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자료 고찰을 통한 우리나라 약국서비스 시행 현황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of Community Pharmacies in Korea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5 no.1, 2015년, pp.18 - 26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김효정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  박혜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한나영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오정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지은희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recent change in pharmaceutical education system following the paradigm shift to patient-oriented pharmacy service requires an in-depth discussion to reorganize a future direction and establish a basis for maximizing social values of community pharmacy service. Objective: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로 나타났다. DUR 제도의 강화 및 확대가 필요하고 정책적으로 단골약국 이용을 통한 목표 달성이 가능함을 지적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발표된 문헌자료에 근거하여, 약국서비스의 현실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 그리고 처방검토를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의 조치에 있어서 처방자에게 문의하거나 처방변경까지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11) 이는 중대한 문제가 아니었거나 아니면 어떤 문제점이 발견되었더라도 처방자와 연락하여 논의하는 과정을 회피했을 수 있다. 정확한 이유까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울 수 있는 처방검토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져야만 처방전에 대한 상호점검 기능을 통해 의약품의 부적절한 사용을 예방하고자 한 의약분업의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사들이 자신이 한 복약지도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헌자료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는 주로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실시하고 있었는데, 중요한 점은 약사가 용법용량, 효능·효과, 부작용 등에 관한 복약지도를 한 경우 복약순응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며, 이것이 복약지도를 약사의 의무사항으로 정하고 있는 이유라는 것을 새삼 상기시켜 준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 보고된 바에 따르면 약국에서 실시되는 복약지도 업무는 대개 용법·용량이나 단편적인 사용법 정도의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특히 부작용에 대한 복약지도가 미진했으며,26) 결국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약물사용 관련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성격의 복약지도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이유인지 복약지도에 대해 약사 스스로도 만족하지 못하였고,15)여러 문헌에서 확인된 복약지도 장애요인들은 향후 복약지도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참고할 사항들이다.
약국이라는 환경에서 약사들이 제공하는 전문적인 서비스는, 어떤 행위로 볼 수 있나?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이용하고 있는 약국이라는 임상환경에서 약사들이 제공하는 전문적인 서비스는 지역주민의 건강 성과와 건강증진을 목표로 전문적인 건강지식을 환자/고객, 지역주민이나 다른 보건의료전문가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제공 하는 일련의 행위라고 볼 수 있다.3) 약국 약사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약료(pharmaceutical care)서비스로서,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약사가 책임감 있게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다.
복약지도를 약사의 의무사항으로 정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헌자료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복약지도는 주로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실시하고 있었는데, 중요한 점은 약사가 용법용량, 효능·효과, 부작용 등에 관한 복약지도를 한 경우 복약순응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며, 이것이 복약지도를 약사의 의무사항으로 정하고 있는 이유라는 것을 새삼 상기시켜 준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 보고된 바에 따르면 약국에서 실시되는 복약지도 업무는 대개 용법·용량이나 단편적인 사용법 정도의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특히 부작용에 대한 복약지도가 미진했으며,26) 결국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약물사용 관련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성격의 복약지도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ood pharmacy practice (GPP) in community and hospital pharmacy settings. The WHO essential medicines and health products information portal. 1996. 

  2. World Health Organization. Joint FIP/WHO guidelines on Good Pharmacy Practice: Standards for quality of pharmacy servic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2011;(961):Annex 8. 

  3. Moullin JC, Sabater-Hernandez D, Fernandez-Llimos F, et al. Defining professional pharmacy services in community pharmacy. Res Social Adm Pharm 2013;9(6):989-95. 

  4. Helper CD, Strand LM. Opportunities and responsibilities in pharmaceutical care. Am J Hosp Pharm 1990;47(3):533-43. 

  5. Badcott D. Professional values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pharmacy. Med Health Care Philos 2011;14(2):187-94. 

  6. Kim GJ. A study of pharmacy services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afte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The graduate School of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02. 

  7. Lee EK, Park JY. Estimation of the number of optimal dispensing cases for the community pharmacist.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01;11(4):88-108. 

  8. Chae HJ. A study on the behavior of patients and pharmacists to the dispensation procedur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edical system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drugs. Graduate School, Chonnam University. 2001. 

  9. Kim HA. Attitude and knowledge of community pharmacists to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Kor J Clin Pharm 2009;19(2):159-66. 

  10. Ko MS. Assessing Pharmacy Practice of Community Pharmacies in Korea. Ewha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s. 2003. 

  11. Hyun HS, Huh RH, Jung HJ, et al. An Outcome Analysis of the Outpatient Prescription Checking Program Operated by the Pharmacist in a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03;20(1):49-54. 

  12. Shin KS. Concomitant medication by multiple prescriptions causing duplication and severe drug interaction: During DUR pilot projects in Goyangsi and Jejudo. Kor J Clin Pharm 2011;21(2):106-14. 

  13. Lee UK, Park JY, Lee YH. Medication prescription abandonment and failure Analysis.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Policy Report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2-10. 

  14. Shin HT. Optimization of the medication education under the separation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Report of Health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2002. 

  15. Lee JH, Sohn HS, Shin HT. Quality evaluation of medication counseling in Korean community pharmacies. Kor J Clin Pharm 2009; 19(2):131-45. 

  16. Kim KM, Kim BR, Lee JS, et al. A survey on pharmacists' prescription behaviors for topical steroids in regions without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in Korea. Kor J Clin Pharm 2011; 21(2):161-9. 

  17. Shin IS. Drug-induced taste disorder during medication counseling in community pharmacy. Ewha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s. 2009. 

  18. Choi SY.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ut-patient's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Administration, Konyang University. 2006. 

  19. Yoon SH. Comparative evaluation of medication complianc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medication teaching in community pharmacie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Pha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2. 

  20. Lee BD. Development of pharmacist's professionalism and reducing of phamaceutical care cost after separation of dispensing from medical practice in Korea. The graduate School of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02. 

  21. Kim YJ. Evacuation of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for the community pharmacy services after separation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in Korea. Graduate School of Clinical Phar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1. 

  22. Kim JH. Research report on the organization of management budget analysis and proper preparation number of pharmacies. Health Sciences Institute, Inje University. 2002. 

  23. Hwang IK, Lee HJ, Choi SM. Proper management of the pharmacy and the number of index terms Improvement.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3. 

  24. Hwang IK, Lee HJ, Choi SM. Estimation of the conversion factor of reasonable price and relative value for the community pharmacy services in 2005.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4. 

  25. Kwon JW, Park EJ, Sohn H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compliance at community pharmacies-Based on the 3rd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Yakhak Hoeji 2011;55(6):500-9. 

  26. Yang HS. An approach on activation methods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by pharmacist. The graduate School of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13. 

  27. Yu YM, Choi SA, Lee MS, et al.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from the community pharmacy. Kor J Clin Pharm 2014;24(1):45-52. 

  28. Chae MK, Bang JS, Lee YJ. Patterns of over-the-counter drug use and interactions between over-the-counter drugs and prescription drugs in adults visiting a community pharmacy. Kor J Clin Pharm 2013;23(1): 49-56. 

  29. Choi BC, Kim JI, Sohn UD. A study for activation of pharmacy oriental medicine afte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actice. Yakhak Hoeji 2008;52(6):471-9. 

  30. Choi BC, Kang HS, Kwak HS, et al. Influence for pharmacy management by health functional food afte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actice. Yakhak Hoeji 2009;53(2):45-50. 

  31. Song MR. A study on pharmacists' distribution, awareness and cosmetics buying behavior.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3. 

  32. Kang HS. Influence for pharmacy management by health supplemental food after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actice. The graduate School of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03. 

  33. Baek KS. The role of pharmacy as specialty shop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e graduate School of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06. 

  34. Ryu JY. Study on cognizance of pharmacists about health functional food.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2006. 

  35. Joung HS. A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for cosmeceuticals in pharmacies. Graduate School of Cyber Cosmetics Industr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4. 

  36. Lee JY. A study for selling of cosmeceuticals in pharmac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7. 

  37. Lee YA. The awareness of animal pharmacies and the necessity of veterinary drug education for pharmacists. Graduate School, Chungbuk University. 2014. 

  38. Korea Institute for Pharmaceutical Policy Affairs. Asking to 24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members: Perspective on legislative issues and related systems. Journal of Pharmaceutical Policy Research 2006;(2): 30-71. 

  39. Jang KH. A study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drug education of pharmaciests in Seoul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or dru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linical Phamac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2. 

  40. Park EJ. Drug use and management by medical-aid subjects in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2. 

  41. Sohn HS, Shin HT. Economic value of pharmaceutical care for the elderly patients in community pharmacies. Yakhak Hoeji 2007;51(5):3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