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이나 메모리얼 등 기존 모습을 유지한 채 근대적 기억을 담은 장소와 경관을 만드는 최근 조경 설계 경향에 대한 미학적 해석이다. 논의의 주요 대상은 방문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집단 기억을 간직한 대형 공원과 오픈스페이스다. 기억의 장소와 경관에서 일어나는 방문자의 미적 경험은 숭고, 노스탤지어, 멜랑콜리 등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미학적 개념이 강도 높은 트라우마 기억과 연관될 경우 방문자는 병적 상태에 다다를 위험이 있다. 그러나 '방문'을 통해 미적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장소와 경관의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방문자는 기억의 장소와의 거리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억의 장소에서 온전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숭고, 노스탤지어, 멜랑콜리를 통한 미적 경험은 시간성의 발현과 비가역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시간성이란 장소와 경관이 가진 기억과 시간의 특성을 의미하며, 기억의 장소와 경관에서 발현되는 시간성은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의 비가역성에 기초한다. 이 때 방문자가 가진 기억과 배경지식은 장소 기억과 더불어 장소와 경관에서 미적 경험을 구축해 나가는 주요 요소이다. 본 연구는 기억의 장소와 경관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장소 기억과 방문자의 기억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방문자의 기억에 소홀했던 물성 중심적 설계에 대한 비판적 시각 또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current landscape design of the place and landscape of memory, such as post-industrial parks and memorials that have an old, aging appearanc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large parks and open spaces that have collective memories for v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된 외관을 미적으로 향유하는 것은 특별한 경향이 나타난 것은? 다음으로, 장소 기억과 관련된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들은 대체로 장소 기억을 드러내는 노화된 외관에 대한 선호를 특별한 미적 개념에 기반하여 설명한다. 환경미학자 사이토(Saito, 2007)에 따르면, 노화된 외관을 미적으로 향유하는 것은 특별한 경향이며, 이러한 특징이 발현된 대표적인 예로 18세기 영국의 픽처레스크(picturesque) 미학과 일본의 와비(wabi) 미학을 들 수 있다. 또한 산업 폐허와 포스트 인더스트리얼(postindustrial) 부지에서 경험하는 미적 경험을 숭고(sublime)로 해석하는 연구도 있다(Meyer, 1998; Pae, 2006; Lee and Pae, 2012).
미학적 개념을 기억의 공간에 적용한 예로 우리나라에서 찾아보면?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픽처레스크나 숭고 이외의 또 다른 미학적 개념을 기억의 공간에 적용하였다. 사회학자 김홍중(Kim, 2008)은 한국의 골목길을 근대화 과정에서 빠르게 상실된 근대의 환상적 추억을 함의하는 노스탤지어(nostalgia)의 공간으로 보았으며, 보우링(Bowring, 2009; 2011)은 영국 런던과 미국 퍼세이익 지역을 비롯한 세계 여러 곳의 폐허 경관을 멜랑콜리(melancholic) 경관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기억을 담은 매체인 장소와 기억 간의 관계를 논의한 대표적 연구 성과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크게 기억과 장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장소 기억에 기반한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라는 두 갈래의 선행 논의에 기초한다1). 우선, 기억을 담은 매체인 장소와 기억 간의 관계를 논의한 대표적 연구 성과로는 노라등(Nora et al., 1984)의 ‘기억의 장소(Les Lieux de memoire)’ 논의, 케이시(Casey, 1987)의 ‘장소 기억’ 개념, 아스만(Assmann, 2009)의 ‘기억의 공간’ 개념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논의에서 장소란 개인을 넘어 지역, 민족, 국가의 기억을 담고 있는 매체이며, 기억은 장소와 공간이라는 매체를 통해 재현되고, 환기되어 해당 장소를 방문한 인간의 경험과 기억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smann, A.(2009) Erinnerungsraume: Formen und Wandlungen des Kulturellen Gedachtnisses. Translated by H. S. Byeon and Y. S. Chae. Seoul: Greenbee, 2011. 

  2. Bergson, H.(1921) Matiere et Memoire. Translated by J. W. Park. Seoul: Acanet, 2005. 

  3. Berrizbeitia, A.(2007) Re-placing Process. Large Parks. Translated by J. H. Pae and idla. Paju: Doseochulpan Jogyeong, 2010. 188-215. 

  4. Bowring, J.(2009) A Field Guide to Melancholy. Harpenden: Oldcastle Books. 

  5. Bowring, J.(2011) Melancholy Landscape of Modernity. Landscape Journal 30(2): 214-225. 

  6. Boym, S.(2001) The Future of Nostalgia. New York: Basic Books. 

  7. Buruma, I.(1994) The Wages of Guilt: Memories of War in Germany and Japan. Translated by Y. H. Jung, Seoul: Hankyoreh, 2002. 

  8. Casey, E. S.(1987) Remembering: A Phenomenological Stud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9. Chun, J. S.(2005) History Tells Memory. Seoul: Humanist. 

  10. Chun, J. S.(2009) Return of the Trauma. J. S. Chun and J. W. Lee eds. Memory and War. Seoul: Humanist. 

  11. Freud, S.(1917) Mourning and Melancholia.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XIV(1914-1916): On the History of the Psychoanalytic Movement, Papers on Metapsychology and Other Works: 237-258. 

  12. Hunt, J. D.(1981) Picturesque mirrors and the ruins of the past. Art History 4(3): 254-270. 

  13. Hunt, J. D.(1992) Gardens and the Picturesque.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4. Hunt, J. D.(2002) The Picturesque Garden in Europe. New York: Thames & Hudson. 

  15. Hunt, J. D.(2014) Historical Ground: The Role of History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16. Hunt, J. D.(2016) Preservation in the Sphere of the Mind: Duration and Memory. Site, Sight, Insight: Essays on Landscape Architecture.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7. Kim, D. G.(2010) An example of the cultural form of laugh -The laugh cultured in the melancholy, the sneer. Researches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22: 85-112. 

  18. Kim, H. J.(2008) The landscape of alley and nostalgia. Economy and Society 77: 139-168. 

  19. Kim, J. H. and J. S. Cho(1996) An essay on the picturesque and the landscape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2): 117-133. 

  20. Kim, K. C.(2003) Thirty Years of Back Alley View, 1968-2001. Seoul: Noonbit. 

  21. Kristeva, J.(1987) Soleil Noir: Depression et Melancolie. Translated by Y. H. Kim. Seoul: Dongmunseon, 2004. 

  22. Lee, M. J. and J. H. Pae(2012)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post-industrial parks with a perspective of the sublim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4): 78-89. 

  23. Lee, S. B.(2001) Where Should Art Go After Auschwitz. Seoul: Chaeksesang. 

  24. Meyer, E. K.(1998) Seized by Sublime Sentiments: Between Terra Firma and Terra Incognita. Richard Haag: Blodel Reserve and Gas Works Park. ed. W. S. Saunder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5-28. 

  25. Nora, P.(1984) Les Lieux de Memoire. Translated by Y. J. Kim. Paju: Nanam, 2010. 

  26. Pae, J. H.(2004) Theory and Critical Practice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Sungnam: Jogyeong. 

  27. Pae, J. H.(2006) Sublime, A New Interface for Landscape Aesthetics and Design. J. S. Cho. LAnD: Landscape, Aesthetics and Design. Paju: Doseochulpan Jogyeong. pp. 142-153. 

  28. Park, J. H.(2006) British, So British. Seoul: Guiparrang. 

  29. Radden, J.(2000) The Nature of Melanchol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0. Saito, Y.(2007) Everyday Aesthe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Seoul Museum of History(2010) Seochon 1, 2. Seoul: Seoul Museum of History. 

  32. Yim, S. J.(2011) Ecological Architecture. Seoul: Inmulgwasasangsa. 

  33. Zoh, K. J.(2006) The Aesthetics of Ruins, A New Prospect for Landscape Design. J. S. Cho. LAnD: Landscape, Aesthetics and Design. Paju: Doseochulpan Jogyeong. pp. 190-199. 

  34. http://commons.wikimedia.org/wiki 

  35. https://vimeo.com/51232989 

  36. http://www.sbs.com.au/news/article/2017/01/19 

  37. http://www.traveli.co.kr/read/contentsView/1698/0/41/0 

  38. http://911memorial.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