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이어매쉬와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 규명을 위한 고속충격실험
High-Velocity Impact Experiment on Impact Resistance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Panels with Wire Mesh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7 no.2, 2015년, pp.103 - 113  

김상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홍성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윤현도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규용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강현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적 연구는 고속 비상체에 의한 충돌하중을 받는 강섬유보강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또한 와이어매쉬 보강 유무에 따른 내충격성을 파악하였다. 강섬유 혼입률, 와이어매쉬 보강, 패널두께, 충돌속도, 골재크기를 변수로 조절하면서 고속충격을 가하여 실험체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강섬유의 혼입으로 인한 관입깊이에 대한 내충격성 향상은 미흡하였지만, 배면박리와 관통에 대해서는 내충격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는 강섬유가 콘크리트매트릭스 내에서 가교효과를 발현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와이에매쉬로 보강하였을 때 전면과 배면의 파괴면적은 감소하였고 관통과 배면박리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었지만, 관입깊이 억제력 향상에는 미흡하였다. 한편, 일부 실험체에서는 배면의 피복층을 따라서 쪼갬부착파괴가 발생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와이어매쉬는 충격에 의한 패널의 휨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관입 깊이의 관점에서는 20 mm 골재의 사용이 내충격성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전면과 배면의 파괴면적 감소 측면에서는 8 mm 골재의 사용이 20 mm 골재와 비교하여 보다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udies impact performance of wire-mesh and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based on high-velocity impact experiments using hard spherical balls. In this experimental study, panel specimens were tested with various parameters such as steel fiber volume fraction, presence/absence of wir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본 연구에서는 내충격성 증진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강섬유를 혼입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내충격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비용접 크램프 와이어매쉬(non-welded crimped wire mesh, 이하 와이어매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비상체가 실험체 충돌 후 나타나는 1) 와이어매쉬 보강여부에 따른 파괴형상; 2)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파괴형상; 3) 골재 크기에 따른 파괴형상; 4) 충돌속도에 따른 파괴형상; 그리고 5) 패널의 두께에 따른 파괴형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 골재의 크기와 강섬유 혼입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변수를 찾자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다. 강섬유 혼입률이 증가할지라도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낮아 지면 내충격성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실험적으로 관찰하 였다. 이는 다양한 내충격성 평가식17,18)에서 압축강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 1) 특히 와이어매쉬로 보강된 콘크리트 또는 와이어매쉬와 강섬유가 동시에 사용된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 자료는 극히 적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기존 재료관점의 콘크리트의 내충격성 평가에서 벗어나, 와이어매쉬 보강여부에 따른 내충격성 평가, 강섬유로 보강한 콘크리트의 내충격성 평가, 그리고 와이어매쉬와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패널 부재에 대한 내충격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내충격성 증진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강섬유를 혼입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내충격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비용접 크램프 와이어매쉬(non-welded crimped wire mesh, 이하 와이어매쉬)를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 혼입률과 와이어매쉬 보강에 따른 내충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충돌속도, 골재크기와 패널두께 따른 내충격성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강섬유 혼입률은 무보강 콘크리트(강섬유 혼입률 0%)부터 0.
  • 본 연구에서는 고속충격 하에서 강섬유와 와이어매쉬로 보강된 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변수로는 강섬유 혼입률, 와이어매쉬 보강여부, 패널두께, 골재 크기, 충돌속도를 변수로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 혼입률과 와이어매쉬 보강에 따른 내충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충돌속도, 골재크기와 패널두께 따른 내충격성도 비교하고자 하였다.
  • 종국에는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내충격성 보강효과와 와이어매쉬에 따른 내충격성 증진 효과를 실험적 결과를 토대로 와이어매쉬와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패널의 내충격성 평가는 다른 연구자와 동일하게 관입깊이, 배면박리, 관통두께에 대하여 충격계수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나 벽체의 패널 부재는 무엇인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나 벽체의 패널 부재는 건물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이며, 외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차단하는 1차적인 부재이다. 최근 방호의 목적을 가지고 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무근콘크리트의 내충격 성에 대한 평가를 통한 재료차원에서의 내충격성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Hrynyk와 Vecchio의 내충격성 평가 실험에서 강섬유보강콘크리트는 어떤 장점이 있었는가? 5%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실험체를 대상으로 무거운 질량체를 저속으로 반복하여 충격을 가하 였다.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보강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 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며, 내충격성, 강성, 변위능력은 강섬유 혼입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나 벽체의 패널 부재는 건물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이며, 외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차단하는 1차적인 부재이다. 최근 방호의 목적을 가지고 콘크리트 패널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무근콘크리트의 내충격 성에 대한 평가를 통한 재료차원에서의 내충격성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실제 구조물로서의 철근콘크 리트 패널의 내충격성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국내는 특히 연구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i, Q. M., Reid, S. R., Wen, H. M., and Telford, A. R., "Local Impact Effects of Hard Missiles on Concrete Target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2, 2005, pp. 224-284. 

  2. Hrynyk, T. D. and Vecchio, F. J., "Behavior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Slabs under Impact Load", ACI Structural Journal, Vol. 111, No. 5, 2014, pp. 1213-1224. 

  3. Dancygier, A. N. and Yankelevsky, D. Z., "High Strength Concrete Response to Hard Projectile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18, No. 5. 1996. 

  4. Almusallam, T. H., Siddiqui, N. A., Iqbal, R. A., and Abbas, H., "Response of Hybrid-fiber Reinforced Concrete Slabs to Hard Projectile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58, 2013, pp. 17-30. 

  5. Mohammaad, Y., Carkon-A., R., Singh, S. P., and Kaushik, S. K., "Impact Resistance of Steel Fibrous Concrete Containing Fibrous of Mixed Aspect Ratio",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 2009, pp. 183-189. 

  6. Almansa, E. M. and Canovas, M. F., "Behavior of Normal and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under Impact of Small Projectiles", Cements and Concrete Research, Vol. 29, 1999, pp. 1807-1814. 

  7. Kim, S., Kang, T. H. K., Hong, S. G., Kim, G. Y., and Yun H. D., "Impact Resistance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Panels under High Velocity Impact-Load",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6, No. 6, 2014, pp. 731-739 (in Korean) 

  8. Yazici, S., Arel, H. S., and Tabak, V., "The Effects of Impact Load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FRC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41, 2013, pp. 68-72. 

  9. Kim, G. Y., Nam, J. S., and Miyauchi, H., "Evaluation on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Mortar under High-Velocity Impact of Projectile", Journal of Korea Architecture Institute, Vol. 27, No. 9, Sep. 2011, pp. 101-108 (in Korean). 

  10. Kim, H.-S., Nam, J.-S., Hwang, H.-K., Jeon, J.-K., and Kim, G.-Y., "A Study on the Penetration Resistance and Spalling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by Impact of High Velocity Projectil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5, No. 1, 2013, pp. 99-106 (in Korean). 

  11. Zhang, M. H., Shim, V. P. W., Lu, G., and Chew, C. W., "Resist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to Projectile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1, No. 7, Aug. 2005, pp. 825-841. 

  12. Beppu, M., Miwa, K., Itoh, M., Katayama, M., and Ohno, T., "Damage Evaluation of Concrete Plates by High-Velocity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5, No. 12, Dec. 2008, pp. 1419-1426. 

  13. Hsu, L. S. and Hsu, C.-T. T., "Stress-Strain Behavior of Steel-Fiber High-Strength Concrete under Compression", ACI Structural Journal, Vol. 91, No. 4, 1994, pp. 448-457. 

  14. Lee, H.-H. and Lee. H. J., "Characteristic Strength and Deformation of SFRC Considering Steel Fiber Factor and Volume Fr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6, No. 6, 2004, pp. 759-766 (in Korean). 

  15. ACI Committee 544, ACI544.4R-88 (Reapproved 2009) Design Considerations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88. 

  16. Ezeldin, A. S., and Balaguru, P. N., "Normal- and High-strength Fiber-Reinforced Concrete under Compression",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4, No. 4, Nov. 1992, pp. 415-429. 

  17. ACE, Fundamentals of Protective Structure. Report AT120 AT1207821, Army Corps of Engineer, Office of the Chief of Engineers, 1946. 

  18. NDRC, Effect of Impact and Explosion, Summary Technical Report of Division 2, vol. 1, National Defence Research Committee, 1946. 

  19. Hughes, G., " Hard Missile Impact on Reinforced Concrete",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77, 1984, pp. 23-35. 

  20. Haldar, A. and Hamieh, H. A., " Local Effect of Solid Missiles on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10, No. 5, 1984, pp. 948-9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