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인구에 있어 환자용 의약품 안전사용 설명서의 활용성 평가
Performance-based User Testing of a Patient Drug Leaflet in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6 no.1, 2016년, pp.6 - 12  

손미정 (영남대학교병원 약제부) ,  이인향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ad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drug information on a patient leaflet for the senior by employing performance-based user-testing. Methods: We included 36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as the senior group (intervention group) and 36 adults (40~59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user-testing 기법을 활용하여 의약품 정보의 활용성을 탐구한 국내 최초 연구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한계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 본 연구는 평균적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의약품 안전사용 설명서가 건강정보이해력이 보다 취약할 것이 예상되는 노인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인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5 세이상 노인그룹에서의 환자용 의약품 안전사용 설명서 활용가능성을 40~59세의 성인그룹과 비교해서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식약처의 온라인의약도서관에 공개되어 있는 환자용 의약품 안전사용 설명서가 환자, 특히 정보취약계층인 노인 인구의 약품 사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지 검증해보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 인구에 적합한 의약품 정보의 형태를 실증적으로 밝혀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특히 건강정보이해력 취약계층인 65세 이상 노인 그룹에 있어서 이해도를 개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식약처의 온라인의약도서관에 공개되어 있는 환자용 의약품 안전사용 설명서가 환자, 특히 정보취약계층인 노인 인구의 약품 사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지 검증해보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 인구에 적합한 의약품 정보의 형태를 실증적으로 밝혀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이해력이 부족하면 어떤 손실을 가져다 주는가? 3) 건강정보이해력이란, 보건의료 영역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읽기 및 계산능력 등의 기술로 올바른 건강 관련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 건강정보 및 의료서비스를 획득, 처리, 이해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 정도를 의미한다. 4) 건강정보이해력이 떨어지면 낮은 건강 지식 수준, 불량한 건강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의료서비스 이용률이 상승한다. 그 결과 보건의료비 지출이 상승하므로 사회 전반에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약품 사용의 안전성은 어떤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는가? 약품 사용의 안전성은 의약품 자체의 안전성과 더불어 소비자가 얼마나 안전하게 사용하는가의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될수 있다. 안전한 의약품 사용은 소비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전문 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잘 분류 하는 것과 더불어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가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양질의 정보가 제공되어야 가능하다.
약품설명서가 제대로 정보제공을 못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이 가해지는가? 약품설명서가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소비자는 합리적 약품사용을 통한 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비효율을 경험하게 된다. 9) 이는 소비자의 건강에 잠재적 위험 요소가 될 뿐 아니라 사회적 비용을 높이는 부정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10) 미국에서는 의학정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더 낮은 건강상태, 더 높은 진료횟수 및 입원율, 더 높은 비용과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olt GA, Hollon JD, Hughes SE, et al. OTC labels: can consumers read and understand them? Am Pharm 1990;NS30(11):51-4. 

  2. Bradley C, Blenkinsopp A. The future for self medication. BMJ 1996; 312(7034):835-37. 

  3. Ahlers-Schmidt CR, Chesser AK. Designing communication to improve comprehension in populations at risk for low health literacy. In: Moore R, Perry D, eds., Health literacy.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2013;1-41. 

  4. Osborne H. About health literacy. Health literacy from A to Z: Practical ways to communicate your health message. 2nd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3;1-8. 

  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oDPaHP. National action plan to improve health literacy. Washington, DC: Author, 2010. 

  6. Bazaldua OV, Kripalani S. Health literacy and medication use. In: DiPiro JT, Talbert RL, Yee GC, et al., eds.,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8th ed: McGraw-Hill Education, LLC., 2011;5-6. 

  7. Pawaskar MD, Balkrishnan R. Switching from prescription to over-the counter medications: a consumer and managed care perspective. Manag Care Interface 2007;20(1):42-47. 

  8. Bradley CP, Bond C. Increasing the number of drugs available over the counter: arguments for and against. Brit J Gen Pract 1995;45(399):553-56. 

  9. Roumie CL, Griffin MR. Over-the-counter analgesics in older adults: a call for improved labelling and consumer education. Drugs Aging 2004;21(8):485-98. 

  10. Weiss BD, Coyne C, Michielutte R, et al. Communicating with patients who have limited literacy skills: Report of the National Work Group on Literacy and Health. J Fam Pract 1998;46:168-76. 

  11. Coulter A, Parsons S, Askham J. Where are the patients in decision making about their own care?, WHO European Ministerial Conference on Health Systems. Tallinn, Estonia, 2008. 

  12. Haynes RB, Ackloo E, Sahota N, et al. Interventions for enhancing medication adherenc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8;2:DOI: 10.1002/14651858.CD000011.pub3. 

  13. Lee SY, Yoon KJ, Lee JA. Changes in utilization of and public perception about OTC medications before and after convenience stores selling.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14. Raynor DK, Knapp P, Silcock J, et al. "User-testing" as a method for testing the fitness-for-purpose of written medicine information. Patient Educ Couns 2011;83(3):404-10. 

  15. Park H-K, Jo Y-M, Choi H-J, et al.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safe use of medicines among adolescents and the elderly. Seoul: Korea Institute for Pharmaceutical Policy Affair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16. Kim SH, Lee E.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8;38(2): 195-203. 

  17. Park JY, June KJ.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1;22(1):75-85. 

  18. Weiss BD, Mays MZ, Martz W, et al. Quick assessment of literacy in primary care: the newest vital sign. Ann Fam Med 2005;3(6):514-22. 

  19. Wolf MS, Gazmararian JA, Baker DW.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Arch Intern Med 2005;165(17):1946-52. 

  20. Gazmararian JA, Williams MV, Peel J, et al. Health literacy and knowledge of chronic disease. Patient Educ Couns 2003;51(3):267-75. 

  21. Lee I-H, Lee HW, Je NK, et al. Assessment of readability and appropriate usability based on the product labelling of over-the-counter drugs in Korea. Yakhak Hoeji 2012;56(5):333-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