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irradiation이 Muscat bailey A 와인의 발효 및 페놀성 화합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Fermentation Properties and Phenolic Contents of Muscat Bailey A Wine by LED Irradiation Treatment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3 no.4, 2015년, pp.350 - 356  

김상욱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공학과) ,  한기동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Muscat Bailey A wine 제조에 있어 알코올 발효중 LED hormesis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453{\pm}4nm$, $522{\pm}3nm$ 파장의 LED를 must에 irradiate하며 발효특성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을 control group과 비교하였다. Control group에 비해 LED를 irradiate한 group의 유기산 조성 중 Lactic acid 함량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LED 파장의 젖산균 생육 저해 효과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중 yeast의 균수증가와 당 소모는 $453{\pm}4nm$ 파장의 blue LED를 irradiate한 group이 다른 group에 비해 발효초기 빠른 경향을 보였으나 3일 후에부터는 다른 group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22{\pm}3nm$ 파장의 green LED는 발효 초기에 다른 group에 비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LED irradiation이 발효 중 hormesis를 유발하여 yeast의 생육 속도와 발효액 내 생리활성물질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위 결과를 통해 와인발효 중 LED 자극에 의한 hormesis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LED hormesis가 어떤 기작에 의해 발효중 yeast의 생육속도를 향상시키고 포도 발효액 내의 생리활성물질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role of hormesis with light stimulation, however, the influence of light on fermentation is still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D (light emitting diode) hormesis and ethanol fermentation for Muscat bailey A wine was investigated. Two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처럼 light stimulation이 진균류나 식물의 생장에 hormesis를 유발한다는 사실은 다각적으로 밝혀진 바 있으나 발효중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Must에 상업용 효모를 접종한 후 발효액에 LED를 조사하여 Must의 발효특성과 생리활성물질 함량 변화를 확인하고, 와인 발효중 LED에 의한 hormesis의 유발과 이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ntrol group에 비해 LED를 irradiate한 group의 유기산 조성 중 Lactic acid 함량이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453{\pm}4nm$, $522{\pm}3nm$ 파장의 LED를 must에 irradiate하며 발효특성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을 control group과 비교하였다. Control group에 비해 LED를 irradiate한 group의 유기산 조성 중 Lactic acid 함량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LED 파장의 젖산균 생육 저해 효과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중 yeast의 균수증가와 당 소모는 $453{\pm}4nm$ 파장의 blue LED를 irradiate한 group이 다른 group에 비해 발효초기 빠른 경향을 보였으나 3일 후에부터는 다른 group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22{\pm}3nm$ 파장의 green LED는 발효 초기에 다른 group에 비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Luckey가 정의한 Hormesis의 정의는 무엇인가? Hormesis는 Arndt-Schulz rule로 알려져 있으며 Luckey [13]는 ‘잠재적으로는 위험한 수단이지만 낮은 용량으로 주는 자극’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유해 수준 이하의 자극은 긍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1888년 Hugo schulz에 의해 처음 그 개념이 도입된 후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ight stimulation이 진균류나 식물의 생장에 hormesis를 유발한다는 사실의 증거는? 이는 유해 수준 이하의 자극은 긍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1888년 Hugo schulz에 의해 처음 그 개념이 도입된 후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UV-light나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light stimulation이 메밀 새싹의 항산화물질 및 항산화활성을 높이거나[12], UV-hormesis이 딸기 생육 중 phenol성 화합물 함량을 증대[7]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ED irradiation이 큰느타리버섯의 갓 크기나 원기의 형성은 물론 에르고스테롤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또한 Aspergillus 속[6]이나 Neurospora 속에 관한 연구[17]에서도 LED가 mycelium 및 conidial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light stimulation이 진균류나 식물의 생장에 hormesis를 유발한다는 사실은 다각적으로 밝혀진 바 있으나 발효중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Method 69-7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rbosa CGV, Schaffner D, Pierson MD, Howard ZQ. 2000. Pulsed light technology. J. Food Sci. Special Supplement. 

  3.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4. Blois MS, Shigenar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90: 7915-7922. 

  5. Burns J, Gardner PT, Matthews D, Duthie GG, Lean MEJ, Crozier A. 2001. Extraction of phenolics and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red wines during vinification. J. Agric. Food Chem. 49: 5797-5808. 

  6. Chien WC, Ching KC, Chih JC, Liang YC. 2012. Effect of colour LEDs on mycelia growth of Aspergillus ficuum and phytase production in photo-fermentations. J. Photochem. Photobiol. 106: 81-86. 

  7. Cho YJ, Kim CJ, Kim JT, Kim TE, Bae KS, Kihl JY, et al. 2008. Effect of UV hormesis on phenolic contents in strawberries. Food Eng. Prog. 12: 143-148. 

  8. Dunn J, Ott T, Clark W. 1995. Pulsed light treatment of food and packaging. Food Technol. 49: 95-98. 

  9. Gut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0. Hosseinian FS, Li W, Beta T. 2008. Measurement of anthocyanins and other phytochemicals in purple wheat. Food Chem. 109: 916-924. 

  11. Jang MJ, Lee YH, Kim JH, Ju YC. 2011. Effect of LED light on primordium formation, morphological properties, ergoster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body in Pleurotus eryngii. Korean J. Mycol. 39: 175-179. 

  12. Lee SM, Jang JH, Nam TG, Kim DO, Kang H, Lee SW, et al. 2011. Effects of light emitting diode to seedling growth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in buckwheat. Korean J. Hort. Sci. Technol. 29: 67-67. 

  13. Luckey TD. 1980. Hormesis with Ionizing Radiation. Boca Raton: CRC Press, Inc. 

  14. No JD, Lee DH, Hwang YS, Lee SH, Lee JS.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wines during fermentation and post-fermentation.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6: 67-71. 

  15.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10. Code of liquor analysis. pp 39, 104-202. NTS, Seoul, Korea. 

  16. Song YA. 2001. A study on inactivation of Lactobacilli using intense light pulse.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Th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Iksan, Chonbuk, Korea, MS Thesis. 

  17. Talora C, Franchi L, Linden H, Ballario P, Macino G. 1999. Role of a white collar-1-white collar-2 complex in blue-light signal transduction. The EMBO J. 18: 4961-4968. 

  18. Wi HS, Na EY, Yun SJ, Lee JB. 2012. The antifungal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on Malassezia yeasts. J. Dermatol. Sci. 67: 3-8. 

  19. Zhuang XP, Lu YY, Yang GS. 1992.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ginkgo. Chinese Herbe Med. 23: 122-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