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송이는 재배사라는 밀폐된 환경에서 재배되는 바 양질의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사 내 환경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양송이 재배사내 실내환경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재배사 내 온도와 습도는 $19.75{\pm}0.35^{\circ}C$, $87{\pm}3.67%$로 세균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조건이었으며, 부유세균의 농도는 $3.84{\times}10^3cfu/m^3$로서 환경부에서 고시한 실내공기질 오염유지 기준치인 $8.0{\times}10^2cfu/m^3$을 초과하는 수치였다. 분리된 부유세균은 Advenella kashmirensis, Bacillus vietnamensism, B. licheniformis, Burkholderia sordidicola, Fictibacillus phosphorivorans, Lysobacter daejeonensis, Microbacterium esteraromaticum, Pseudomonas aeruginosa, P. protegens, P. gessardii, P. mosseli 등 7속 11종으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cultivation is performed in closed environment, the understanding of indoor environment becomes essential for the quality and quantitative production of the greenhouse-grown mushroom. To generate information on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on fru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양송이 재배사내 공기에 존재하는 세균에 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양송이 재배사내 공기에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공기를 포집하여 세균 농도를 조사하고 어떠한 세균 종이 존재하는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용버섯으로서 양송이의 이점은? 양송이는 전 세계에서 많은 양이 재배되고 소비되는 버섯 중 하나이다. 식용버섯으로서 양송이는 건조중량 대비 19-38%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Braaksma and Schaap, 1996), 재배환경을 조절하여 비타민 D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가 되었다(Koyyalamudi et al, 2009). 약리효과로는 양송이 섭취시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가 되었다(Jeong et al, 2010).
양송이의 약리효과는? 식용버섯으로서 양송이는 건조중량 대비 19-38%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Braaksma and Schaap, 1996), 재배환경을 조절하여 비타민 D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가 되었다(Koyyalamudi et al, 2009). 약리효과로는 양송이 섭취시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가 되었다(Jeong et al, 2010). 
양송이의 퇴비배지는 어떻게 준비되는가? 퇴비배지는 크게 2개 단계로 나누어서 준비가 된다. 첫 단계에서는 재료를 혼합하고 발효시키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발효가 된 배지를 저온살균하고 병원균이 없는 퇴비를 선정한다(Randle and Hayes, 1972; Ross and Harris, 1983; Bech, 1973). 후발효까지 진행된 배지에는 양송이 종균을 접종하고 복토 후 재배에 들어간다. 양송이 재배에 있어서 퇴비발효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발효에 관한 연구는 다방면으로 많이 연구가 되어왔고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활력에 관해서도 많은 부분이 연구가 되어졌다(Adams and Frostick,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dams JDW, Frostick LE. 2008. Investigating microbial activities in compost using mushroom (Agaricus bisporus) cultivation as an experimental system. Bioresour Technol. 99:1097-1102. 

  2. Bech K. 1973. Preparing for productive commercial compost as a selective growing medium for Agaricus bisporus (Lange) Singer. Mushroom Sci. 10(2):77-83. 

  3. Blue SR, Singh VR, Saubolle MA. 1995. Bacillus licheniformis bacteremia: five cases associated with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Clin Infect Dis. 20:629-633 

  4. Braaksma A, Schaap DJ. 1996. Protein analysis of the comm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Postharvest Bio Technol. 7:119-127. 

  5. Dales RE, Zwanenburg H, Burnett R, Franklin CA. 1991.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home dampness and molds among child. Am J Epidemiol. 134(2):196-203. 

  6. Govan JRW, Deretic V. 1996. Microbial pathogenesis in cystic fibrosis: mucoid Pseudomonas aeruginosa and Burkholderia cepacia. Microbiol Rev. 60(3):539-574. 

  7. Jeong SC, Jeong YTm Yang BK, Islam R, Koyyalamudi SR, Pang G, Cho KY, Song CH. 2010. Whit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lowers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diabetic and hypercholesterolemic rats. Nutr Res. 30:49-56. 

  8. Kim JY, Kwon HW, Jang S, Choi MA, Ko HK, Kim SH. 2014. A study of bacterial concentration and species in the indoor air of green 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J Odor Indoor Envirion. 13(4):1-6. 

  9. Kiuouasu K, Osamu K, Teiji S, Maria O, Micheal AG, Dara WF, Thomas RM, Jeanine PWK. 1999. Pathogenesis of septic shock in Pseudomonas aeruginosa pneumonia. J Clin Invest. 104:743-750. 

  10. Koyyalamudi SR, Jeong SC, Song CH, Cho LY, Pang G. 2009. Vitamin D2 formation and bioavailability from Agaricus bisprous button mushrooms treated with ultraviolet irradiation. J Agric Food Chem. 57: 3351-3355. 

  11. Lane D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pp. 115-175, In Stackebrndt E, Goodfellow (ed.),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Press. United Kingdom. 

  12. Malika E, Loic C, Sophie V, Daniel I, Henri L. 1997. Pseudomonas monteilii sp. nov.,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t J Syst Bacteriol. 47(3):846-852. 

  13. Randle PH, Hayes WA. 1972. Progress in experimentation on the efficiency of composting and compost. Mushroom Sci. 8:789-795. 

  14. Ren P, Jankun TM, Leaderer BP. 1999. Comparisons of seasonal fungal prevalence in indoor and outdoor air and in house dusts of dwellings in one Northeast American county.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99(9):560-568. 

  15. Ross RC, Harris PJ. 1983. The signigicance of thermophilic fungi in mushroom compost preparation. Sci Hortic. 20:61-70. 

  16. Saitou N,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406-425. 

  17. Siersted HC, Gravesen S. 1993. Extrinsic allergic alveolitis after exposure to the yeast Rhodotorula rubra. Allergy. 48(4):298-299. 

  18.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2731-27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