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건강수요 및 의료수요에 대한 분석: Grossman Model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Health and the Medical Demand in Korea: Using the Grossman Model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9 no.3, 2019년, pp.332 - 341  

황용하 (한양대학교 응용경제학과) ,  사공진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s health behavior on the health and the medical demand for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medical expenses. Methods: This study uses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data from 2010 to 2015. We utilize the panel ordered logit model and the pan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을 통제한 단기 의료수요를 추정함으로써 동일한 건강수준에서 건강행태가 의료비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의 결정요인을 이용하여 국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의료비와 의료이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생활습관이 건강과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의료비 지출은 건강과 음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Wagstaff[9]의 분석결과와 일치하며 개인은 건강할 때는 의료서비스를 적게 이용하다가 건강이 악화되면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 의료비 지출을 늘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Grossman [7,8]은 건강을 소비자가 건강함 그 자체로 높은 효용을 느끼는 소비재로서의 건강(pure consumption model)과 건강하면 건강일수가 증가함으로써 소비자가 노동과 여가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기에 생산성이 증가하는 투자재로서의 건강(pure invest model)의 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다. 이 연구는 투자재로서의 건강을 고려한 순수투자모델의 경우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는 횡단면분석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패널분석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누적흡연량을 사용하였는데, 2010년까지의 흡연량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이후 1년마다 평균 흡연량을 누적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흡연상태가 금연에서 다시 흡연으로 바뀌는 경우를 고려하기 위해 과거 흡연량에 흡연기간을 곱한 누적흡연량과 함께 금연 더미변수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보험의 재정 안정을 위하고 의료비를 관리하기 위해서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가? 8%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그 증가속도는 빠른 편에 속한다[3]. 이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의 재정 안정을 위하고 의료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더욱 건강해져 의료이용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았다[4]. 흡연, 음주, 비만 등의 건강에 해로운 요인들은 장기적으로 건강을 악화시키며 이는 의료이용을 증가시켜 건강보험의 재정을 악화시킬 것이다.
만성질환의 경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974년 캐나다의Lalonde [5] 보고서에서 공식적으로 ‘건강증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건강의 결정요인으로 환경 및 개인의 생활행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급성 질병이 중심이었던 과거와 달리 만성질환이 질병구조의 중심이 된 현재, 환자들의 건강행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6], 만성질환은 개인의 생활습관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으며 질환의 증상이 초기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건강행태의 변화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Grossman Model은 건강을 어떤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는가? Grossman [7,8]은 건강을 소비자가 건강함 그 자체로 높은 효용을 느끼는 소비재로서의 건강(pure consumption model)과 건강하면 건강일수가 증가함으로써 소비자가 노동과 여가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기에 생산성이 증가하는 투자재로서의 건강(pure invest model)의 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있다. 이 연구는 투자재로서의 건강을 고려한 순수투자모델의 경우를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statistics 2019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9 [cited 2019 Jul 2]. Available from: https://www.oecd.org/health/health-data.htm. 

  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dical expense major statistics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9 [cited 2019 Jul 24].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5030000&brdScnBltNo4&brdBltNo2393&pageIndex1.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ECD health statistics 2018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cited 2018 Sep 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 03&MENU_ID032903&CONT_SEQ345950&page1. 

  4. Lee EK, Choi ES. Unhealthy behavior, its interactions, and health care expenditure. Sejong: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2015. 

  5. Lalonde M.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Ottawa (ON): Health Canada; 1974. 

  6. Bae SS. Health-related behaviors: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findings. J Prev Med Public Health 1993;26(4):508-533. 

  7. Grossman M. On the concept of health capital and the demand for health. J Polit Econ 1972;80(2):223-255. DOI: https://doi.org/10.1086/259880. 

  8. Grossman M. The human capital model. In: Culyer AJ, Newhouse JP, editors. Handbook of health economics. Amsterdam: Elsevier; 2000. pp. 347-408. DOI: https://doi.org/10.1016/S1574-0064(00)80166-3. 

  9. Wagstaff A. The demand for health: some new empirical evidence. J Health Econ 1986;5(3):195-233. DOI: https://doi.org/10.1016/0167-6296(86)90015-9. 

  10. Nocera S, Zweifel P. The demand for health: an empirical test of the Grossman model using panel data. Dev Health Econ Public Policy 1998;6:35-49. DOI: https://doi.org/10.1007/978-1-4615-5681-7_2. 

  11. Gerdtham UG, Johannesson M, Lundberg L, Isacson D. The demand for health: results from new measures of health capital. Eur J Polit Econ 1999;15(3):501-521. DOI: https://doi.org/10.1016/s0176-2680(99)00026-9. 

  12. Humphreys BR, McLeod L, Ruseski J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outcomes: evidence from Canada. Health Econ 2014;23(1):33-54. DOI: https://doi.org/10.1002/hec.2900. 

  13. Andersen R.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 Chicago (IL):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1986. 

  14. Shin MS, Lee WJ. Health behavior associated with outpatient utilization. J Korea Contents Assoc 2013;13(5):342-353. DOI: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42. 

  15. Choi SE. Health expenditure of smokers and the effect of smoking. Korean J Public Financ 2016;9(2):1-21. 

  16. Kim DJ. Health expenditure model using Grossman Model.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5;21(2):71-92. 

  17. Yoo CH, Kang S, Choi JH, Kwon YD. The impac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medical institution selection: evidence from outpatient service utilization among arthritis patients. Korean J Hosp Manag 2017;22(2):58-69. 

  18. Willits FK, Crider DM.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ater middle years. J Gerontol 1988;43(5):S172-S176. 

  19. Choi YH. Is subjective health reliable as a proxy variable for true health?: a comparison of self-rated health and self-assessed change in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South Koreans. Health Soc Welf Rev 2016;36(4):431-459.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6.36.4.431. 

  20. Winship C, Mare RD. Regression models with ordinal variables. Am Sociol Rev 1984;49(4):512-525. DOI: https://doi.org/10.2307/2095465. 

  21. Dickerson A, Hole AR, Munford L. A review of estimators for the fixed effects ordered logit model. Proceedings of the United Kingdom Stata Users Group Meetings; 2011 Sep 15-16; London, UK. College Station (TX): Stata Users Group; 2011. 

  22. Kim S, Nah EH, Cho HI. Association between smoking, metabolic syndrome, and arteriosclerosis in Korean men. J Health Info Stat 2016;41(1):18-26. DOI: https://doi.org/10.21032/jhis.2016.41.1.18. 

  23. Jung CH , Park JS , Lee WY , Kim SW.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Med 2002;63(6):649-659. 

  24. Lee SW, Lee SH, Kweon YR, Lee HJ. Factors relating to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 man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2003;24(2):158-165. 

  25. Jeong SR, Doo YT, Lee WK. Effect on ambulatory dental visitation frequency according to pack-years of smoking. J Korean Data Inf Sci Soc 2016;27(2):419-427. DOI: https://doi.org/10.7465/jkdi.2016.27.2.419. 

  26. Han EJ. Health behavior analysis based on Korea Health Panel data. Health Welf Policy Forum 2011;(182):32-42. 

  27. Go SJ, Jung YH, Kim EJ, Oh HI. The effects of price policy on smoking and drinking.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28. Jeong AS. Changes in policy on alcoholic beverages and drinking in Korea: tasks ahead. Health Welf Policy Forum 2015;(221):57-66. 

  29. Kim Y, Sharp S, Hwang S, Jee SH. Exercise and incid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hypertension, type 2 diabetes and site-specific cancers: prospective cohort study of 257 854 adults in South Korea. BMJ Open 2019;9(3):e025590. DOI: https://doi.org/10.1136/bmjopen-2018-025590. 

  30. Kang HJ. Policy direction for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to extra-large hospital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4;(210):65-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