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에서 조종사 보고 자료로 관측된 항공난류의 통계적 분석
A Statistical Analysis of Aviation Turbulence Observed in Pilot Report (PIREP) over East Asia Including South Ko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5 no.1, 2015년, pp.129 - 140  

이단비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전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viation turbulence occurred over South Korea and East Asia regions is performed, using pilot reports (PIREPs) during December 2002~November 2012 that were provided by the Korea Aviation Meteorological Agency (KAMA) and the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반도로, 특히 여름철에 태풍과 장마 같은 대류 시스템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CIT가 발생할 수있는 최적의 위치에 속해있다. 따라서 한반도 내에서 발생한 CIT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CIT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1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한반도 영역에서 발생한 항공 난류의 시공간적 분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대류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한 난류를 분류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반도를 포함한북서태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항공 난류의 시 · 공간적 분포도를 조사하여 동아시아지역에서의 항공 난류의 특징을 살펴보고, 앞서 조사한 한반도 영역 내에서의 항공 난류 특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1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한반도 영역에서 발생한 항공 난류의 시공간적 분포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대류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한 난류를 분류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항공 난류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2년 12월부터 2012년11월까지의 PIREP 자료를 한국 항공기상청과 미국 기상연구소(NCAR)로부터 수집하여 우리나라 및 동아시아 상공에서 발생한 항공난류의 시 ·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 현재 항공 기상청에서 현업 중인 KTG 시스템은 한반도 지역뿐만 아니라 일본, 북서 태평양 지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까지 난류를 예보하고 있기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항공 난류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사용한 자료는 한반도 내 PIREP 자료의 기간과 같은 2003~2012년 동안의 한국 항공기상청과 미국 NCAR로부터 입수한 PIREP 자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 난류의 정의는 무엇인가? 항공 난류는 자유대기에서 10~1,000 m의 작은 규모를 가지며, 항공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난류로 정의된다(Lester, 1994). 특히, 청천난류(CAT: clear air turbulence)는 약 6.
PIREP에 기록된 항공 난류의 강도별 발생 비율은 얼마인가? 기록된 PIREP의 총 개수는 12455개이며, 각 강도 별로는 NIL 8795건, LGT 3164건, MOD 483건, SEV 13건이 기록되었다. 강도별 발생 비율의 경우, LGT 25.4%, MOD 3.9%, SEV 0.1%로, 이전 연구(Kim and Chun, 2011a)에서 조사된 2003년부터2008년까지의 난류 강도별 발생 비율(LGT 19.48%, MOD 2.
난류 강도는 강도 세기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PIREP은 운항 중에 관제사와 항공기 내조종사간의 음성으로 기록되는 유일한 항공 난류 관측 자료로써, 비행시간, 기종, 위도, 경도, 비행고도, 기온, 풍향, 풍속, 난류 강도 및 착빙 강도 등의 기상정보들을 포함한다. 난류 강도의 경우 조종사의 판단으로 결정되며, 강도 세기에 따라 난류가 없음을 의미하는 무 강도(null: NIL)부터 약 강도(light: LGT),중 강도(moderate: MOD), 강 강도(severe: SEV) 까지4가지로 나뉘어 기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utton, J. A., and H. A. Panofsky, 1970: Clear air turbulence: A mystery may be unfolding. Science, 167, 937-944. 

  2. Dutton, M. J. O., 1980: Probability forecasts of clear-air turbulence based on numerical output. Meteor. Mag., 109, 293-310. 

  3. Ellrod, G., and D. Knapp, 1992: An objective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technique: Verification and operational use. Wea. Forecasting, 7, 150-165. 

  4. Gill, P. G., 2014: Objective verification of world area forecast centre clear air turbulence forecasts. Meteor. Appl, 21, 3-11. 

  5. Jaeger, E. B., and M. Sprenger, 2007: A Northern Hemispheric climatology of indices for clear air turbulence in the tropopause region derived from ERA40 reanalysis data. J. Geophys. Res., 112, D20106, doi:10.1029/2006JD008189. 

  6. Kaplan, M. L., A. W. Huffman, K. M. Lux, J. J. Charney, A. J. Riordan, and Y.-L. Lin, 2005: Characterizing the severe turbulence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aviation accidents. Part 1: A 44-case study synoptic observational analyses. Meteor. Atmos. Phys., 88, 129-152. 

  7. A. J. Riordan, and Coauthors, 2006: Characterizing the severe turbulence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aviation accidents. A real-time turbulence model (RTTM) designed for the operational prediction of hazardous aviation turbulence environments. Meteor. Atmos. Phys., 94, 235-270. 

  8. Kim, J.-H., and H.-Y. Chun, 2011a: Statistics and possible sources of aviation turbulence over South Korea. J. Appl. Meteor. Climatol., 50, 311-324. 

  9. Kim, J.-H., and H.-Y. Chun, 2011b: Development of the Korean mid- and upper-level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using the regional unified model. Atmosphere, 21, 497-5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H., and H.-Y. Chun, 2012: Development of the 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using the operational Unified Model (UM)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Pilot Reports (PIREPs). J. Korean Soc. Aviat. Aeron., 20, 76-83. 

  11. Kim, J.-H., H.-Y. Chun, W. Jang, and R. D. Sharman, 2009: A study of forecast system for clear-air turbulence in Korea, Part II: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system. Atmosphere, 19, 269-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ch, P., H. Wernli, and H. W. Davies, 2006: An eventbased jet-stream climatology and typology. Int. J. Climatol., 26, 283-301. 

  13. Lester, P. F., 1994: Turbulence: A New Perspective for Pilots. Jeppesen Sanderson, 212 pp. 

  14. Lane, T. P., T. L. Clark, and H.-M. Hsu, 2003: An investigation of turbulence generation mechanisms above deep convection. J. Atmos. Sci., 60, 1297-1321. 

  15. Lane, T. P., R. D. Sharman, S. B. Trier, R. G. Fovell, and J. K. Williams, 2012: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near-cloud turbulence. Amer. Meteor. Soc., 93, 499-515. 

  16.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09: U.S. Air Carrier Operations, Calendar Year 2005. Annual review of aircraft accident data. NTSB/ARC-09/01, Washington, DC, 66 pp. 

  17. Pantley, K. C., and P. F. Lester, 1990: Observations of severe turbulence near thunderstorm tops. J. Appl. Meteor., 29, 1171-1179. 

  18. Sharman, R., C. Tebaldi, G. Wiener, and J. Wolff, 2006: An integrated approach to mid- and upper-level turbulence forecasting. Wea. Forecasting, 21, 268-287. 

  19. Sharman, R., L. B. Cornman, G. Meymaris, J. Pearson, and T. Farrar, 2014: Description and derived climatologies of automated in situ eddy-dissipation-rate reports of atmospheric turbulence. J. Appl. Meteor. Climatol., 53, 1416-14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