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분포변화 예측모델
Prediction Model of Pine Forests' Distribution Chan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4, 2015년, pp.229 - 237  

김태근 (국립공원관리공단 보전정책부) ,  조영호 (경북대학교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보전정책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소나무림의 분포현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소나무림을 보전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후변화에 의한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림의 지리적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소나무림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종 분포 변화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MaxEnt 모델을 현재와 미래 시기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 적용하여 소나무림의 잠재적인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분포면적과 변화에 미치는 생물 기후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잠재적 분포지역은 남한지역에서 10~30년생의 소나무림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 소나무림에게 기후적으로 적합한 지역의 면적이 클수록 감소 지역은 커지고, 새롭게 확장되는 지역은 작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식 적합한 지역의 대부분이 중복되는 지역으로서 유사한 기후환경에서 소나무림의 연령대별 상호작용이 상호 촉진 관계에서 경쟁적인 관계로 변하는 데 기인할 것으로 추측된다. 기온변화보다 강수량이 소나무림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소나무의 지리적인 분포 변화는 평균적인 기후 특성보다 건조한 시기의 강수량 및 최고 한기의 기온과 같이 기후의 극한성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고 건기의 강수량에 의한 소나무림의 분포 변화에 대한 영향은 연령대와 상관없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기온 상승에 따른 수분결핍이 증가하여 결국 생장과 생리반응에 영향을 주는 가뭄과 연관된 기후환경이 조성되어 소나무림의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결과는 기존에 구축된 다양한 생물 자원 정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고, 자연생태계 분야에서 산림식생보전과 관련된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offer basic data to effectively preserve and manage pine forests using more precise pine forests' distribution status. In this regard, this study predict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change of pine forests growing in South Korea, due to climate change, and evaluates the spat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소나무림의 분포현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소나무림을 보전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후변화에 의한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림의 지리적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소나무림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종 분포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MaxEnt 모델을 현재와 미래 시기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 적용하여 소나무림의 잠재적인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분포면적과 변화에 미치는 생물 기후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소나무림의 분포현황을 이용하여 소나무림을 효과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기후변화에 따라서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림의 지리적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소나무림의 연령대별 분포 특성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종 분포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성이 검증된 MaxEnt 모델을 현재와 미래 시기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 적용하여 소나무림의 잠재적인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분포면적과 변화에 미치는 생물기후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소나무림의 분포현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소나무림을 보전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후변화에 의한 남한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림의 지리적 분포 변화를 예측하고 연령대별 소나무림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 평균기온이 3.7°C 오른다면 나타날 결과는 무엇인가? 7°C 오를 것으로 전망한다(IPCC, 2014). 이러한 급격한 기온 상승은 야생생물의 6종 중 1종이 멸종위험에 직면하게 하고, 점차적으로 고지대와 고위도로 이동을 초래할 것이다(Mark, 2015). 산림식생에서도 기온과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활엽수림이 북상하고 남쪽 지역의 침엽수림이 활엽수 혼효림으로 변화할 것이며, 미래에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이 증가하고 침엽수림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Shin et al.
MaxEnt 모델이란 무엇인가? 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서 소나무림 지역에 대한 현재와 미래 시기의 기후자료를 추출한 다음, MaxEnt 모델에 적용하여 예측된 소나무림의 잠재적인 분포면적의 차이를 영급별로 분석하였다. MaxEnt 모델은 생태적 지위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생물종이 출현하는 위치의 식생, 지형, 기후 등 다양한 환경 특성만을 이용하는 모델로서 기계학습방법(machine learning method) 중 하나이다(Phillips et al., 2006).
우리나라 산림지역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수종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산림지역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전체 산림의 25%정도를 차지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B.H. and H.J. Lee. 1999.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f Pine Forest.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2(1): 21-29. 

  2. Boldwin, R.A. 2009. Use of maximum entropy modeling in wildlife research. Entropy 11: 854-866. 

  3. Brooker, R.W. 2006. Plant-plant interactions and environmental change. New Phytologist 171: 271-284. 

  4. Chardon, N.I., W.K. Cornwell, L.E. Flint, A.L. Flint and D.D. Ackerly. 2014. Topographic, latitudinal and climatic distribution of Pinus coulteri: geographic range limits are not at the edge of the climate envelope. Ecography 37: 1-12. 

  5. Chun, J.H. and C.B. Lee. 2013. Assess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using Ecological Niche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19-233. 

  6. Elith, J., C.H. Graham, R.P. Anderson, M. Dudik, S. Ferrier, A. Guisan, R.J. Hijmans, F. Huettmann, J.R. Leathwick, A. Lehmann, J. Li, L.G. Lohmann, B.A. Loiselle, G. Manion, C. Moritz, M. Nakamura, Y. Nakazawa, J.M. Overton, A.T. Peterson, S.J. Phillips, K. Richardson, R. Scachetti-Pereira, R.E. Schapire, J. Soberon, S. Williams, M.S. Wisz and N.E. Zimmermann.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 129-151. 

  7. ESRI. 2011. ArcGIS Desktop: Release 10.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 Redlands, CA. 

  8. Fielding, A.H. and J.F. Bell. 1997. A review of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prediction errors in conservation presence/absence models. Environmental Conservation 24: 38-49. 

  9. Hijmans, R.J., S.E. Cameron, J.L. Parra, P.G. Jones and A. Jarvis. 2005. Very high resolution interpolated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 1965-1978. 

  10.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tocker, T.F., D. Qin, G.-K. Plattner, M. Tignor, S.K. Allen, J. Boschung, A. Nauels, Y. Xia, V. Bex, P.M. Midgley,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1.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gn Team, R.K. R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p. 

  12. Kim, G.N., S.H. Han and G.S. Park. 2014. Difference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Pigment Contents of Openpollinated Pinus densiflora Families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Drough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2288-1859. 

  13. Korea Forest Service. 2014. Statistical annual report of Forestry sector. 496p. 

  14. Kwon, J.O. 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evaluation for the nature-friendly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planning. Ph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C.S., J.H. Kim, H. Yi and Y.H. You. 2004. Seedling establishment and regenera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s in Korea in relation to soil moistur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9: 423-432. 

  16. Lee, K.J., J.W. Choi, W.K. Choi and B.H. Han. 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ears (1989-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188-199. 

  17. Lee, S.D., K.J. Lee and J.W. Choi. 2009.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3): 258-271. 

  18. Lee, S.M., Y.J. Chung, Y.S. Moon, S.G. Lee, D.W. Lee, H.Y. Choo and C.K. Lee. 2003. Insecticidal Activity and Fumigatin Conditions of Several Insecticides against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Larva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3): 191-198. 

  19. Mark, C. Urban. 2015. Accelerating extinction risk from climate change. Science 348: 571-573. 

  20. Phillips, S.J., R.P. Anderson and R.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21. R Core Team. 2015.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URL https://www.R-project.org/ 

  22. Seo, D.J., C.Y. Oh, K.S. Woo and J.C. Lee. 2013. A Study on Ecological Nich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3): 153-160. 

  23. Shin, H.J., G.A. Park, M.J. Park and S.J. Kim. 2012. Projection of Forest Vegetation Change by Applying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MIROC3.2 A1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 64-75. 

  24. Swets.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itic systems. Science 240: 1285-1293. 

  25. Williams, J.N., C.W. Seo, J. Thorne, J.K. Nelson, S. Erwin, J.M. O'Brien and M.W. Schwartz. 2009.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to predict new occurrences for rare plan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5(4): 565-576. 

  26. WorldClim. 2005. WorldClim - Global Climate Data, http://www.worldclim.org, accessed on: 20th August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