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국 외에서 판매되는 안전상비의약품 설명서의 난이도 평가
Readability of the Product Labelling Information of Over-The-Counter Pharmaceuticals in Convenience Stor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5 no.1, 2015년, pp.27 - 33  

김락영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ince November 2012, some of over-the-counter (OTC) medications have been sold in convenience store without pharmacist' s supervision. We purposed to examine if the product labels of OTCs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consumers who may have low health literacy.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의약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구매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 13종의 의약품 설명서에 대한 평균적인 문해력을 가진 국내 소비자의 이해 가능성을 사용된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예측해 보았다. 연구 결과 안전상비의약품의 의약품 설명서에 사용된 어휘는 일반인의 평균 수준으로 가정한 초등 6학년 국어 교과서의 어휘 난이도에 비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안전상비의약품의 설명서와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적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부합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분석대상과 비교 대상을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전상비의약품 의약품 설명서에 사용된 어휘의 난이도를 조사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김광해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의 등급분류를 기초로 삼았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안전상비의약품에 대해 소비자의 안전한의약품 사용을 위한 정보 제공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의 편의점 판매가 시행 2년이 지난 것을 생각하면 이는 더 미룰 수 없는 시급성을 내포하고 있다.
  • 이들 단어를 각각 ‘새거나 흐르지 않게 마개를 꼭 막음’, ‘먹은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는 병’ 등으로 풀어서 표현하는 것이 소비자의 이해를 돕는 목적으로 더욱 적합할 것이다.
  • 특히, 안전상비의약품 설명서에 사용된 어휘를 국어교육용 어휘 난이도와 접목하여 융합적 시각에서 실시한 연구는 이인향 등의 연구2)가 유일했으며, 이마저도 안전상비의약품 중 2종에 국한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안전상비의약품 13종의 설명서와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적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부합 여부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마련함으로써 관련 논의의 시급성을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상비의약품이 편의점 등 전문가가 없는 장소에서의 판매가 허용됨으로서 생기는 우려는? 6%)의 순이었다.12) 이처럼 구매계층이 정보소외계층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의 한 연구는 안전상비의약품제도 시행 1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여전한 소비자의 인식부족과 부작용 대처능력 부족으로 인한 안전성 우려를 보고하고 있다.4) 안전상비의약품의 약국외 판매가 허용됨으로써 의약품 설명서에 대한 소비자 이해도가 현안이 되었으나 관련 논의는 우리 사회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문해자가 겪는 어려움은 어떤 것이 있는가? 상기 조사를 통해 우리 나라 성인 인구 중 65%가 중학생 평균의 70~80% 이하의 기초 문해력을 보유하고 있음도 드러났다. 상기 보고서에 따르면 비문해자가 겪는 어려움 중 첫째가 은행이나 관공서를 이용하는 것(71%)이었고, 두 번째가 사용설명서나 처방전을 모르는 것(67%)이었다. 비문해자가 아닌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에도 일상생활 중 ‘전문용어(48%)’, ‘어려운 한자어(18%)’, ‘외래어/ 외국어(18%)’를 접하면 이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기준 우리나라 성인의 비문해율은 얼마인가? 2008년 30년여 만에 이루어진 전국 규모의 기초 문해력 조사에서 우리나라 성인의 비문해율(즉, 문맹률)이 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1) 상기 보고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문해율이 선진국 평균 비문해율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CW, Suh H, Yoon JC, et al. National literacy survey.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2. Lee I-H, Lee HW, Je NK, et al. Assessment of readability and appropriate usability based on the product labelling of over-the-counter drugs in Korea. Yakhak Hoeji 2012;56(5):333-45. 

  3. Song Y-J, Yoo H-J. Exploring the standard and contents of drug labelling among Korea, China and Japan. Korean J Risk Manage 2010;6(2):139-62. 

  4. Kim EH, Bang JS. Changes in perception of consumers for non-prescription drug policy since sales begins at the outside of pharmacy. Korean J Clin Pharm 2014;24(3):183-92. 

  5. Ko SJ. 2.7-fold increase in side effects of acetaminophen during the recent 3 years. Doctor's news. 2014 October 10 2014. Available from: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Print.html?idxno99278 [accessed December 23, 2014] 

  6. Gunn VL, Taha SH, Liebelt EL, et al. Toxicity of over-the-counter cough and cold medications. Pediatrics 2001;108(3):E52. 

  7. Sheen CL, Dillon JF, Bateman DN, et al. Paracetamol toxicity: epidemiology, prevention and costs to the health-care system. QJM 2002;95(9):609-19. 

  8. Zarcadoolas C, Pleasant AF, Greer DS. Defining health literacy. Advancing health literacy: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San Francisco, CA: Whiley, 2006;45-67. 

  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oDPaHP. National action plan to improve health literacy. Washington, DC: Author, 2010; 

  10. Safeer RS, Keenan J. Health literacy: the gap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Am Fam Physician 2005;72(3):463-8. 

  11. Bazaldua OV, Kripalani S. Health literacy and medication use. In: DiPiro JT, Talbert RL, Yee GC, et al., eds.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8th ed. Columbus, OH: McGraw-Hill Education, LLC., 2011;5-6. 

  12. Lee SY, Yoon KJ, Lee JA. Changes in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OTC medications before and after convenience stores selling.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13. Sohn S, Kwon K. Health right and labelling system of drugs for convenience stor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2014;10(8):99-117. 

  14. Health Literacy Innovations. National survey of Medicaid guidelines for heatlh literacy. Health Literacy Innovations, 2007. 

  15. Kim K. Korean vocabulary for education. Seoul: Pagijong press, 2003. 

  16. Natmal. Institute of Korean Vocabulary Classification. 2008. Available from: http://www.natmal.com/ [accessed February 27, 2015]. 

  17. Kwon KH. Pharmaceutical products: Consumer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in accord with the purposes of product. 2012.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webzine/201201/12jan/kfda/ibook43.html [accessed January 5, 2015]. 

  18. Nam SJ, Yoo HJ. Information on medication and consumer competency. Consumption Culture Study 2010;13(1):21-37. 

  19. Krypel LL. Constructing a self-care curriculum. Am J Pharm Educ 2006;70(6):140. 

  20. Park S, Park EJ, Chae SM. Comparative analysis of drug labeling.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10;160:40-55. 

  21. Raynor DK, Knapp P, Silcock J, et al. "User-testing" as a method for testing the fitness-for-purpose of written medicine information. Patient Educ Couns 2011;83(3):404-10. 

  22. Brooke RE, Herbert NC, Isherwood S, et al. Balance appointment information leaflets: employing performance-based user-testing to improve understanding. Int J Audiol 2013;52 (3):162-8. 

  23. Knapp P, Raynor DK, Silcock J, et al. Can user testing of a clinical trial patient information sheet make it fit-for-purpose?--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ed 2011;9:89. 

  24. Haynes RB, Ackloo E, Sahota N, et al. Interventions for enhancing medication adherence.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2008;2: CD000011. 

  25. Lee IH, Kye S, Lee S. Consumer perspectives and utilization of drug information in Korea. Korean J Clin Pharm 2013;23(4):334-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