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영국 국립기록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Archives and Users by Using Social Media - Based on the Cases of National Archives of the U.S. and the U.K.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6 no.3, 2015년, pp.225 - 253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 및 트위터 게시물의 내용 분석을 통해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아카이브 중에서 미국과 영국의 국립기록관 공식 페이스북과 트위터 게시물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5년 상반기에 등록된 미국 국립기록관 페이스북 게시물 66개와 트위터 게시물 670개, 그리고 영국 국립기록관 페이스북 게시물 73개와 트위터 게시물 84개를 수집하여 네 가지 상호작용 유형에 기반을 두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장자료 또는 온라인자원에 대한 정보공유 및 행사에 대한 정보배포가 가장 일반적인 게시물의 상호작용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1대 1의 커뮤니케이션 또는 질문지나 투표 형식의 정보수집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소장자료 유형의 게시물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이 높았으며 시기적인 특성에 맞는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용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 유형을 고려하고 시의적절한 기록물을 발굴하여 기존의 웹 자원과 기록콘텐츠 및 다양한 소셜미디어와 연결시켜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s between archives and users based on content analysis of posts of Facebook and Twitter operated by archival institutions. It focused on posts in official Facebooks and Twitters of the U.S. and the U.K. national archives. The posts included 66 in Facebook and 6...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김미경, 김유정, 김정기 외. 2012. 소셜 미디어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Kim, M., Kim, Y & Kim, J. et al. 2012. Social Media Research. Seoul: Communication Books.) 

  2. 박덕란, 사공복희. 2014. 국가 기록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이용자 참여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 도서관.정보학회지, 45(2): 261-281.(Park, D. & Sagong, B. 2014. "A Study on the User Participatory Communication Tools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261-281.) 

  3. 이주영. 2013. 소셜 미디어 서비스 현황 및 활용. 정보통신방송정책, 25(9): 45-65.(Lee, J. 2013. "The State and Use of Social Media Service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25(9): 45-65.) 

  4. Abdullah, N., Chu, S., Rajagopal, S., Tung, A., & Kwong-Man, Y. 2015. "Exploring Libraries' Efforts in Inclusion and Outreach Activities Using Social Media." Libri, 65(1): 34-47. 

  5. Aharony, N. 2012. "Facebook Use in Libraries: an Exploratory Analysis." Aslib Proceedings, 64(4): 358-372 

  6. Baggett, M., & Gibbs, R. 2014. "Historypin and Pinterest for Digital Collections: Measuring the Impact of Image-Based Social Tools on Discovery and Access."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4(1): 11-22. 

  7. Boateng, F., & Liu, Y. Q. 2014. "Web 2.0 Applications' Usage and Trends in Top US Academic Libraries." Library Hi Tech, 32(1): 120-138. 

  8. Chen, D. Y. T., Chu, S. K. W., & Xu, S. Q. 2012. "How do Libraries use Social Networking Sites to Interact with User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9(1): 1-10. 

  9. Del Bosque, D., Leif, S. A., & Skarl, S. 2012. "Libraries Atwitter: Trends in Academic Library Tweeting." Reference Services Review, 40(2): 199-213. 

  10. Duff, W. M. and Haskell J. 2015. "New Uses for Old Records: A Rhizomatic Approach to Archival Access." The American Archivist, 78(1): 38-58. 

  11. Duff, W. M., Johnson, C. A., & Cherry, J. M. 2013. "Reaching Out, Reaching i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Archives' Use of Social Media in Canada." Archivaria, 75(1): 77-96. 

  12.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13. Griffin, M., & Taylor, T. I. 2013. "Of Fans, Friends, and Followers: Methods for Assessing Social Media Outreach in Special Collections Repositories." Journal of Web Librarianship, 7(3): 255-271. 

  14. Huang, H., Chu, S. K. W., & Chen, D. Y. T. 2015. "Interactions between English-speaking and Chinese-speaking Users and Librarians on Social Networking Sit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6(6): 1150-1166. 

  15. Kaplan, A. M., & Haenlein, M. 2010.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53(1): 59-68. 

  16. Kim, H. M., Yang, C. C., Abels, E. G., & Zhang, M. 2012. "A Qualitative Analysis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Twitter in a Digital Library." In: Proceedings of the 12th ACM/IEEE-CS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pp. 339-340). ACM. 

  17. Kriesberg, A. 2014. "Increasing Access in 140 Characters or Less: Or, What Are Archival Institutions Doing on Twitter?." The American Archivist, 77(2): 534-557. 

  18. Tan, C., Hedren, S. W. Y. Kiat, F. S. E., Somasundram, V., & Wong, E. 2012. "Asia-Pacific University Libraries on Facebook: Content Analysis on Posts and Interactions." Singapore Journal of Library & Information Management, 41: 51-68. 

  19. Vassilakaki, E., & Garoufallou, E. 2014. "The Impact of Facebook on Libraries and Libraria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8(3): 226-245. 

  20. Vassilakaki, E., & Garoufallou, E. 2015. "Library Facebook Practices for Creating and Promo ting a Pro fessional Profile."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9(3): 343-359. 

  21. Xie, I., & Stevenson, J. 2014. "Social Media Application in Digital Libraries." Online Information Review, 38(4): 502-5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