017. Die Nature und als Aerztin und Psychotherapeutin. In: Der Biophilia Effekt, pp. 111-192. 

  2. Baek, S.H., Kim, E.J. and Shin, J.E. 2019.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Grip Strength of the Korean Senior Citizens: Focusing on Hypertension and Diabe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5): 2645-2656. 

  3. Bloom, D.E., Chen, S., Kuhn, M., McGovern, M.E., Oxley, L. and Prettner, K. 2020. The economic burden of chronic diseases: Estimates and projections for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Economics of Ageing 17, 100163: 1-13. 

  4. Choi, K.M., Shin, W.S., Yeon, P.S. and Cho, Y.M.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walking exercise on human, stress and fatigu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1): 61-66. 

  5. Coresh, H., Selvin, E., Stevens, L.A., Manzi, J., Kusek, H.W., Eggers, P. and Levey, A.S. 2007.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HAMA 298(17): 2038-2047. 

  6. Han, K.S. 2003. Perceived stress, mood state, and symptoms of stress of the patient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87-94. 

  7. Hong, J.Y., Park S.J. and Lee, J.W. 2019. Changes of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 and elderly through participation in dementia prevention and forest healing program.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2(6): 699-709. 

  8. Hwang, S.H. and Kang, J.H. 2019. Symptom clusters and quality of life changes according to recovery period of patients with heart valve surger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2(1): 1-12. 

  9. Kim. D.K. 2014. Impact of illness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ing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people with chronic illness. (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ersity. 

  10. Kim, K.O. 2020. The effects of daily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14(1): 5-21. 

  11. Kim, N.I. 2016. The effects of forest walking exercise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middle-aged men with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4(2): 25-33. 

  12. Kim, S.H. and Choi, Y.H. 2007. The influence of physical health on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775-788. 

  13. Kim, W., Woo, J.M., Lim, S.K., Chung, E.J. and Yoo, R.H. 2009. The effect of psychotherapy using forest environment on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8(1): 26-32.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9. Chronic disease fact book. Cheongju. pp. 6.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aial Affairs. 2019. A report on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of 2017. Sejong. 

  16. Lee, B. 2017.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index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nd topography of recreation forests. (Dissertation). Seoul. Kookmin University. 

  17. Lee, B.K. and Lee, H.H 2013. Effects of occupational and social stresses after forest therapy. Journal of Naturopathy 2(2): 108-114. 

  18. Lee, J.S., Yeon, P.S. and Choi, J.H. 2016. Effects of forestwalking exercise on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 1-9 

  19. Lee, J.W., Yeon, P.S., Park, S.H. and Kang, J.W. 2018.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on the stress and emotional change of emotional labo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2(3): 15-22. 

  20. Lee, M.S. 2010.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27(6): 5-30. 

  21. Lee, H.H. 2003.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935-946. 

  22. Lee, H.Y., Yoon, T.H. and Ju, S.B. 2018. Effects of forest trekking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maximum strength and VAS of perceived health in female university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6(2): 561-568. 

  23. Lim, Y.S., Kim, D.J. and Yeoun, P.S. 2014. Changes in depression degree and self-esteem of senior citizens in a nursing home according to forest therapy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 1-11.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Sejong. 

  25. Park, E.K., Ahn, W.H. and Oh, H.W. 2008. Relationships of hymodynamic variables, dementia, falling related fitness and lower extremity stregth in older person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4(2): 1237-1246. 

  26. Park, J.W. and Hwang, B.D. 2015.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characteristics on mental health of the aged with chronic diseas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1(1): 25-38. 

  27. Park, M.H. 2018.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long-term forest healing stay program. (Dissertation). Seoul. Kookmin University. 

  28. Park, S.H. et al.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on teachers' stress and PANA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1(6): 606-614. 

  29. Shin W.S., Yeon P.S., Lee, J.H., Kim, S.K. and Joo, J.S.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forest experience,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1): 27-32. 

  30. Sung, S.H., Park, J.H., Lee, Y.J. and Han, C.H. 2015.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forest therapy in the Korean Journal.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ltation 25(1): 63-70. 

  31. Sustainable Development Soulutions Network. 2020. World happiness report 2020. Newyork. 

  32. Theobald, K. and McMurray, A. 2004.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discharge planning for successful recov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7(5): 483-491. 

  33. Utriyaprasit, K. and Moore, S. 2005. Recovery symptoms and mood states in Thai CABG patie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6(2): 97-106. 

  34. Woo, J.M., Park, S.M., Lim, S.K. and Kim, W. 2012. Synergistic ef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1(4): 677-685. 

  35. Yeon P.S.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3): 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