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4, 2015년, pp.5 - 30  

서혜란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은영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장애인의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장애대학생도 증가하고 있지만,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는 별개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의 정보접근권 보장과 정보복지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대체자료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제작 공급체계와 시각장애대학생들의 대체자료 이용 현황과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담당자와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 방안으로 1)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역할 강화, 2)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3)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제도적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ttention to higher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But, there is no concern for successful university lif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ystematic learning-support systems for enhancing the rights of college student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체자료가 시각장애인에게 필요한 이유는? 대체자료는 모든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보장을 위한 출발점이며, 특히 장애대학생에게는 고등교육기회를 보장하여 기회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시각장애인은 통상 시력과 시야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정보자료의 접근에 있어서 일반인들과 달리 어려움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즉, 이들은 정보제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있는 그대로 이용할 수 없는 ‘자료적 장애’를 겪기 때문에 지식정보취약계층으로 간주된다. 이에 시각장애인들이 겪는 자료적 장애를 극복하고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자유로운 정보접근과 원활한 이용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그들의 사회참여를 확대하며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주는 첩경이 될 수 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별전형 제도의 실시목적은?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장애학생의 대학교육 기회 확대 및 직업재활을 도모하기 위해 장애인 등에 대한 특별전형(특수교육대상자 특별 전형 포함)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96년 특별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수가 217명이었던 것이 2014년 834명으로 18년 동안 4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4).
장애인 고등교육의 기회를 위해 정부가 해야하는 것은? 이에 따라 1996년 특별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수가 217명이었던 것이 2014년 834명으로 18년 동안 4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 2014). 이처럼 장애인 고등교육의 기회가 양적으로 확대됨과 더불어 이들의 학습지원에 대한 요구가 제기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고등교육활동에 필요한 각종 편의시설을 통한 학습효과증대 및 고등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법률 제12127호)과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2365호) 등이 그것이며, 이를 근거로 교육부에서는 2005년 부터 장애학생 도우미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등 장애대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교육부. 2013. 전국 장애대학생통계. 서울: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3. Statistics o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 교육부. 2014. 2014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세종: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4. Annual Report for Special Education 2014. Sejeong: Ministry ofEducation.) 

  3. 국립장애인도서관. 2015. 국가대체자료공유시스템 DREAM 서비스.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015. Direct Rapid Easy AccessibleMaterial Service DREAM Service.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Individuals withDisabilities.) 

  4.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11. 디지털파일 납본.기증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The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1. A Study onImproving Methods for Legal Deposit and Gift of Digital File. Seoul: The National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5. 국립특수교육원. 2012.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 매뉴얼. 아산: 국립특수교육원.(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12. Operational Manual for Service Center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 Asan: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Education.) 

  6. 국립특수교육원. 2015. 2014년도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실태 평가결과발표(보도자료). 아산:국립특수교육원.(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15. Evaluation Result Announcement of EducationWelfa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 2014 (Press Release). Asan: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7. 국민권익위원회. 2014. 시.청각 등 장애인 지식정보 접근성 보장을 위한 제도개선(대상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국민권익위원회.(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2014. Improvement of Legal System to Improve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arget Organization: Ministry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8. 국민일보. 2013. (기획) 학기도 다 끝나가는데 주문한 점자책은 무소식... '속수무冊' 시각장애대학생들 "속타네". 12월 10일.(The Kukmin Ilbo. 2013. Nothing Has Been Heard from Braille Book We Ordered, NeverthelessSemester Is Over.... 'Am at My Wit's End'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Is Burning". December 10.) 

  9. 김미선, 박중휘. 2010. 대학에서의 학업지원에 대한 시각장애대학생의 인식과 요구. 시각장애연구, 26(1): 25-41.(Kim, Mi-Sun and Joong-Hui Park. 2010.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Perception and SupportNeed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for the Learning-Support Systems of University."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6(1): 25-41.) 

  10. 김영일. 2009. 시각장애인의 도서관자료 접근.이용권 확대 방안. 시각장애연구, 25(3): 1-13.(Kim, Young-Il. 2009.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Rights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in Accessing and Using Library Material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25(3): 1-13.) 

  11. 김영일. 2010. 시각장애인복지론. 파주: 집문당.(Kim, Young-Il. 2010. Social Welfare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Paju: Jipmoondang.) 

  12. 도서관법. [시행 2010.8.18.] [법률 제 11310호, 2012.2.17., 일부개정](Library Act. [Enforcement Date Aug. 18, 2010.] [Act No. 11310, Feb. 17, 2012., PartialAmendment]) 

  13. 독서신문. 2015. 국립중앙도서관, 시각장애대학생 편의 위한 대체자료 제공 확대. 3월 9일.(Readersnews. 2015.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Expansion of Alternative Material Servicesfor the Sak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in University. March 9.) 

  14. 동아일보. 2015. 시각장애 학생 점자교재 마련 '깜깜'. 3월 17일.(Dong-A Ilbo. 2015.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Provision of Braille Text Is Jet black.March 17.) 

  15. 박종배. 2013.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71-92.(Park, Jong-Bae. 2013.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Level of Service on AcademicLibrary Us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4(4): 71-92.) 

  16. 배수운. 2011.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Bae, Soo-Un. 2011. A Study on Vitalization of the Use of Alternative Material for People withVisual Disability in Korea. M.A.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 오영옥. 2013. 국내 점자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대체자료 활용 실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전공.(Oh, Young-Ok. 2013. Survey on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Blind and the Utilization ofAlternative Format Materials. M.A.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University of Korea, Major in Library Education.) 

  18. 윤희윤. 2010. 주요 국가의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정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29-49.(Yoon, Hee-Yoon. 2010. "Analysis of Alternative Formats Development Policy for the DisabledPersons in the Major Countries."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1(1): 29-49.) 

  19.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 2013.12.30.] [법률 제12127호, 2013.12.30., 일부개정](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Enforcement Date Dec. 30,2013.] [Act No. 12127, Dec. 30, 2013., Partial Amendment]) 

  20.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 2015.1.29.] [법률 제12365호, 2014.1.28., 일부개정](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Enforcement DateJan. 29, 2015.] [Act No. 12365, Jan. 28, 2014., Partial Amendment]) 

  21. 장애인복지법. [시행 2015.9.12.] [법률 제13216호, 2015.3.11., 타법개정](Disabilities Act. [Enforcement Date Sep. 12, 2015.] [Act No. 13216, Mar. 11, 2015., Other Lawsand Regulations Amended]) 

  22. 저작권법. [시행 2014.7.1.] [법률 제12137호, 2013.12.30., 일부개정](Copyright Law. [Enforcement Date Jul. 1, 2014.] [Act No. 12137, Dec. 30, 2013., PartialAmendment]) 

  23.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73-91.(Chung, Jae-Young. 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Services Model for Disabled Users in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73-91.) 

  24. 정재영, 정혜미. 2010.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89-207.(Chung, Jae-Young and Hye-Mi Jeong. 2010. "Improvement Plan for Library Services Throughthe Disabled Users' Needs Analysis in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Korea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189-207.) 

  25. 진명구. 2014. 장애인 대체자료 제작지원 확대해야. 국회도서관보, 2014/9: 64-66.(Jin, Myung-Gu. 2014. "Provision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Individuals with ImpairmentShould Be Expanded." National Assembly Library Monthly Magazine, 2014/9: 64-66.) 

  26. 최민석. 2007.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권과 직업의 자유. 공익과 인권, 4(1): 319-334.(Choi, Min-Seok. 2007. "Access Rights to Information and Occupational Freedom of Individualswith Visual Impairment." Public Interests and Human Rights, 4(1): 319-334.) 

  27. the 300. 2015. 장애인도서 디지털파일 납본 의무, 유출 우려는?. 2월 26일.(the 300. 2015. Legal Deposit for Digital File of Book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Worry about Leakage?. February 26.) 

  28. Noh, Younghee, In-Ja Ahn and Miyoung Park. 2011. "A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2): 29-42. 

  29. Harris, Clare and Charles Oppenheim. 2003.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UK Further Education Libraries in Response to the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Disability Act (SENDA)."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5(4): 243-257. 

  30. Hernon, Peter and Philip J. Calvert. 2006. Improving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31. Reed, Maureen and Kathryn Curtis. 2012. "Experienc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Canadia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06: 414-425. 

  32. Whitehouse, Guy, James Dearnley and Ian Murray. 2009. "Still "Destined to be Under-read"? Access to Book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UK Higher Education." Publishing Research Quarterly, 25(3): 170-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