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의약품 대중광고에 대한 의약전문인과 일반인간의 인식 비교 연구
Comparisons of Perception on Direct-to-Consumer Advertisements of Prescription Drugs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Consumers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5 no.1, 2015년, pp.42 - 49  

오지운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김기태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안숙희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  곽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n direct-to-consumer advertisement (DTCA) of prescription drugs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consumers. Methods: The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6th to June 5th, 2013. The questionnaire wa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에 대하여 약사와 의사를 포함한 의약전문인과 일반인의 의견을 조사하고, 각 그룹에서의 기대와 우려사항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 결정을 위한 논의 과정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0(그저 그렇다) 이상이면 응답자의 해당 항목의 태도, 인식도, 기대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문항의 특성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질의하는 문항의 응답 값은 반대 값으로 변환하여 평균 척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하여 점수가 3점 미만과 3점 이상의 빈도를 조사하여 전문의약품 대중광고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 정도를 예측해 보았다. 전문의약품 대중광고에 대한 인식 조사 관련 설문지 문항의 구성은 <부록>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의약품 대중광고가 현행법상 금지되어 있는 국내 현실에서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의 필요성 및 허용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의약전문인과 일반인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에 대해 일반인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무엇이었나? 일반인은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문전약국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선행되었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22) 또한, 전문의약품 대중광고 허용에 따른 정보 전달의 필요성 및 효용성 측면, 환자와 의료인간의 소통 촉진의 측면, 의료인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보인 반면, 경제적 효용성에 대해서는 광고비 증가에 따른 약가(藥價) 증가에 대하여는 비교적 강한 우려감을 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전문의약품에 대한 대중광고를 금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전문의약품의 대중광고는 미국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금지하고 있으며, 캐나다에서는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다.1-4) 우리나라 현행법률도 국민들의 의약품 오남용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전문의약품에 대한 대중광고를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있다.5) 감염질환의 예방용 의약품을 광고하는 경우와 의약학에 관한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전달하거나 학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매체 또는 수단을 이용하여 광고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한국에서 전문의약품에 대한 대중광고가 허용되는 경우는? 1-4) 우리나라 현행법률도 국민들의 의약품 오남용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전문의약품에 대한 대중광고를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있다.5) 감염질환의 예방용 의약품을 광고하는 경우와 의약학에 관한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전달하거나 학술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매체 또는 수단을 이용하여 광고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onohue JM, Cevasco M, Rosenthal MB. A decade of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of prescription drugs. N Engl J Med 2007; 357(7):673-81. 

  2. Norey E, Simone TM, Mousa SA. The impact of direct-to-consumer advertised drugs on drug sales in the US and New Zealand. Appl Health Econ Health Policy 2008;6(2-3):93-102. 

  3. Mintzes B, Morgan S, Wright JM. Twelve years' experience with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of prescription drugs in Canada: a cautionary tale. PLoS One. 2009;4(5):e5699. 

  4. H. C. Kang. Study on Discussion for Deregulation of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of Ethical Drugs -Focusing on Cases of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European Union-. The Yonsei Law Review 2013;23(2):179-214. 

  5. The rules on the safety of drugs [Trial 2013, 3, 23] [Sub-Decree No. 1022, enacted 23/03/2013] 

  6. Digital BOSA, July 19, 2012. 

  7. Yakup Daily, May 23, 2012. 

  8. Kukminilbo, June 8, 2011. 

  9. Hankookilbo, May 5, 2014. 

  10. Etoday, Feb 3, 2012. 

  11. Healthkoreanews, July 1, 2008. 

  12. Yakup Daily, Dec 17, 2010. 

  13. Hankyung, Jan 12, 2011. 

  14. Liu Y, Doucette WR. Does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affect patients' choice of pain medications? Curr Pain Headache Rep 2008; 12(2):89-93. 

  15. Block AE. Costs and benefits of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the case of depression. Pharmacoeconomics 2007;25(6):511-21. 

  16. Abel GA, Chen K, Taback N, et al. Impact of oncology-related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prescriptions. Cancer 2013;119(5): 1065-72. 

  17. Datti B, Carter MW. The effect of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on prescription drug use by older adults. Drugs Aging 2006;23(1):71-81. 

  18. Martinez LS, Lewis N. The role of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in shaping public opinion surrounding prescription drug use to treat depression or anxiety in youth. J Health Commun 2009;14(3):246-61. 

  19. Murray E, Lo B, Pollack L, et al.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physicians' views of its effects on quality of care and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J Am Board Fam Pract 2003;16(6):513-24. 

  20. Chaar B, Kwong K.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Australian pharmacists' experiences with non-prescription medicines. Int J Pharm Pract 2010;18(1):43-50. 

  21. Desselle SP, Aparasu R. Attitudinal dimensions that determine pharmacists' decisions to support DTCA of prescription medication. Drug information Journal 2000;34:103-114. 

  22. Suh HS, Lee D, Kim SY, et al.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DTCA) for prescription drugs: consumers' attitudes and preferences concerning its regulation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2011;101(3):260-8. 

  23. Harrington AR, Desselle SP, Apgar DA, et al. Pharmacy student's opinions of direct-to-consumer advertising: A pilot study one university. Res Social Adm Pharm 2013;9(4):458-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