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북부지역(울진) 산양(Naemorhedus caudatus) 암·수 한 쌍의 행동권 및 고도변화에 따른 행동권 분석
Home Range Analysis of a Pair of Gorals (Naemorhedus caudatus) Using GPS Collar According to the Elevation Change, in the North Gyeongbuk Province(Uljin)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1, 2015년, pp.135 - 146  

조재운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김기윤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김규철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김현민 (대구지방환경청) ,  안재용 ((사)한국산양보호협회) ,  이배근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처) ,  박종길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북북부지역 산양 암 수 한 쌍(n=2)의 연구를 통해 한국 산양의 복원 및 보전을 위한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산양 한 쌍의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서식지 이용특성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울진 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1년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양 한 쌍의 행동권은 MCP 95% $1.38{\pm}0.24km^2$, FK 95% $0.81{\pm}0.09km^2$, FK 50% $0.15{\pm}0.16km^2$로 분석되었다(t=8.118, p>0.05).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겨울 $0.74{\pm}0.31km^2$ > 봄 $0.71{\pm}0.27km^2$ > 가을 $0.61{\pm}0.06km^2$ > 여름 $0.27{\pm}0.04km^2$ (F=2.135 p>0.05)로 분석되어, 겨울의 행동권이 가장 크고, 여름이 가장 작았다. 서식지 이용특성 중 계절별 이용 평균고도는 수컷은 여름($440.18{\pm}71.32m$), 암컷은 봄($727.25{\pm}99.98m$), 가장 낮은 고도는 수컷은 봄($372.72{\pm}70.79$), 암컷은 가을($664.60{\pm}139.71m$)로 분석되어 계절별 차이를 나타내어, 암 수 모두 고도변화에 따른 연간 및 계절별 행동특성의 상관성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서식지 내 먹이와의 상관관계, 서식지 교란의 변화 양상 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경북북부지역 산양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oral such as home range, seasonal home range and habitat use and used for Korean goral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hrough a pair of gorals in the north Gyeongbuk province of Korea. With data from GPS collars, we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년 6월 울진에 방사한 산양 암·수 한 쌍에 GPS collar를 부착 후 방사하여 위치추적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2013년 6월부터 2014년 7월까지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한국 내 산양 최대 서식지 중 하나인 울진 지역의 산양 보전 및 관리 방안 마련을 하고자, 행동특성 및 서식지 이용특성 등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행동권 분석으로 그 개체의 서식 형태 및 행동특성을 파악하여 생태적 연구, 복원, 보전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기에(Cho et al., 2014), 2013년 6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선행된 산양의 행동권 연구 결과는 수컷의 행동권이 크며 암컷의 행동권이 작다(Myslenkov and Voloshina, 1998; Jass and Mead, 2004; Piao, 2013; Cho, 2013)고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진지역의 기온은 어떠한가? 본 연구가 진행된 울진지역은 평균기온 12.5℃, 최고기온 17℃로, 지리적으로는 한반도 중부에, 지형적으로는 해안 지방에 위치하고 있고, 동경 129° 04′ 30″ ~  129° 29′ 30″, 북위 36° 38′ 00″ ~ 37° 06′ 40″ 위치하여 행정구역상 경상도 동북단으로 동쪽으로 동해, 서쪽으로 봉화군, 남쪽으로 영덕군, 북쪽으로 강원도 삼척시와 접하고 있다.
울진지역의 지리적 위치는? 본 연구가 진행된 울진지역은 평균기온 12.5℃, 최고기온 17℃로, 지리적으로는 한반도 중부에, 지형적으로는 해안 지방에 위치하고 있고, 동경 129° 04′ 30″ ~  129° 29′ 30″, 북위 36° 38′ 00″ ~ 37° 06′ 40″ 위치하여 행정구역상 경상도 동북단으로 동쪽으로 동해, 서쪽으로 봉화군, 남쪽으로 영덕군, 북쪽으로 강원도 삼척시와 접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산양은, 어떤 4가지 종으로 분류되는가? 한국에 서식하는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1종이며, 세계적으로 산양은 4개의 종으로 분류된다(Wilson and Reeder, 2005). Himalayan goral(Naemorhedus goral)은 북서 인도, 네팔, 파키스탄에, Red Goral (Naemorhedus baileyi)은 중국 운남성과 티벳, 인도북서부 미얀마에, Chinese Goral (Naemorhedus griseus)은 버마, 중국, 인도, 태국, 베트남, 라오스에 분포하며, Long-tailed Goral(Naemorhedus caudatus)은 극동러시아, 중국, 태국 서부 지역, 한반도 지역에 서식한다(Cho, 2013).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로 추측되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산양의 형태와 그림 중 대부분이 식용이 되는 순한 초식동물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미루어볼 때, 산양은 오랜 시간 한반도에 서식하였고, 중요한 사냥 대상종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hee,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bbas. I.F. 2012. Status of Himalayan grey goral with reference to Pakistan. The 1st "Goral and Serow Day" and International Symposium for Conservation of Goral and Serow. 43pp. 

  2. Ager, A.A., B.K. Johnson, J.W. Kern and J.G. Kie. 2003. Daily and seasonal movements and habitat use by female Rocky mountain elk and mule deer. Journal of Mammalogy 84(3):1076-1088. 

  3. Aldridge, H.D. J.N and R.M. Brigham. 1988. Load carrying and maneuverability in an insectivorous bat: a test of the 5% "rule" of radio-telemetry. Journal of Mammalogy 69(2):379-382. 

  4. Anderson, D.P., J.D. Forester, M.G Turner, J.L Frair, E.H. Merrill, D. Fortin, J.S. Mao and M.S. Boyce. 2005. Factors influencing female home range size in elk(Cervus elaphus) in north american landscapes. Journal of Landscape Ecology 20:257-271. 

  5. Berger, J. 1990. Persistence of differentsized population: an empirical assessment of rapid extinctions in bighorn sheep. Conservation Biology 4(1):91-98. 

  6. Brown, R., M. Lawerence and T. Pope. 1992. Animals Tracks, Trails and Signs. Hamlyn Guide. 320pp. 

  7. Carvalho, P., A.J.A. Nogueira, A.M.V.M. Soares and C. Fonseca. 2008. Ranging behaviour of transiocated roe deer in a Mediterranean habitat: seasonal and altitudinal influences on home range size patterns of range use. Journal of Mammalia 72(2):89-94. 

  8. Chaiyarat, R., W. Laohajinda and U. Kutintara. 1999. Ecology of the Goral (Naemorhedus goral) in Om Koi Wildlife Sanctuary, Thailand. The Journal of the Natural History Society of Siam 47:191-205. 

  9. Cho, C.U. 2013. Systematic study on the long-tailed goral(Naemorhedus caudatus), with ecology and conservation plan.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p.72-119. (조재운. 2013. 산양(Naemorhedus caudatus raddeneus)의 계통분류와 생태 및 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2-119쪽). 

  10. Cho, C.U., G.H. Gyun, J.J. Yang, S.J. Lim, A.N. Lee, H.B. Park and B.K. Lee. 2014. Home rang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Korea gorals(Naemorhedus caudatus) with GPS colla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8(1):1-9 (조재운, 권구희, 양정진, 임상진, 이안나, 박희복, 이배근. 2014. GPS Collar를 이용한 멸종위기 한국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1):1-9). 

  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 Version 2014.3. 

  12. Jass, C.N. and J.I. Mead. 2004. Mammalian Speci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NO.750, pp.1-10. 

  13. Kernohan, B.J., R.A. Gitzen and J.J. Millspaugh. 2001. Analysis of animal space use and movement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125-166. 

  14. Kim, E.M., J.O. Kwon, C.W. Kang, K.M. Song and D.W. Min. 2013. Home range size and habitat environment related to the parturition of roe deer at warmtemperate forest in Jeju Island using GPS-CDMA based wildlife track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65-74 (김은미, 권진오, 강창완, 송국만, 민동원. 2013. GPS와 CDMA를 이용한 난대림의 출산 전후 암노루 행동권 및 서식환경 조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65-74). 

  15. Kim, N.S and G.S. Kim. 2013. A study on change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Korea peninsular during the past 4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 29-38 (김남신, 김경순. 2013.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29-38). 

  16. Kufeld, R.C., D.C. Bowden and D.L. Schrupp. 1988. Habitat selection and activity patterns of female mule deer in the front range, Colorado. Journal of Range Management 41(6):515-522. 

  17. Lee, B.K., Y.U. Lee, C.U. Cho, Y.M. Kim, C.H. Bae, G.H. Gyun and A.N. Lee. 2011. Analysis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mmon Goral(Naemorhedus caudatus)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69-71 (이배근, 이용욱, 조재운, 김영민, 배창환, 권구희, 이안나. 2011. 월악산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1):69-71). 

  18. Licoppe, A.M. and J. Lievens. 2001. The first tracking results from a female free-ranging red deer(Cervus elaphus L) fitted with GPS collar in Ardenne, Belgium. Tracing Animals with GPS. pp.25-27.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Protec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Goral at Uljin-Samcheok. Sejong, Korea. pp.26-30 (환경부. 2012. 울진삼척 산양 서식지 보호관리 방안. 26-30쪽). 

  20. Mohr, C.O. 1947. Table of equivalent populations of North American small mammal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37(1):233-249. 

  21. Myslenkov, A.I. and V. Voloshina. 2012. Ecology and Behaviour of Amur Goral.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pp.194-195. 

  22. Nicholson, M.C., R.T. Bowyer and J.G. Kie. 1997. Habitat selection and survival of mule deer: tradeoffs associated with migration.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78(2):483-504. 

  23. Park, J.K and M.G. Kim. 2011.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animal habitat map by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54-62 (박준규, 김민규. 2011. GIS에 의한 3차원 동물 서식도 제작.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54-62). 

  24. Pepin, D., C. Arados, G. Janeau, J. Joachim and C. Mann. 2008. Individual variation in migratory and exploratory movements and habitat use by adult red deer(Cervus elaphus L.) in a mountainous temperate forests. Journal of Ecological Research 23(6):1005-1013. 

  25. Piao, R. 2013.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goral genus in China. 2013 International Symposium for Biodiversity Enhanc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40pp. 

  26. Powell, R.A and G. Proulx. 2003. Trapping and marking terrestrial mammals for research; integrating ethics, performance criteria, techniques, and common sense. ILAR Journal 44(4):259-276. 

  27. Rhee, H.W., A study on analyzing piled layers of Ulsan Bankudae petroglyph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Kyoungju, Gyeongbuk. Korea, pp.10-67 (이하우. 2004.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제작 층 분석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67쪽). 

  28. Riley, S.J. and A.R. Dood. 1984. Summer movements, home range, habitat use, and behavior of mule deer fawn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48(4): 1302-1310. 

  29. Shaffer, M.L. 1981. Minimum population sizes for species conservation. Bio Science 31(2):131-134. 

  30. Wilson, D.E. and D.M. Reeder.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USA, pp.705-706. 

  31. Won, P.H. 1967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Publication of Volume 7). Minister of Education, Seoul, Korea, pp.59-65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제7편(포유류). 문교부. 59-65쪽). 

  32. Worton, B.J. 1989. Kernel methods for estimating the utilization distribution in home-range studies. Journal of Ecology 70(1):164-168. 

  33. Worton, B.J. 1995.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o evaluate kernel based home-rang estimator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59(4):794-800. 

  34. Yang, B.K. 2002. Systematic, ecology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the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Korea. Ph. 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ju, Korea. pp.29-58 (양병국. 2002. 한국산 산양의 분류, 생태 및 개체군 현황.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58쪽). 

  35. Yang, D.H., B.H. Kim, D.H. Jung, H.D. Jeong, W.J. Jeong and B.K. Lee. 2008. The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asiatic black bear released in Jiri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4):427-434 (양두하, 김보현, 정대호, 정동혁, 정우진, 이배근. 2008.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의 행동권 크기 및 서식지 이용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4):427-434). 

  36. Zweufel-Schielly, B., M. Kreuzer, K.C. Ewald and W. Suter. 2009. Habitat selection by an alpine ungulate: the significance of forage characteristics varies with scale and season. Journal of Ecography 32(1):103-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