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편의 은퇴 이후 중노년기 부부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with Retired Husband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2, 2015년, pp.179 - 193  

이주연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  김득성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tirement adaptation process for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Twelve couples who had experienced retirement were recruited by theoretica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은 만 55세 이상의 중노년기 부부이면서, 남편의 경우 은퇴 이후 현재까지 전일 직업이 없고, 남편의 은퇴 시점에서 부인은 다양한 여건을 가능한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전업주부 뿐만 아니라 취업중인 상태, 퇴직한 경우 등 다양한 상황 들을 지닌 부부들을 이론적 표본추출 하였다. 또한 은퇴 후 3-5년 사이에 적응 변화 정도가 다른 시기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20]와 은퇴 경험이 시간적 흐름에 따라 그 과정과 경험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남편의 은퇴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이 최대 6년 이내의 부부로 제한하여 남편의 은퇴 적응과정에 대한 부부의 오래된 과거 회상보다는 실제적인 경험을 듣고자 했다 .
  • 본 연구는 중노년기 부부가 남편의 은퇴를 겪으면서 변화된 환경과 역할에 어떻게 적응해 가는지 그 과정을 밝히고, 적응과정에서 부부가 어떠한 경험을 하며, 어떠한 적응 유형으로 분류되는지에 대한 실체적인 이론을 제시하고자 근거이론방법을 선택하였다.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에 바탕을 둔 근거이론 방법은 실제로 수집된 경험적 질적 자료에 근거하여 사회심리적 문제점, 대처전략, 그리고 결과보다는 과정의 변화를 밝히는데 유용한 방법이다[19].
  • 이에 본 연구는 은퇴 경험의 주체자인 남편뿐만 아니라 부인에게도 관심을 두고, 여성들의 경제 참여율 증가를 고려하여, 남편의 은퇴 이후 부인의 직업 유무에 따라 중노년기 부부가 어떠한 경험을 했고, 어떠한 과정으로 부부가 적응해가며, 어떠한 부부 적응유형들이 나타나는지 보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질적연구 중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노년기 부부 뿐 아니라 은퇴를 준비하는 부부들을 위한 사회 복지적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은퇴 준비 및 은퇴 후 부부 적응과 관련된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적 개입과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은퇴 경험의 주체자인 남편뿐만 아니라 부인에게도 관심을 두고, 여성들의 경제 참여율 증가를 고려하여, 남편의 은퇴 이후 부인의 직업 유무에 따라 중노년기 부부가 어떠한 경험을 했고, 어떠한 과정으로 부부가 적응해가며, 어떠한 부부 적응유형들이 나타나는지 보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질적연구 중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노년기 부부 뿐 아니라 은퇴를 준비하는 부부들을 위한 사회 복지적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은퇴 준비 및 은퇴 후 부부 적응과 관련된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적 개입과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은퇴란 무엇인가? 은퇴란 인생 후반기의 가장 대표적인 생애전환기적 사건으로, 공식적으로 직장 일에서 물러나 직업 역할의 종결을 의미하며, 가족생활주기 상 노년기로 진입하는 분기점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 정년퇴직은 56.
중노년기의 부부관계가 은퇴 이후 노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노후의 삶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첫째 조건이 됨을 직시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한편, 평균수명의 연장과 노인 부부가구의 지속적인 증가는 은퇴 이후 부부만이 함께 살아야 할 시간이 그 만큼 길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노년기의 부부관계가 은퇴 이후 노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노후의 삶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첫째 조건이 됨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50대 이상 고령층 부부가 겪고 있는 문제점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6% (713만 명)을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55-63년생)의 은퇴가 2010년부터 본격화 되어, 이들이 은퇴 이후 생활에 잘 적응하여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는 것이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50대 이상 고령층의 부부갈등 문제, 별거 및 황혼 이혼이 통계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노인 자살률의 증가 및 노인의 우울, 불안장애 등의 정신건강 문제 또한 사회적 문제로 크게 부각되고 있음은 은퇴 이후 중노 년기들의 부부 및 심리적 적응이 상당히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은퇴를 맞이한 중노년층을 대상으로 은퇴 이후의 적응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과 사회복지 정책에 있어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nderson, S. A., Russel, C. S., & Schumm, W. R. (1983). Perceived marital quality and family life-cycle categories: A further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5(1), 127-139. http://dx.doi.org/10.2307/351301 

  2. Anderson, T. B., & McCulloch, B. J. (1993). Conjugal support: Factor structure for older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Gerontology, 48(3), S133-S142. 

  3. Atchley, R. C. (1971). Retirement and leisure participation: Continuity or crisis? The Gerontologist, 11(1), 13-17. http://dx.doi.org/10.1093/geront/11.1_Part_1.13 

  4. Atchley, R. C. (1994).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7th ed.). Belmont, CA: Wadsworth. 

  5. Bernard, J. (1972). The future of marriage. New York, NY: World Publishing. 

  6. Bosse, R., Aldwin, C. M., Levenson, M. R., Spiro, A. 3rd., & Mroczek, D. K. (1993). Change in social support after retirement: Longitudinal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48(4), P210-P217. http://dx.doi.org/10.1093/geronj/48.4.P210 

  7. Brubaker, T. H. (1985). Later life families . Beverly Hills, CA: Sage. 

  8. Bultena, G. L., & Wood, V. (1969). The American retirement community: Bane or blessing? Journal of Gerontology, 24(2), 209-217. http://dx.doi.org/10.1093/geronj/24.2.209 

  9. Byoun, S. A. (2008). The influence of middle aged men on life satisfaction and fathering ro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0. Carter, E. A., & MacGoldrick, M. (1989).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2nd ed.). Boston: Allyn & Bacon. 

  11. Chalmers, L., & Milan, A. (2005).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retirement years. Canadian Social Trends, (76), 14-17. 

  12. Chang, E. J. (2006). A study on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couples about the change of family relation after retir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Chee, Y. K., & Cho, B. E. (1991). The locus of control, perceptions of stress i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etire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2), 217-240. 

  14. Choi, G. Y., Cho, I. H., & Lee, E. H. (2001). A qualitative study on retirement of Korean olde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1), 73-92. 

  15. Connidis, I. A. (1989). Siblings as friends in later lif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3(1), 81-93. http://dx.doi.org/10.1177/0002764289033001008 

  16. Davey, A., & Szinovacz, M. (2004). Dimension of marital quality and retire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25(4), 431-464. http://dx.doi. org/10.1177/0192513X03257698 

  17. Fillenbaum, G. G. (1971). On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 to work and attitude to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26(2), 244-248. http://dx.doi.org/10.1093/geronj/26.2.244 

  18. Gilford, R. (1986). Marriage in later life. Generations, 10(4), 16-20. 

  19. Glaser, B. G. (1978).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20. Han, H. J., & Kang, E. S. (2001). Changes of life condition after retir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0(2), 203-219. 

  21. Han, H. K. (2003). An analysis on the depress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early retire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 , 81-101. 

  22. Jeon, H. O. (2008).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women's adaptation experience with their retired husband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9(2), 120-128. 

  23. Johnson, C. L. (1985). The impact of illness on late-life marriag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7(1), 165-172. 

  24. Jun, G. Y., & Im, S. Y. (1998). A study on the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in old ag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6), 1-12. 

  25. Kang, J. S. (2008).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he adaptation process related to retirement for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8(3), 477-496. 

  26. Keith, P. M., Schafer, R. B., & Wacker, R. (1992-1993). Outcomes of equity/inequity among older spouse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6(3), 187-197. http://dx.doi.org/10.2190/F482-LD7B-L1GU-FGUP 

  27. Kim, A. S., & Yoon, G. (1995).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5(1), 141-158. 

  28. Kim, M. C. (2003). Resilience and adjustment of retired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6), 117-127. 

  29. Kim, M. H., Kim, J. W., Baek, M. H., & Song, H. M. (2007). With an approach based on a grounded theory:A study on adjustment procedures of Korean elderly women whose husbands are retired.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8 , 383-416. 

  30. Kim, N. Y., Kim, S. H., & Jeong, E. H. (2007). The study of the experience and life process of retired elderly men: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1 , 253-288. 

  31. Kim, Y. H. (2004). Gender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7(1), 1-30. 

  32. Kupperbusch, C., Levenson, R. W., & Ebling, R. (2003). Predicting husbands' and wives' retirement satisfaction from the emotional qualities of marital interacti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0(3), 335-354. http://dx.doi.org/10.1177/0265407503020003004 

  33. Kwon, E. B., & Lee, J. H. (2011).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male retirees: Focus on retirement-related variables and marital qualit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5(4), 73-92. 

  34. Lee, S. S. (1997). A study on sex-role attitude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7(2), 70-85. 

  35. Lim, S. E. (2007). A study on the elderly marriage adjustment of living with a spouse only: Focused on type of marriage adjus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6. Mone, P., Kim, M., & Hofmeister, H. (2001). Couple's work/retirement transitions, gender, and marital qualit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4(1), 55-71. http://dx.doi.org/10.2307/3090150 

  37.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4).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Retrieved March 14, 2015,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38. Nuttman-Shwartz, O. (2004). Like a high wave: Adjustment to retirement. The Gerontologist, 44(2), 229-236. http://dx.doi.org/10.1093/geront/44.2.229 

  39. Oh, M. 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retired elderly peopl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40. Park, M. S. (2004). A study on good use of leisure among the retired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12), 107-122. 

  41. Rhee, K. O., & Lee, J. Y. (2005). Th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young old men and the perspective after their retire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1), 93-120. 

  42. Shin, H. Y. (1996). An exploratory study of husbands retirement and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A comparison of perceptions between wives and husbands. Duksung Journal of Social Sciences, 4 , 117-131. 

  43. Shin, H. Y., & Cho, B. E. (1999). The conjugal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couples with retired husband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1), 31-44. 

  44. Shin, H. Y., & Cho, B. E. (2001). Personal re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etired husbands and their wiv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39-51. 

  45. Statistics Korea. (2013, September 27). 2012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Retrieved March 26,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260367 

  46. Statistics Korea. (2013, November 18).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life cycle and Change analysis data. Statistics Korea. Retrieved March 26,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10194&pageNo21&rowNum10&amSeq&sTarget&sTxt 

  47.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48. Sung, M. A., & Ok, S. W. (2004).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s postretirement lives. Family and Culture, 16(2), 55-91. 

  49. Szinovacz, M. E., & Schaffer, A. M. (2000). Effects of retirement on marital conflict tactics. Journal of Family Issues, 21(3), 367-389. http://dx.doi.org/10.1177/019251300021003005 

  50. Tower, R. B., & Kasl, S. V. (1996). Gender, marital close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coupl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1(3), P115-P129. http://dx.doi.org/10.1093/geronb/51B.3.P115 

  51. Van Solinge, H., & Henkens, K. (2005). Couples' adjustment to retirement: A multi-actor panel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0(1), S11-S20. http://dx.doi.org/10.1093/geronb/60.1.S11 

  52. Ward, R. A. (1993). Marital happiness and household equity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2), 427-438. 

  53. Yoon, H. S., & Lee, M. J. (2007). The impact of retire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7(2), 393-4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