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결혼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대상화된 전형화를 넘어서기
A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Marriage Immigrants' Marital Life: Beyond Objectified Typ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773 - 1784  

박소영 (세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관점에서 결혼생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Giorgi의 현상론적 방법론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여성결혼이주민의 결혼생활 경험의 의미는 '사랑, 그 다양한 빛깔의 끌림', '남편, 참 좋은 사람', '맞닥뜨린 현실', '자녀, 안정과 기쁨 그리고 버거움', '한국 아줌마처럼 살아내라는 남편', '부대끼고 아련한 시부모와 친정부모', '결혼은 나의 힘: 노력하게 하는 원동력', '결혼생활을 넘어 공동체로' 이렇게 8가지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결혼생활의 의미는 사랑에 끌려 결혼한 참 좋은 사람과 낯설고 두렵지만 부대끼면서 한국 아줌마처럼 살아나가기였다. 이는 결혼이민자를 대상화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부정적인 전형화를 넘어서는 결과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marital life from the point of women marriage immigrant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ology by Giorgi. Results showed that the meaning of marriage life were 'love, the attraction of various colors','husband, really good person', 'the real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건강가정지원센터와 통합됨을 보면서 어떤 점을 예측할 수 있는가? 다행스러운 것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건강가정지원센터와 통합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정책 전환은, 비용절감이라는 이유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건강가정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다문화가족을 함께 아우르기 시작했다는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결혼이민자들을 한국사회의 결혼과 출산에 관련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희생자이거나 가정폭력의 피해자 혹은 경제적 수단으로 결혼을 이용하는 여성의 모습으로 전형화 시키지 않고, 결혼이민자들의 있는 그대로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결혼이민자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어떤 점에서 다른가? 그러나 그러한 연구들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이 분명히 갈등과 문제를 지녔을 것이고, 그래서 다문화가족은 건강하지 않은 가족이자 개입이 필요하다는 선입견을 만들지는 않았는가에 대한 우려에서 본연구는 시작되었다. 결혼이민자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하여 2000년대에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우선 국제결혼의 상품화 측면이 강조되면서 결혼이민자의 결혼 동기를 경제적인 이유를 비롯한 자신의 삶의 향상[6]으로 보는 연구와 다른 한편 가정폭력 희생자로 결혼이민자를 보는 연구[7,8], 결혼이민자 결혼만족도와 가족생활에 관련된 연구[9,10,11,12], 결혼이주여성의 적응과 건강성,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13,14,15]으로 대별 된다. 선행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적응 정도가 낮게 제시되었다[9,10,11].
다문화가족을 위한 어떤 정책들이 펼쳐졌는가?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에 의시에 진행되었다하면 다문화가족은 266,547가구이며 결혼이민자는 283,224명으로, 이 중 여성이 226,084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1]. 배우자와 자녀까지 포함하면 70여만 명으로 추정되는 다문화가족을 위해 우리 사회는 2006년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과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 등을 위시하여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여러 지원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민족 신화에 기반 한 우리 사회의 분위기로 인해 결혼이주민은 우리 사회에 동화되기만을 요구당한 채 제대로 적응하고 통합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2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2. W. S. Choi, "A Study on the Social-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The Journal of Asian Women, Vol. 46, No. 1, pp.141-181, 2007. 

  3. J. Y. Choi, I. Y. Choi, "Cultural Sociology's Approach toward Immigrant Women: Focusing on Methodological and Ethical Issues", Culture and Society, Vol. 4, pp. 147-205. 2008. 

  4. N. Constable, "Introdiction: Cross-Border marriages, Gendered Mobility, and Global Hypergamy', N. Constable (ed.). Cross-Border Marriages: Gender and Mobility in Transnationsl Asi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 Piper, Nicola. 2006. "Gendering the Politics of Migr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0: 1133-1164. DOI: http://dx.doi.org/10.1111/j.1747-7379.2006.00006.x 

  6. O. H. Chae, E. J. Han, B. H. Song, "A Study on the Korean Family Life and Marriage Motives, Support, and Experience of Cambodian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Husband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6, No. 4, pp.111-129, 2012. 

  7. K. S. Ko, 'Experience of Foreign Wives Who Have Been Abused by Their Family', Victim Research, Vol. 18, No.1. pp. 2010. 229-259. 

  8. O. N Kim, "A Study on Marital conflicts and Abuse of Immigrant Women-Focusing on Socio-Cultural Variabl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18, pp. 33-76, 2006. 

  9. H. R. Sung,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Daegue and Gyeongbuk Area",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7, No. 2, pp. 219-239, 2011. 

  10. M. H. Byun, J. J. Kang, "Factors of Married Couples Influenc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5, No. 2, pp. 127-141, 2010. 

  11. S. J. Won, I. U. Song, "The Effect of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 2, pp. 95-113, 2011. 

  12. H. Chung, J. Y. Lim,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Immigrant Wives and Korean Wives of Korean 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49, No. 5, pp. 33-48, 2011.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1.49.5.033 

  13. A. J. Lee, Y. S. Choi, "Marital Conflicts and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among Immigrated Women Focusing on Typology of Cultura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0, No. 1, pp. 71-90, 2011.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1.20.1.071 

  14. H. S. Kim, K. S. Kim, "A Study of Related Variables to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en Couples", Korean Family Relations, Vol. 16, No. 2, pp.59-86, 2011. 

  15. S. H. Park,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table Marriage Life in Married Immigrant women-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a Cultural Adaptation Attitud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6, No. 1, pp.89-109, 2011 

  16. A.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