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 미디어접근권 향상을 위한 해설오디오 수용도 조사 및 분석
Survey and Analysis of the Audio Description Acceptance for Improving the Media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22 no.2, 2017년, pp.214 - 233  

장인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미디어연구소 미디어연구본부) ,  안충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미디어연구소 미디어연구본부) ,  서정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미디어연구소 미디어연구본부) ,  이은하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  강완식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체적 감각적 제약이 있는 장애인들에게 방송 시청은 정보 습득 및 여가 생활의 주요 수단이다. 최근 방송통신의 융합, 방송의 디지털 모바일화, 이용자의 능동적인 미디어 이용행태 증가 등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장애인의 방송 접근성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비장애인과의 정보격차가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2011년 7월 방송법의 개정으로 장애인방송 접근권 보장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고 2013년 국가정보화기본법의 개정으로 웹 접근성 지침의 효력이 커지면서 시청각 장애인의 미디어접근권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장애인을 위한 미디어 서비스는 여전히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미디어 접근에 필요한 해설오디오 서비스의 제공 현황을 알아보고 100명의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설오디오 서비스의 활용 실태,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people with physical or sensory limitations, broadcasting is the main means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eisure. Recently,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uch a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digital mobile conversion of broadcasting, and active media usage behavior of us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설오디오란 무엇인가? 해설오디오란 텍스트 형태의 화면해설 스크립트나 방송자막을 시각장애인이 오디오를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방송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장애인 미디어 서비스 기술이다. 대표적인 해설오디오 서비스인 화면해설 방송(Description Video Service)은 방송사에서 송출하는 영상에 대한 등장인물의 행동, 표정 등 상황 변화적 요소와 자막, 그래픽 등 시각적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음향으로 제공함으로써 영상의 내용을 시각장애인이 알 수 있도록 하는 시청편의 서비스이다.
시각장애인들이 방송과 인터넷 미디어를 이용하는데 여전히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미디어에 대해서는 2011년 7월 방송법개정으로 장애인방송접근권 보장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고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정으로 웹 접근성 품질마크 인증 제도가 도입되면서 화면해설방송·영화, 그림해설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시각장애인의 미디어접근성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렇지만 접근성의 발전 속도에 비해 콘텐츠 생산량과 다양성이 부족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상당히 제한을 받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2010년 초부터 해설오디오 콘텐츠의 저작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저작 기술이 연구되어 왔으며 시제품 단계를 개발 중이다[1,2,3].
시각장애인의 미디어접근성 향상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정보접근성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겠으나 접근성이 향상되어도 이용가능한 정보가 풍족하지 않다면 진정한 접근성 향상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미디어에 대해서는 2011년 7월 방송법개정으로 장애인방송접근권 보장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고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정으로 웹 접근성 품질마크 인증 제도가 도입되면서 화면해설방송·영화, 그림해설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시각장애인의 미디어접근성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렇지만 접근성의 발전 속도에 비해 콘텐츠 생산량과 다양성이 부족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상당히 제한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W. Lim, S. Yang and C. Ahn, "Descriptive video service using text to speech," Preceeding of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2013. 

  2. I. Jang, W. Lim and C. Ahn, "Descriptive video service contents authoring technique," Preceeding of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2014. 

  3. I. Jang, C. Ahn and Y. Jang, "Non-dialog section detection for the descriptive video service contents authoring,"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 19, No. 3, May 2014. 

  4. J. Song, et al., The Study of Expanding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 for the Disabled,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003. 

  5. Media Strategy Research Institute, Activating policy for audio-visual disabled people's viewing support servic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1. 

  6. J. Song, A Study on the media access improvement policy of broadcast marginalized groups including visually impaired, hearing impaired, elderly hearing loss,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010. 

  7.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nouncement issue 2011-53, Announcement of broadcasting access right guarantee for the disabled, which is including organizing and providing the broadcasting for the disabled, Dec. 2011. 

  8. D. Lee, J. Ryu and S. Jung, A study on verific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 for disabled persons,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1. 

  9. Korea Information Technology Agency, 2015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2015. 

  1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Disability Statistics,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015. 

  11. I. Jang, C. Ahn and J. Seo, "Study of improving media accessibility for the blind people," Proceeding of the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2015. 

  12. How to set the subtitle voice output of the Daum PotPlayer, http://daumui.tistory.com/36 

  13. Media Access Center (MAC), http://www.kbumac.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