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모형을 이용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조사면적 관계 해석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Indices and Survey Are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Using Mathematical Model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1 no.6, 2015년, pp.610 - 618  

공동수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아름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ample size (accumulated survey areas) on the seven biological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MI, the index similar to Zeilika-Marvan’s saprobic index, tended to be independent on the variations of sample size. The other indic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경기도에 위치한 오산천을 대상으로 누적조사면적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간의 관계를 수학적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서식처 이질성 지수를 새로이 제시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근사최대면적과 반포화면적의 비로 표현되는 무차원 지수(h)를 새로이 도출하고 기존에 제시되었던 반포화면적(Kong and Kim, 2015)과의 적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Table 4).
  • 본 연구에서는 물리·화학적 상태가 다소 불량한 경기도 오산천의 상·중·하류 지점에서 각각 15회 연속 채집한 결과를 확률적으로 조합하여 누적조사면적에 따른 군집지수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수학적 모형들을 적용하여 면적과 군집지수간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또한 Kong and Kim (2015)의 연구에서 서식처 이질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제시되었던 반포화면적(이론적인 총 종수의 1/2에 해당하는 종수를 보이는 조사면적)과는 달리 서로 다른 하천들 간의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한 무차원적인 서식처 이질성 지표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Kong and Kim (2015)의 오산천 지점별 방형구(30×30cm Surber sampler)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군집지수는 각 방형구별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를 어떻게 누적하는지에 따라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전의 연구(Kim et al.
  • 조사대상 하천으로 선정된 오산천은 경기도 용인시·화성시·평택시 등 도심 사이를 흐르는 하천으로 수질 및 물리적 환경이 다소 양호하지 못하다. 조사지점은 고도에 따라 상류, 중류, 하류의 각 1개 지점이었다(Fig.
  • 출현종수와 더불어 군집구조의 분석 또는 환경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흔히 이용되고 있는 7가지의 군집지수를 선정하여 검토하였다(Table 2).

이론/모형

  • 각 지점의 고도(altitude)와 하폭(channel width), 수폭(water width), 유속(water current), 하상(substratum) 등의 자료는 Kong and Kim (2015)의 측정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질은 2012년 수질측정망자료(MOE, 2012) 중 해당 조사지점의 연 평균치 자료이다.
  • Kong and Kim (2015)의 오산천 지점별 방형구(30×30cm Surber sampler)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군집지수는 각 방형구별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를 어떻게 누적하는지에 따라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전의 연구(Kim et al., 2013; Kong and Kim, 2015)에 따라 각 조사단위(sampling unit)의 합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여(Table 1) 분석하였다.
  • 종수와 마찬가지로 조사면적에 따른 다양도지수, 우점도지수, 균등도지수, EPT 지수, Margalef의 종풍부도지수의 변화는 와이블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지수값(Im)에 대한 측정 지수값(I)의 비(I/Im)를 종속변수, 조사면적(z)을 독립변수로 할 경우 조사면적에 따른 와이블 모형의 누적분포함수는 식 (4)가 된다.
  • 수질은 2012년 수질측정망자료(MOE, 2012) 중 해당 조사지점의 연 평균치 자료이다. 평가에 이용된 수질 항목은 용존산소(Dissolved Oxygen)와 BOD5 (5-day Biochemical Oxygen Demand), T-N (Total-Nitrogen), T-P (Total-Phosphorus)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BOD5를 기준으로 부수성(saprobity)을 판정하였고, Vollenweider (1974)의 방법을 이용하여 총 인 농도에 따라 영양상태(trophic state)를 분류하였다(Kong and Kim,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rhenius, O. (1921). Species and Area, Journal of Ecology, 19, pp. 95-99. 

  2. Bagon, M., Harper, J. L., and Townsend, C. R. (1986). Ecology: Individuals, Populations and Communities, Blackwell Science, Oxford, pp. 876. 

  3. Bartsch, L. A., Richardson, W. B., and Naomi, T. J. (1993). Sampl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a Large Flood-Plain River: Considerations of Study Design, Sample Size, and Cost,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52, pp. 425-439. 

  4. Benton, T. G., Vickery, J. A., and Wilson, J. D. (2003). Far­mland Biodiversity: is Habitat Heterogeneity the Key?,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8(4), pp. 182-188. 

  5. Boyle, T. P., Smillie, G. M., Anderson, J. C., and Beeson, D. R. (1990). A Sensitivity Analysis of Nine Diversity and Seven Similarity Indices, Research Journal of the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62, pp. 749-762. 

  6. Cao, Y., Williams, D. D., and Larsen, D. P. (2002). Comparison of Ecological Communities: The Problem of Sample Repre­sentativeness, Ecological Monographs, 72(1), pp. 41-56. 

  7. Duggan, I. C. and Coller, K. J. (2002). Evaluation of Inver­tebrate Biometrics and the Influence of Subsample Size Using Data from Some Westland, New Zealand, Lowland Streams,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36, pp. 117-128. 

  8.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3), pp. 345-366. 

  9. Kim, A. R., Oh, M. W., and Kong, D. S. (2013). The Influence of Sample Size on Environment Assessment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6), pp. 790-798. [Korean Literature] 

  10. Kong, D. S., Son, S. H., Kim, J. Y., Won, D. H., Kim, M. C., Park, J. H., Chon, T. S., Lee, J. E., Park, J. H., Kwak, I. S., Kim, J. S., and Ham, S. A. (2012). Develope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for Biological Assessment on Stream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2012 Spring Conference and Water Environmental Forum of Yeongsan River, Korean Society of Limnology, pp. 33-36. [Korean Literature]. 

  11. Kong, D. S. and Kim, A. R., (2015).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Species and Survey Are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Using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2), pp. 142-150. [Korean Literature] 

  12. Lenat, D. R. (1988). Water Quality Assessment of Streams Using a Qualitative Collection Method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7, pp. 222-233. 

  13. Lorenz, A., Kirchner, L., and Hering, D. (2004). ‘Electronic Subsampling’of Macrobenthic Samples: How Many Indivi­duals are Needed for a Valid Assessment Result?, Hydro­biologia, 516, pp. 299-312. 

  14. Ludwig, J. A. and James, F. R. (1988). Statistical Ecology: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pp. 86. 

  15. MacArthur, R. H. and Wilson, E. O. (196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1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pp. 36-71. 

  17. Menhinick, E. F. (1964). A Comparison of Some Species-Indivi­duals Diversity Indices Applied to Samples of Field Insects, Ecology, pp. 859-861. 

  18.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pp. 168-169. 

  19.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http://water.nier.go.kr/waterMeasurement/selectWater.do (accessed Jun. 2012). 

  20. Morin, A. (1997). Empirical Models Predicting Population Abun­dance and Productivity in Lotic System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13, pp. 319-337. 

  21.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p. 165. 

  22. Resh, V. H. and Price, D. G. (1984). Sequential Sampling: A Coast-Effective Approach for Monitor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nviron­mental Management, 8(1), pp. 75-80. 

  23. Shannon, C. 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4. Sládeček, V. (1969). The Measures of Saprobity, Verhandlungen des Internationalen Verein Limnologie, 17, pp. 546-559. 

  25. Sládeček, V. (1973). System of Water Quality from Biological Point of View, Archiv für Hydrobiologie, Beiheft. Ergebnisse der Limnologie, Stuttgart, 7, pp. 218. 

  26. Vlek, H. E., Sporka, F., and Krno, I. (2006) Influence of Macroinvertebrates Sample Size on Bioassessment of Streams, Hydrobiologia, 566, pp. 523-542. 

  27. Vollenweider, R. A. (1974). A Manual on Methods for Measu­ring, Primary Production in Aquatic Environments, IBP Hand­ book No. 12, International Biological Programme,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pp. 225. 

  28. Weibull, W. (1951). A Statistical Distribution Function of Wide Applicability,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18, pp. 293-296. 

  29. Yoon, I. B., Bae, Y. J., Ro, T. H., Lee, S. J., and Park, J. H. (1998). Determination on the Optimal Sample Size in the Aqu­atic Insect Community Analysis - Pangtae Creek Model,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1(5), pp. 409-4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