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orytelling기반 SW교육이 Computational Thinking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ytelling Based Software Education on Computational Thinking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9 no.1, 2015년, pp.57 - 68  

박정호 (가수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의 아이디어 구현이나 문제해결에 SW를 중심적으로 활용하는 SW중심사회로의 진입으로 SW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토리텔링은 학습자의 흥미를 끌며 맥락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솝우화를 활용한 SW교육프로그램이 Computational Thinking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6주 동안 토요 SW교육 캠프에 참여한 학생 중 실험집단은 이솝우화를 통해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의 기초개념을 배운 후 이야기, 게임, 예술, 시뮬레이션 등의 다양한 SW표현활동을 경험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 및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SW개념, SW구현 그리고 SW교육에 대한 태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에 참여한 학생들의 SW개념과 SW구현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SW교육에 대한 태도에서도 더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entering SW-centered society in which people make the best use of SW in order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 ideas or to solve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SW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t is generally known that storytelling provides motivational and contextual environments.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초등학생에게 친숙한 이솝우화의 활용은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솝우화를 활용한 SW교육이 CT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 나는 SW를 잘 배울 수 있다고 확신한다.
  • 2. 나는 SW활동에서 더 많은 자신감을 갖고 있다
  • 3. 내가 열심히 노력하더라도 SW는 나에게 어려운 일이다(*).
  • 6. 나는 내 전 생애를 통해 많은 방식으로 SW를 사용할 것이다.
  • 8. 내가 SW문제를 즉시 해결할 수 없을 때 나는 해결할 때까지 꾸준히 노력한다.
  • 9. 나는 바로 이해할 수 없는 SW문제에 도전감을 느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교육에서 CT는 무엇으로 주목을 받아오고 있는가? Wing(2006)이 21세기를 살아가야 하는 모든 사람이 갖추어야 할 필수 사고로 CT를 발표한 후 정보교육에서 CT의 역할과 의미가 큰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21].
CT의 기본 개념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CT의 기본 개념은 추상화, 알고리즘, 평가, 문제분해, 일반화라 정의되기도 하였으며[8], Cuny 외(2010)는 정보기기에 의해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문제를 공식화하고 솔루션을 만드는 것을 CT로 정의하였다[7]. 
SW교육에서도 스토리텔링과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이 예로는 무엇을 들 수 있는가? SW교육에서도 스토리텔링과 관련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예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활동에서도 학습의 ‘즐거움’을 증가시키고[17],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13]. 또한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로봇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14].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스토리텔링을 학습흥미를 끄는 매개체로 활용하였지만 직접적으로 SW개념, 즉 학습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lan, W., Coulter, B., Denner, J., Erickson, J., Lee, I., Malyn-Smith, J., Martin, F. (2010). Computational thinking for youth. White Paper for the ITEST Small Working Group on Computational Thinking(CT). 

  2.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3. Baser, M. (2013). Attitude, Gender and Achievement in Computer Programming. Online Submission, 14(2), 248-255. 

  4.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Canada. 

  5. Bundy, A. (2007). Computational thinking is pervasive. Journal of Scientific and Practical Computing, 1(2), 67-69. 

  6. CSTA (2011). CSTA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The CSTA Standards Task Force. 

  7. Cuny, J., Snyder, L., & Wing, J. M. (2010). Demystif y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non-computer scien tists. Unpublished manuscript in progress, referenced in http://www.cs.cmu.edu/-CompThink/resources/TheLinkWing.pdf 

  8. Curzon, P., Dorling, M., Ng, T., Selby, C., & Woollard, J. (2014).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classroom: a framework. 

  9. Department for Education (2014).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Retrieved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curriculum-in-england-primary-curriculum 

  10. Fields, D. A., Searle, K. A., Kafai, Y. B., & Min, H. S. (2012). Debuggems to assess student learning in e-textiles. In Proceedings of the 43rd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New York, NY: ACM Press. 

  11. Kazakoff, E. R., Sullivan, A., & Bers, M. U. (2013).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4), 245-255. 

  12. Kelleher, C., & Pausch, R. (2005). Lowering the barriers to programming: A taxonomy of programming environments and languages for novice programmers. ACM Computing Surveys(CSUR), 37(2), 83-137. 

  13. Kim, K. Y., Song, J. B. & Lee, T. W. (2009). Effect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Programming Education 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4(1), 47-55. 

  14. Lee, J. I, Sung, Y. H (2011). Development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System for Children based on Storytelling. Journal of Korean Information Education, 15(2), 295-305. 

  15. Malyn-Smith, J., Coulter, B., Denner, J., Lee, I., Stiles, J. & Werner, L. (2010).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Defining the Space. In D. Gibson & B. Dodge (Eds.),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10(pp.3479-3484). Chesapeake, V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16. Michael, K. Y. (2001). The Effect of a Computer Simulation Activity Versus a Hands-on Activity on Product Creativity.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3, 31-43. 

  17. Park, J. H. (2014). A Study on Digital Storytelling Based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9(5), 119-128. 

  18. SPRI (2014). Software Centered Society: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Reaction, SPRi Issue Report 2014-003. 

  19. Werner, L., Denner, J., Campe, S., & Kawamoto, D. C. (2012, February). The fairy performance assessment: Measur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middle school. In Proceedings of the 43rd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pp. 215-220). ACM. 

  20. Wiebe, E. N., Williams, L., Yang, K., & Miller, C. (2003). Computer Science Attitude Survey, (Report No.: NCSU CSC TR-2003-1) Dept. of Computer Science, NC State University, Raleigh, NC. 

  21.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