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역별 인정률 결정요인에 대한 패널분석
A Pane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Regional Variation in the Rate of Certification in Long-Term Care Insurance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7 no.1, 2017년, pp.56 - 62  

사공진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  송현종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re have been deviations in the regional rate of certification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the rate of certification in LTCI. Methods: The panel data of the year 2010-2014 of the 22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장기요양운영센터별 인정률(인정률 1 및 인정률 2)의 결정요인을 파악해보기 위해 전국의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의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개년의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다음과 같은 패널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지역 간 인정률의 격차나 편차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키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인정조사나 등급판정의 정확성을 제고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정조사의 정확성 향상을 통하여 인정률의 지역 간 편차에 대한 문제 제기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전국적으로 227개소의 장기요양운영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장기요양운영센터는 대체로 전국의 기초자치단체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단위로 배치되어 있다[1].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공단의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의 5년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장기요양운영센터 인정률 결정요인을 추정해 봄으로써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장기요양운영센터 간의 인정률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보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008년 도입된 제5의 사회보험인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금년에 도입 10년째를 맞이하면서 제도의 정착기를 거쳐 바야흐로 도약기로 접어들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모두 급여 수급자격이 주어지는 건강보험과는 달리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인정조사를 통한 등급판정을 득하여야만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를 수급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1]. 2016년 12월 31일 현재 장기요양보험 적용인구 수는 519,850명으로 전체 노인인구 중 7.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전국적으로 227개소의 장기요양운영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장기요양운영센터는 대체로 전국의 기초자치단체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단위로 배치되어 있다[1].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공단의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의 5년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장기요양운영센터 인정률 결정요인을 추정해 봄으로써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장기요양운영센터 간의 인정률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보는 데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률의 지역적 편차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조치가 시행되었는가? 35%를 기록하고 있다[2]. 이러한 인정률의 지역적 차이에 대해 지역 언론이나 국회 차원에서 그동안 문제를 제기하여 왔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역시 이러한 지역별 인정률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위 인정률 편차에 대한 분석 및 관리를 시행해 오고 있다. 이처럼 지역별로 요양인정률 및 등급판정률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2008년에 보건복지부, 건강보험공단, 학계 전문가,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인정률 편차관리 태스크포스’에서 논의를 시작하여 매년 요양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 간 격차를 모니터링하고 있다[3]. 그러나 그간 지역별 편차는 여전히 존재하여 왔고 이에 건강보험공단은 2013년부터 기존의 ‘인정자 수/65세 이상 노인인구 수’의 인정률(이하 인정률 1이라 정의함)에 추가하여 ‘인정자 수/등급판정자 수’(이하 인정률 2라 정의함)의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두 개념의 인정률을 함께 사용해 오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ang IO, Han EJ, Park CY. Factors affecting regional rate of certification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Korea J Health Policy Admin 2011; 21(3):381-396.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ertification of LTCI recipients.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3. Ha HS. Evalu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Seoul; 2015.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5. Kang IO, Han EJ. Analysis of factors on long-term care insurance certification rate and improvement policy for regional variation.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6. Sakong J, Yoon SY, Cho MD.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benefi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Korea J Health Policy Adm 2011;21(4):617-642.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1.21.4.617. 

  7. Nakamura H. The influence of the treatment condition on the regional difference of the certification rate of long-term nursing care. Welfare Indicator 2006;53(5):1-7. 

  8. Ando M. Empirical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 between nursing care benefit level and nursing care insurance premium. Social Security Research 2008;44(1):94-109.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Guidebook of elderly care program.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0. Kim D, Song H. Effect of acute hospital and nursing home supplies in inpatient expenditure of long-term care hospital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long-term care hospital. Korean J Res Gerontol 2013;33(3):647-659. 

  11. Yoo J. The supply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a registration ratio of nursing homes. Health Soc Welf Rev 2015;35(1):330-362.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1.330. 

  12. Sunwoo D, Seok JE, Lee JY, Lee JH, Lee EJ. An analysis on patterns of expenditures of long term care insurance.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13. Chung W. Determinants of demand for long-term care. KDI J Econ Policy 2009;31(1):139-167. DOI: https://doi.org/10.23895/kdijep.2009.31.1.139. 

  14. Lee G.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grade decisio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Korean J Res Gerontol 2010;19:97-113. 

  15. Lee S. A study on the percentage of deviation in judgment ratings by examiners and the level of judgment of the need assessment committee member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cusing on assessment committee members in the Gyeonggi-do and Incheon area. Korean Acad Pract Hum Welf 2013;11:145-1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