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Concept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5, 2018년, pp.1 - 9  

박미옥 (나사렛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가와 일반인 집단 사이의 정원과 공원에 대한 인식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문을 통해 정원의 영역과 규모, 예술성과 과학성, 공공성, 실용성과 심미성, 조성 및 관리 주체, 주재료 등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수목원정원법과 도시공원법에 대한 이해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정원과 공원의 속성을 도출한 후 전문가와 일반인에게 각각 설문조사를 통해 정원과 공원의 개념, 유사성, 차이점 등을 각각 분석하였다. 정원 및 공원의 범위에 대해서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에 비해 더 넓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정원으로 인식한 공간은 옥상녹지이며, 도시숲은 공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인 그룹은 도시숲을 정원으로도 인식하고 공원으로도 인식하여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전문가 그룹에서 정원은 소규모이고 공원은 대규모라는 인식이 더 우세했다. 대체로 정원은 개인공간이고 공원은 공공공간이라는 인식이 많게 나타났으며, 전문가 그룹에서 정원은 개인적이고 공원은 공공성이라는 인식이 더 우세했다. 일반인 집단은 전문가 집단에 비해 정원과 공원 모두 근소하게나마 예술적 창의성보다 기능적 과학성이 더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에게서 대체로 정원보다는 공원이 예술성과 과학성을 아우르는 복합성을 띠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은 식물재료가 중심이 되며, 공원은 조형물 시설물이 중심이 되거나 식물재료와 조형물 시설물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전문가 집단에 비해 일반인 집단에서 정원은 식물재료 중심이며, 공원은 시설물/조형물 중심이라는 시각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은 정원의 심미성을 더 강조하고 공원에 대해서는 실용성을 더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반인 집단은 정원과 공원의 실용성과 심미성에 대한 인식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인 집단에서 정원의 실용성이 공원의 심미성이 더 강조되어 상대적으로 공원에 대한 심미성을 더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 주체에 대해 정원은 민간부문으로, 공원은 공공부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차이는 전문가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관리주체에 대해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 공원이나 정원의 관리는 조성 주체가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관리주체의 다양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에서 정원과 공원 개념의 혼재와 더불어 일정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법적 제도와 인식에서도 아직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of perception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oncerning several aspects including scope, scale, publicity, artistic and scientific nature, main material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executive and management sys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수목원정 원법)』 이 제정되면서 정원의 개념적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공원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에 대한 한계가 모호하고, 관련 연구들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원 관련분야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정원과 공원의 법률과 정의 및 개념에 대한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 첫째, 정원 및 공원 법률에 대한 인식은 정원을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수목원정원법과 도시공원의 법적 근거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이하 도시공원법) 에 대해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척도는 5점 리커트척도로서 각 항목에 대해 1점(매우 아니다)~5점(매우 그렇다)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머물러 있는 정원과 공원의 기초적 인식은? 그런데 정원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은 불충분하여 정원을 소규모 사적 주택정원에서부터 대규모 공원이나 수목원, 도시 수준에 이르기까지 규모와 범위 등이 다양하게 혼재하고 있어 개념적 혼란이 야기되고 있고, 정원은 소규모이며 사적공간이고 공원은 대규모이며 공적공간이라는 기초적 인식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정원은 규모나 목적, 기능, 개념적 정의 등에서 공원 등 다른 토지이용과 뚜렷한 차별성이 없이 혼재되어 있으며, 정원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한 현실에서 정원산업이나 정원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원의 개념 정립 및 정의 등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아직 정원에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Park and Choi, 2018)이 정의한 정원의 의미는? 정원은 생태적 원리와 문화적 의미를 담은 과학적 프로세스에 의해 계획적으로 의도된 공간으로서 일상생활을 통해 쉽게 접근하여 생태계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생활공간이고, 실내외 모든 공간을 포함하는 자연생태공간이며, 문화공간으로서 자연과 인공을 연결하는 수단이다(Park and Choi, 2018). 정원의 어원은 고대 프랑스어 ‘jardin’에서 gardin, garten 등을 거쳐 중세에 garden으로 정착되었으며, court 및 yard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arver, S.(2012) (Re)Creating Wilderness: Rewilding and habitat restoration. in Peter Howard, Ian H. Thompson, Emma Waterton (eds) The Routledge Companion to Landscape Studies. 

  2. Hunt, J. D.(1999)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 Jenks, C.(2004) Nature talking with nature. Landscape Gardening. The Architectural Review. 

  4. Kim, H. J. and K. J. Lee(2017)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garden through the design of garden. Proceedings of Autumn Academy Conference of the Korea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Association. 

  5. Park, M. O.(2015a) A study on the functions of gardens as the ecosystem cultur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1(2): 115-123. 

  6. Park, M. O.(2015b) Urban regeneration and the evolution of gardens: Ecological culture functions and evaluation of gardens. 2015 Autumn Academ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7. Park, M. O. and J. H. Choi(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ecological functions of gardens. 2018 Spring Academy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8. Cambridge Dictionary https://dictionary.cambridge.org 

  9. Oxford Dictionary https://en.oxforddictionaries.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