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 모형 설계
A Design of Smar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0 no.4, 2015년, pp.147 - 159  

성영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설계한 학습모형은 개념알기, 구현하기, 알아가기, 공유하기 4단계로 구성하였고 단계별 학습교재와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알아가기 단계의 스크래치 신호등 학습교재는 프로그래밍 점검내용을 색깔별로 구분하여 적어서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내면화를 지원한다. 학습자의 학습여건과 상황을 고려한 학습단계별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활동 제공으로 초보 학습자들의 활발한 학습참여와 지속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흥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습모형을 적용한 성취수준 3단계 평가에서 10점 만점에 8점 이상이 60.7%로 만족할만한 성취수준을 얻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design smart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education of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applies it to a class and analyze its result. Designed learning model is composed of understanding of concept, realization, learning and sharing and it includes step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과정에서 초보 학습자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블록을 해결 절차대로 배치하지 못하고 뒤바꾸어 배치하거나, 필요한 블록 생략 혹은 불필요한 블록의 추가 삽입, 잘못된 블록의 배치 등의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한 코딩 블록에 대한 재사용,코딩 블록들로 구성한 모듈을 배치하고 이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기 위해 제시한 워크북과 학습자들 간의 협력활동을 통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학습단계별로 구성된 워크북 중 구현하기 단계의 ‘도와주세요 친구들아’ 영역은 온라인에서 학습자들과 협력할 때 자신의 의견에 대한 직접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 설계한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 모형은 학습자의 학습여건과 상황을 고려한 과제해결과 자료공유를 위해 스마트 교육환경을 활용하였으며 학습단계별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활발한 학습참여 지속을 위한 협력적 학습방법과 지원도구를 학습단계별로 포함하였다. 또한 초보학습자의 학습 문제에 대한 핵심을 파악하고 점검할 수 있는 학습단계별 학습교재를 구성하여 초보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이해와 프로그래밍에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학습활동 참여를 지원하도록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실과교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스크래치를 활용한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모형은 스마트 교육의 기술기반과 협력학습의 장점을 확대하여 초등학교 5학년의 실과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크래치 교육을 위한 스마트 기반 협력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거나 경험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의 지속과 흥미를 높이는데 있다. 따라서 <표 6>과같이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도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흥미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엇인가? 초등학생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EPL)는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만든 것이 아니라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로 초보자들에게 보다 쉽게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만든 언어를 의미한다[11][12].
스마트 교육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가?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교육환경 변화의 흐름에 맞추어 스마트 교육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교육은 학습자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스스로의 학습, 상호간 활발한 교류, 능동적인 협력, 적극적 참여를 지향하고 있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dapting Education to the Information Age",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pp. 12-20, 2009. 

  2. Official press releases of Ministry of Education, http://www.moe.go.kr, Sep. 24. 2014. 

  3. Wae-shik Moon, "Analysis of Error Types occurr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gramming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1, No. 2, pp. 320-322, May. 2006. 

  4. Yourim Jong, Kyeong Hur, "Effects on Metacognition and GALT Logical Thinking Ability in Programming Educations using Squeak e-toy",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4, No. 2, pp. 199-208, Jun. 2010. 

  5. Yong-chul Park, Soojung Lee, "The Effect of Scratch Programming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5, No. 1, pp. 97-99, Mar. 2011. 

  6. Juyeon Park, "An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haracteristics,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a SCRATCH Programming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 83-102, February 2015. 

  7. Seong-hwan Cho, Jeong-Beom Song, Seong-Sik Kim, Seoung-Hey Paik, "The Effect of a Programming Class Using Scratch",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2, No. 4, pp. 376-382, Dec. 2008. 

  8. JeongWon Choi, YoungJun Lee, "The analysis of learners' difficulties in programming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7, No. 5, pp. 90-91, Sep. 2014. 

  9. KyuYon Lim, HeeJoon Kim, Hana Park, "The Effects of learn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7, No. 4, pp. 70-71, Jul. 2014. 

  10. Eunhwa Chon, "Effects of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Collaborative Skills, Collaborative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1, pp. 693-702, Nov. 2013. 

  11. Wikipedia Computer programming, http://en.wikipedia.org/wiki/Computer_programming 

  12. Seong-Hwan Cho, Jeong-Beom Song, Seong-Sik Kim, Kyung-Hwa Lee, "The Effects of CPS-based Scratch EPL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gramming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2, No. 1, pp. 78-86, Mar. 2008. 

  13. Guzdial M, "Programming Environments for Novices", Computer Education Research,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pp. 127-154, May. 2003. 

  14. Seongkyun Jeon, YoungJun Lee, "The Effect of CPS Programming Model on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vergent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5, No. 2, pp. 2-7, Mar. 2012. 

  15. Papert. S, "Mindstorms :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19, No. 3, pp. 279-280, 1980. 

  16. OkHwa Lee, "Logo programming : rationale, effect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Vol. 8, No. 1, pp. 86-92, Jan. 1993. 

  17. Wae-shik Moon, "STEAM Learning Model in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SCRATCH Programmi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7, No. 4, pp. 460-465, Dec. 2013. 

  18. Eunkyoung Lee, "A Task Centered Scratch Programming Learning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2, No. 6, pp. 6-7, Jun. 2009. 

  19. ByeongSu Kim, JongHoon Kim, "Effects of Scratch Programming Learning based on CPS on Verbal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6, No. 6, pp. 11-19, Oct. 2013. 

  20. KyeongMi Ahn, "The Effect of the Programming Educ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Flow and programming abilit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yeongin Education University, pp. 56-58, February 2010. 

  21. Inae Kang, Byungro Lim, Jung-Young Park, "Explor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of Smart Learning: Using cases of university classroo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Methodology, Vol. 24, No. 2, pp. 290-293, May. 2012. 

  22. Soohwan Kim, Seonkwan Han, "The Analysis of Features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formation Education, Vol. 17, No. 3, pp. 250-251, Sep. 2013. 

  23. Jieun Yoo, "The Influence of Learner's Media Literacy,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and Collaborative Preference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 57-61, February 2012. 

  24. Wonseok Suh, Won sug Shin, "An analysis of discussion environment and group size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using Social Networking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Vol. 28, No. 4, pp. 774-776, Dec. 2012. 

  25. Hyun-Ju Kim, "Developing and Instruction Model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Smart Learning: A Design-Based Research Study", Graduate School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 132-134, February 2014. 

  26. CREATIVE COMPUTING, http://scratched.gse.harvard.edu/guid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