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후주거지의 특성에 따른 '길'의 디자인 연구
A Design Study of the 'Path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2, 2015년, pp.39 - 46  

박수경 (조선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문정민 (조선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thways'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s the valuable place which represents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The 'pathways' is the physical boundary which connects individual environment of private residential area to public environment and which has value as a medium for the definite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길’에 관하여는 다양한 측면으로 바라보고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으나 선행연구 [Table 1]의 다양한 분류를 고찰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영역을 규정, 이동의 공간, 행위의 장, 서비스공간, 역사적 장소로서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길’에 대한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노후주거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안에서 길의 의미와 활용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에 길과 노후주거지의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특성을 근거로 한 재생의 방향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후 주거지를 재생하기 위한 디자인요소로써 ‘길’의 특성과 디자인방향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에서 제시한 길의 계획요소를 사례분석의 틀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오늘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노후주거지를 재생시키는 방안으로 주거지와 가장 근접하여 존재하는 공간적 소재인 ‘길’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디자인 방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길’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을 수행함에 있어서 그것이 가진 의미와 특성들을 디자인으로 활용하는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길을 접하며 건축물이 앉혀지고 사용자들의 진입을 유도하는 출입구가 위치된다. 여기서 어떻게 이용자들의 동선을 유도할 것인가를 고려한다. 길은 마을의 중심이나 일터로 향하는 좁은 도로에서부터 마을 구역을 나누는 역할을 담당하고 주민들의 활동의 공간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길을 이용하여 만든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현재 많은 공공디자인 프로젝트가 ‘길’을 활용하고 있지만 벽화마을조성, 시설물 환경개선 등의 단편적 측면의 사업이 대부분이며, 노후주거지의 속성을 근거로 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길’에 대한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노후주거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안에서 길의 의미와 활용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에 길과 노후주거지의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특성을 근거로 한 재생의 방향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마을의 역사 중 길이 가지는 의미는? 특히 노후 주거지에서는 그 마을의 역사를 기록하는 대표적인 곳으로 장소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길’은 주거공간에서 개인의 사유 환경을 공공환경에 참여시키는 물리적인 경계이면서 노후 주거지 재생의 구체적 현장으로 공공의 매개체가 되는 환경으로써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노후 주거지의 재생을 위한 공공디자인의 방안으로 ‘길’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공간적인 문화 소재가 되고 있다.
길이란? ‘길’이란 ‘사람, 우마, 자동차 등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오갈 수 있게 만들어진 거의 일정한 너비로 뻗은 선’을 의미하는 것1)으로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곳, 항로, 도중, 시간이나 공간을 거치는 과정, 목표로 하는 방향, 방법이나 수단, 사람으로서 해야 할 도리, 여정, 방면이나 분야와 같은 다양한 사전적인 정의를2)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와 길, 가로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세 용어는 같은 정확히 같은 의미는 아니며, 사회적인 규정과 의미로 개념적인 길(way), 도시구조의 부분, 목적지로 향하는 이동과 일정한 장소로의 통행을 나타내는 곳으로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wack, H. J. (2014). (A) study on resident initiative planning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of retirement residential area and characteristics of project practice.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University. p. 4. 

  2. Gwang-ju siminsori Storytelling Agency. (2012). Gwangju Greenway Guide Map. Gwang-ju: Social enterprise Talk through. 

  3. Ha, C. H., Kwak, H. J., & Kim, H. S. (2013). A Study on Utilization and Making Vegetable Garden of Vacant Land and Deserted House in Deteriorated Low-rise Residential Area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Focused on No-Song Low-rise Residence District in Jeon-ju,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6), 84-93. 

  4. Han, J. S. (1996). Transportation Geography. Gyeonggi-do: bobmunsa. p. 92 

  5. Kim, C. S. (2006). Understanding of urban space. Seoul: kimoomdang. 

  6. Kim, C. S. (2013). Understanding of space. Seoul: keimyong university press, p. 109-111 

  7. Kim, J. K (1999). Introduction to Interior Design. Seoul: kimoomdang, p. 683 

  8. Kim, J. K. (2012). A Study on the Rejuvenation of Low-rise Residence District by Gradual Restructuration of Public Sphere. Master'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p. 19 

  9. Kim, J. S., & Yang, W. H. (2006). Application Analysi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Street of Urban Housing Blocks for Everyday-life of Street. 2006 Spring Conferenc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0. Lee, W. G., & Min, B. S., & Kang, M. N., & Park, J. E., (2011). Study on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for low and middle income groups. Gyeonggi-do: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 16 

  11. Lee, Y. Y., Jeong, J. H., & Lee, Y. J. (2009). A Study of the On-sit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Suggestions for the Downtown Area of Gyeongj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2), 37-46. 

  12. Lim, H. Y. (1995). A Study on the Application to Design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street space for Pedestrian.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LH. (2012). City Regeneration for the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inter. Vol. 5 

  14. Office for hub city of asian culture, MCST. (2010). Golmocgil ogamd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68-90 

  15. Park, J. Y. (2008). A Study on Public mentioned in space organization of Korea traditional village, Master's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p.26 

  16. Seoul Design Foundation. (2013). 2012 Seoul Design Assets-Seoul alley Design Report pilot project.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Civil Design Services Team. p. 25 

  17. Seoul Design Foundation. (2013). International Alley Case Study Report.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Civil Design Services Team. 

  18. Seoul Design Foundation. (2013). 2012 Seoul Design Assets-Seoul alley design research. Seoul: Seoul Design Foundation, Civil Design Services Team. 

  19. Shin, Y. J., & Kim, J. I. (1990). Meaning of Alley Space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1(2) 

  20. Son, S. K. (1989).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formation in Urban Residential A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 23, 29-38. 

  21. Urban Action Network. (2011). Live with Repair for the continuity of the alone, multi-residential 

  22. http://greenways.or.kr/ 

  23. http://www.gamcheon.or.kr/ 

  24. http://www.seouldesign.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