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퇴골절 수술을 받은 노인의 통증, 우울, 건강행위와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ain, Depression, Health behavior,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after Femur Fracture Surgery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2 no.1, 2015년, pp.1 - 12  

신순식 (삼성창원병원)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pain, depression, health behavior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older adults after femur fracture surgery.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Ninety seven outpatients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고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우울, 건강행위,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와 일상생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은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고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우울, 건강행위,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고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우울, 건강행위와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퇴골절수술노인을 대상으로 통증, 우울, 건강 행위 및 일상생활수행능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고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65세 이상이며 연구에 자의적으로 동의한 9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퇴골절 수술을 받은 노인의 통증, 우울, 건강행위와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고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우울, 건강행위, 일상생활수행능력 정도와 일상생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은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퇴골절로 수술을 받고 퇴원 후 외래를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우울, 건강행위,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퇴골절은 무엇을 포함하나? 대퇴골절은 고관절 골절과 대퇴골 골간 골절을 포함하며, 노년층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은 대퇴골 경부 골절과 대퇴골 전자 간 골절로 보고되고 있다(Suh & Kim, 2009).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자료를 사용하여 4년간 국내 50세 이상 고관절 골절 입원 환자에 대한 분석에서는 2008년도에 남성은 10 만명 당 97.
골절 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 그러나 노인들은 골절되기 전에 이미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골절 후에는 수술 부위의 더딘 회복속도와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의 회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Kwon & Kim, 2009). 골절 치료의 목표는 골절 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회복 및 합병증 없는 치료이다(Oh, 2003). 특히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저하는 와상상태로 진행되며, 이는 노인성 폐렴, 욕창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여 노인을 사망에 이르게 하므로 노인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빠른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회복은 수술의 합병증을 예방할 뿐 아니라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요한 간호목표가 된다(Oh & Im, 2003)
노인들에게 고관절 골절 수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국내 노인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1개월, 6개월, 1년 내 사망의 위험은 연령, 건강상태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게 높아서(Choi, 2012) 고관절 골절 수술은 중요한 치료적 접근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노인들은 골절되기 전에 이미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골절 후에는 수술 부위의 더딘 회복속도와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의 회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Kwon & Kim, 2009). 골절 치료의 목표는 골절 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회복 및 합병증 없는 치료이다(Oh,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2. Byeon, Y. S. (2006).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gend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8(2), 128-135. 

  3. Cho, H. S. (2003).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muscular-skeletal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4. Cho, M. J., Bae, J. N., Suh, G. H., Hahm, B. J., Kim, J. K., Lee. D. W., et al.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1), 48-63. 

  5. Choi, H. J. (2012). Effect of surgery on mortality after hip fracture in elderly: Focused on timing of surge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6. Choi, Y. H., & Kim, S. Y. (1997).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ent tool of the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3), 601-613. 

  7. Chung, M. H. (2009).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hip fracture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Fierens, J., & Broos, P. L. O. (2006). Quality of life after hip fracture surgery in the elderly. Acta Chirurgica Belgica, 106, 393-396. 

  9.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1986). Pain terms: A current list with definitions and notes on usage. Pain, 24 (S1), S216-S221. http://dx.doi.org/10.1016/0304-3959 (86)90113-2 

  10. Jang, H. S., & Park, O. J. (2001).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influencing factors in postoperative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3(1), 53-62. 

  11. Jang, Y. S. (2011). A study of fall related variables, ADL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due to fall inju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12. Kim, M. H. (2002). A study on the pain and health behavior in the elderly who have the degenerative arthriti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8, 247-272. 

  13. Kim, S. Y., Won, C. W., & Roh, Y. K. (2004).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Bathel ADL index.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5(7), 534-541. 

  14. Kwon, Y. S., & Kim, H. J. (2009). Review quality of lif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21(1), 17-21. 

  15. Lee, J. A. (2012).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n leaving the hospital among elders with fracture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6. Lee, J. K. (2003). A survey study o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fractures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 (3). 326-334. 

  17. Lin, P. C., & Chang, S. Y. (2004). Functional recovery among elderly people one year after hip fracture surger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2(1), 72-76. http://dx.doi.org/10.1097/01.jnr.0000387490.71062.4a 

  18. Maggis, C., & Abedi, H. A. (1997). Identifying the health need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omaha classification schem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4), 698-703.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7.00397.x 

  19. Oh, H. L., & Feldt, K. S. (2000). Pain and hip fracture outcomes for older adults. Orthopedic Nursing, 19(6), 35-44. http://dx.doi.org/10.1097/00006416-200019060-00008 

  20. Oh, H. Y. (2003). Pain, functional status at discharge, factors influencing recovery in elderly patients following hip surger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1), 82-90. 

  21. Oh, H. Y., & Im, Y. M. (2003). Promoting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hip fracture surgery among Korea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3(3), 49-62. 

  22. Park, O. J., & Jang, H. S. (2003).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covery of daily activit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in postoperative elderly patients with femur fracture.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8(1), 151-161. 

  23. Park, S. K.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pain, depression, family support and health behavior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Pee, M. S. (2002).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at home with chronic pain on daily activities and health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5. Song, M. S., Kim, S. K., & Kim, N. C. (2010).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1-28. 

  26. Suh, Y. S., & Kim, B. M. (2009). Orthopaedic surgical treatment of hip fractures. Journal of Korean Hip Society, 21(2), 127-140. 

  27. Voshaar, R. C. O., Banerjee, S., Horan, M.. Baldwin, R., Pendleton, N., Proctor, R., et al. (2007). Predictors of incident depression after hip fracture surgery.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9), 807-814. 

  28. Yesavage, J., Brink, T., Rose, T., Lu, O., Huang, V., Adey, M., et al.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http://dx.doi.org/10.1016/0022-3956 (82)90033-4 

  29. Yoo, J. S. (2011). Study on family burden and activity of daily of living of elderly experienced hip joint oper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0. Yoon, H. K., Park, C., Jang, S., Jang, S., Lee, Y. K., & Ha, Y. C. (2011). Incidence and mortality following hip fractu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6(8), 1087-1092. http://dx.doi.org/10.3346/jkms.2011.26.8.10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