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의원에서의 공급자 유인수요 실증분석: 유인수요 효과와 가용성 효과의 구분
Empirical Analysis of Supplier Induced Demand in Korea: Distinction between Induced Demand Effect and Availability Effect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1, 2015년, pp.53 - 62  

여지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형선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upplier induced demand (SID) indicates the case when doctors increase the demand of the patients, following their (physicians') own best interests rather than patients'. This may occur when asymmetry of information exists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This study aims to confirm wh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결합한 패널자료를 이용한 바, 이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선택하였다. 우선 지역특성을 나타내는 오차항 μi에 대한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을 통해 이를 고정된 모수(fixed parameter)로 간주하는 고정 효과모형을 선택했다.
  • 본 연구에서는 다른 의료기관에 비해 환자의 의료이용과 의사의 소득 간의 관계가 가장 직접적이며 관외 의료이용 비율이 낮아 공급자유인수요 분석에 적합한 의원을 대상으로, ‘의원 수’와 ‘의료이용’ 간의 관계를 ‘유인수요 효과’와 ‘가용성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한편으로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어온 의사인력의 지역적 편차와 관련해서도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의료인력의 과소공급 또는 지역적 불균형은 의료접근성을 낮추어 미충족의료(unmet need)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본 연구는 관외 의료이용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즉 해당 의원이 소재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그 지역의 의원을 이용하였음을 가정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건강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였지만 통제변수는 의료급여 수급자를 포함한 전체 의료보장인구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급자유인수요이란? 이때 의사가 ‘완전한 대리인(perfect agent)’ 역할을 하게 되면 적정서비스가 제공되지만 ‘불완전한 대리인(imperfect agent)’이 되는 경우 필요 이상의 수요 창출이 생긴다[2]. 이와 같이 의사가 환자의 이익이 아닌 자신의 이익을 지향하게 됨으로써 환자의 의료서비스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공급자유인수요(supplier induced demand)’라고 한다[3].
의료보장제도의 도입이 가져온 효과는? 의료보장제도의 도입은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환자의 경제적 장벽을 낮추어 의료서비스 이용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동시에 의사의 수요유인을 쉽게 해주었다[1]. 환자는 자신의 의사로 의료시장에 들어오는데, 이때에는 보험 가입 여부가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외국에서 공급자유인수요에 관한 초기연구는 주로 ‘가격 효과’와 ‘유인수요 효과’의 식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후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외국에서 공급자유인수요에 관한 초기연구는 주로 ‘가격 효과’와 ‘유인수요 효과’의 식별(identification)에 초점을 맞추었다[5]. 이후 ‘강제보험가입,’ ‘고정수가,’ ‘행위별수가제’의 환경을 갖춘 국가에서는 ‘유인수요 효과’와 ‘가용성 효과’의 식별 문제가 주된 쟁점이었다[4,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oon JH. A study of the suppler-induced demand hypothesis in the Korean medical industry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9. 

  2. Evans RG. Supplier-induced demand: some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Econ Health Med Care 1974;6:162-173. 

  3. McCarthy TR.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primary-care physician services market. J Health Econ 1985;4(2):93-117. DOI: http://dx.doi.org/ 10.1016/0167-6296(85)90001-3 

  4. Carlsen F, Grytten J. More physicians: improved availability or induced demand? Health Econ 1998;7(6):495-508. DOI: http://dx.doi.org/ 10.1002/(sici)1099-1050(199809)7:6 3.0.co;2-s 

  5. Wilensky GR, Rossiter LF. The relative importance of physician-induced demand in the demand for medical care. Milbank Mem Fund Q Health Soc 1983;61(2):252-277. DOI: http://dx.doi.org/10.2307/3349907 

  6. Schaumans C. Supplier inducement in the Belgian primary care market. Proceedings of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Centrum voor Economische Studien in its series Center for Economic Studies, discussion papers with number ces0718. Munchen: Center for Economic Studies; 2007. 

  7. Jurges H. Health insurance status and physician induced demand for medical services in Germany: new evidence from combined district and individual data. Mannheim: Mannheim Research Institute for the Economics of Aging; 2007. 

  8. Fuchs VR. The supply of surgeons and the demand for operations. J Hum Resour 1978;13:35-56. DOI: http://dx.doi.org/10.2307/145247 

  9. Rice T, McCall N. Factors influencing physician assignment decisions under Medicare. Inquiry 1983;20(1):45-56. 

  10. Cromwell J, Mitchell JB. Physician-induced demand for surgery. J Health Econ 1986;5(4):293-313. DOI: http://dx.doi.org/10.1016/0167-6296 (86) 90006-8 

  11. Sweeney GH. The market for physicians' service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an empirical test of the target income hypothesis. South Econ J 1982;48(3):594-613. DOI: tp://dx.doi.org/10.2307/1058653 

  12. Stano M, Cromwell J, Velky J, Saad A. The effects of physician availability on fees and the demand for doctors' services. Atl Econ J 1985;13(2):51-60. DOI: http://dx.doi.org/10.1007/bf02304180 

  13. Escarce JJ. Expla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surgeon supply and utilization. Inquiry 1992;29(4):403-415. 

  14. Roberfroid D, Stordeur S, Camberlin C, van de Voorde C, Vrijens F, Leonard C. Physician workforce supply in Belgium: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Brussels: Belgian Health Care Knowledge Centre; 2008. 

  15. Kim HW. An analysis of supplier induced demand for medical care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16. Chung IJ.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ost containment policy on the medical suppliers' behavior: focusing on the verification of the supplier-induced demand hypothesi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17. Oh EH.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fees and service intensity: based on the supplier induced demand theory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18. Kim CB. Test of physician-induced demand in Korea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19. Kim HJ. The effect of price regulation policy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Soc Welf Policy 2005;23:253-268. 

  20. Shin MK. Empirical analysis of supplier-induced demand using MRI service claims dat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1. Shin HW, Yoon JH, Lee CS, Lim JW, Hwang SM. An analysis of medicaid suppliers' practice behavior. Seoul: Ministry of Health Welfare Ministry; 2012. 

  22. Peacock SJ, Richardson JR. Supplier-induced demand: re-examining identification and misspecification in cross-sectional analysis. Eur J Health Econ 2007;8(3):267-277. DOI: http://dx.doi.org/10.1007/s10198-007-0044-7 

  23. Jeong HS. Future need and supply of practicing doctors in total and by specialty. Seoul: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