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시니어 쉐어하우스 공간배치 및 면적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rrangement and Area of Senior Sharehouses in Japa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2, 2015년, pp.13 - 20  

주현진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학과) ,  문정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gle household is expected to be the typical form of future Korean elderly household from reduction of household size and rapid growth of the elderly. As Japanese solve the same problem with Senior Sharehouse, a case study on Senior Sharehouse in japan focused on the Spatial Arrangement and Spat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경우 시니어 쉐어하우스가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니어 쉐어하우스에 대한 명확한 주거면적과 설계기준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례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공간계획 요건을 선행 조사하고 우리나라에서 제시하고 있는 노인최저주거기준의 매뉴얼과 평균 주거면적을 파악해 일본의 시니어 쉐어하우스 사례를 공간의 배치 및 면적의 규모를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시니어 쉐어하우스의 물리적 공간 환경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주거공간의 계획요건을 비교분석해 향후 우리나라 노인 1인 가구 주거 대안으로 노인공동생활주택 공간계획에 필요한 요소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규모는 자신의 생활환경 주택과 가장 비슷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육체적 부담이 경감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19) 건물의 연면적은 최소 483.6 m2에서 최대 662.1 m2 규모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른 사례 대상지의 개요는 [Table 4]이며, [Table 3]에 제시한 시니어 쉐어하우스의 세부적 공간계획 요건에 따라 공간면적, 배치형태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학에서의 저출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인구학에서는 경제가 발전하면서 여성의 사회진출확대와 가치관 변화 등으로 출생률이 낮아지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1) 이러한 세대규모 축소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고령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이며, 세대규모 축소와 급속한 고령자 증가에 따라 도시에서는 혼자 생활하는 노인 1인 가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2012년 세대규모 축소에 따른 노인 1인 가구의 비율은? 1) 이러한 세대규모 축소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고령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이며, 세대규모 축소와 급속한 고령자 증가에 따라 도시에서는 혼자 생활하는 노인 1인 가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2012년 노인 1인 가구는 20.2%가 넘고 해마다 그 비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미래 노인가구의 대표적인 형태로 자리 잡을 거라 전망되고 있다.2)
세대규모 축소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인구학에서는 경제가 발전하면서 여성의 사회진출확대와 가치관 변화 등으로 출생률이 낮아지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1) 이러한 세대규모 축소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고령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이며, 세대규모 축소와 급속한 고령자 증가에 따라 도시에서는 혼자 생활하는 노인 1인 가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2012년 노인 1인 가구는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K. O. (2006).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Group-homes for the Elderly-Focusing on Jeonju and Kwangju-. Korea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Journal, 8(4), 841-855. 

  2. Cha, H. B. (2006). The country in an aging society learned in Japan-Housing Policy. Seou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3. Cheon, J. H. (2008). Elderly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Elderly life Quality improvement. Paju: Jipmoondang. 

  4. Cho, Y. M. (1976). Architecture.Urban Planning-1975s. Seoul: Minumsa. 

  5. Choi, J. H., Ham, W., & Lee, N. W. (2004). A Study on the Residential Space Organizatio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0(1), 47-57. 

  6. Kim, S. J. (2010). Architecture walk of Japan's elderly. Paju: Korea Studies information. 

  7. Kim, T. I. (2008). Housing space and Spatiality of aging society. Seoul: Bogosa. 

  8. Kwon, H. H. (2010). Preferences, Attitudes, and Knowledges toward the Elderly Living Facilities among the Korean Rural Adult Consu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9. Lee, H. S. (2011). A Study on the Unit Plan Criteria for an Aging Friendly Apartment Hous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10. Lee, H. W. (2014). Archite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Urban Share House for Single-household.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3). 

  11. Lee, N. Y. (2010). Solitary Death of the Elderly, It is impossible to stop. Seoul: National Assembly in Korea. 

  12. Lee, S. J. (2011).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Idyllic Hou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3. Lemke, S., & Moos, R. H. (1986). The Multiphasic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dur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Behavioral-Ecology, 357-371. 

  14. Regnier, V. A. (1994). Assisted Living Housing for the Elderly. Van Nostrand Reinhold, 42-46. 

  15. Seo, J. H. (2013). The Present State and Trend of "Dying Alon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16. So, K. S. (2007). A Study on Type and Space Composition in the Small Scale and Multi-functional Housing: focused on the cases of the Tokyo area.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13(1), 17-26. 

  17. Yeom, H. S., & Kwon, O. J. (2013). A Study on the Senior Share House for the Aged Living Alone in the Urban Area,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 297-302. 

  18. Yeom, H. S.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nior share hous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