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간보호시설 치매환자의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효과-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Dementia Patient in Day-c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055 - 2063  

이성아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정원미 (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황윤정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생명원구원) ,  박정아 (경기도광역치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에게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65세 이상 치매진단을 받은 9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총 4주간 감각적, 신체적,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전 후 시지각 기능,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실시 후에 대한 분석 결과 시지각 기능과 작업수행에서는 기초선과 프로그램 종결 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p<0.01, p<0.05)가 있었지만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서는 프로그램 전 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의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visual perception of patients with mild dementia, who have been provided with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ithin community day-care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전․후 시지각 기능과 작업수행기술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치매환자는 매년 급증하고 있고 이로 인한 치매환자의 치료 및 관리비용은 크게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27].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시지각 기능과 작업 수행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에게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 추이 및 전망은 어떠한가? 노인인구는 범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2000년도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 이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이상으로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2]. 이러한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노인성 질환인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주간보호사업의 대상자는 누구인가? 우리나라 노인주간보호사업의 대상자는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노인으로서 65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권자와 저소득노인 그리고 65세 이상의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주간보호이용 노인 중 서울시 소재 노인 주야간보호시설(91개소)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노인성질환 중 치매가 72%, 기타 질환(중풍 등)이 28%로 이용자의 대부분에게 치매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치매환자에 대한 치료 중 비약물적 치료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치매환자에 대한 치료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적 치료가 함께 실시되어야 하며 비약물적 치료는 치매환자의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된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운동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회상치료, 행동치료, 다감각치료, 애완동물을 이용한 치료, 기능적인 인지훈련, 치료적 작업을 이용한 작업치료 등이 있으며, 가정방문, 주간보호시설 혹은 노인병원 등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Seoul: Korea. 2010. 

  2.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2010 Based o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eoul: Korea. 2011. 

  3. J. I. Shin, Y. A. Yang,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present status in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Vol. 1, No. 1, pp. 11-19, 2009. 

  4. S. Y. Kim, H. R. Kim. "Adopt dementia special grade and dementia insurance commodity of insurance Company", Kiri Weekly, Vol. 282, pp. 11-14, 2014. 

  5. B. H. Oh, Y. K. Kim, J. H. Kim, Y. S. Shin,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The Korean Neuropsychiatiric Association, Vol. 42, No. 4, pp. 514-519, 2002. 

  6. G. A. Kielhofner, Model of human occupational : Theory and applica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002. 

  7. J. S. Wang. The effects of hand movement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ility in the dementia old adults(master's thesis). Yong-in: Yong-in University. 2004. 

  8.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secon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2, pp. 625-68, 2008. DOI: http://dx.doi.org/doi:10.5014/ajot.62.6.625 

  9. J. Creek, L. Lesley,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nd Mental Health committee. Occupational therapy and mental health.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2012. 

  10. W. M. Jeong, "The effect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in mild case of dementi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1, No. 1, pp. 46-55, 2007. 

  11. S. J. Shin, J. S. Lee, S. K. Kim, B. J. Jeong "The effect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r Mild Demen tia Pati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1, No. 3. pp. 45-60. 2013. 

  12. J. S. Kang, I. H. ,Jeong, J. H. Yang, "Effects on senior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of female elderly with light dementia by continuous and intermittent exerci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11, pp. 4234-4243,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11.4234 

  13. B. H. Lee, J. S. Park, N. R. Kim,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gait,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0, No. 2, pp. 307-328, 2011. 

  14. C. Blakemore, J. A. Mvshon, Sensory system: Introduction. In Gazzaniga M.S., editor: The Cognitive neurosciences. Landon: MIT press. 1996. 

  15. K. S. IshiharaIshihara, M. Nagamachi et al. "Independence of older adults in perform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s) and the relation of this performance to visual abilities", Theoretical Issue in Ergonomics science, Vol. 5, No. 3, pp. 198-213, 2004. 

  16. I. S. Kwak, "Program of activities and services of the adult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ith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in the U.S.A.",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40, No. 10, pp. 123-139, 2002. 

  17. T. Brown, E. Mullins, K. Stagnitti, "The reliability of performance of healthy adults in three visual perceptual test",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671, No. 10, pp. 438-447, 1996. 

  18. S. M. Yang,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ementia day-care program.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2000. 

  19. J. H. Lee, K. U. Lee, D. Y. Lee, K. W. Kim, J. H. Jhoo, J. H. Kim, K. H. Lee, S. Y. Kim, S. H. Han, J. I. Woo,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of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CERAD-K):Clinical and neuro-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The Journal of Gerontology, Vol. 57, No. 1, pp. 47-5, 2002.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7.1.P47 

  20. C. Y. Kwon, J. H. Park. "Part 1 :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C)", The Korean Neuropsychiatirc Association, Vol. 28, No. 1, pp. 125-135, 1989. 

  21. L. Mercier, R. Hebert, R. Colarusso, D. Hammill.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format, Navato: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1997. 

  22. K. Rockwood, S. E. Doble, J. D. Fisk, K. M. MackPherson, N. Lewis, Measuring functional change in elderly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Final report to the Alzheimer Society of Canada, Halifax: Dalhousie University, 1996. 

  23. S. E. Doble, A. G. Fisher, K. M. MacPherson,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with elderly adults with dementia Final report to the Alzheimer's Association. Halifax: Dalhousie University. 1992 

  24. C. K. Allen, Occupational therapy for psychiatric diseas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cognitive disability, Boston: Little Brown. 1985 

  25. D. Voyetich, M. Jensen, B. Sigford, J. Mehr, Relationship between the Allen cognitive levels and Rancho Los Amigos cognitive levels. Brain injury association conference. 2002. 

  26. D. I. Velligan, J. E. True, R. S, Lefton, T. C. Moore, C. V. Flores, "Validity of the allen cognitive level assessment: a tri-ethnic comparison", Psychiatry Research. Vol. 56, No. 2, pp. 101-109, 1995. DOI: http://dx.doi.org/10.1016/0165-1781(95)02532-7 

  27. H. Gho, Z. K. Ko, "Current State of Senile Dementia and Improvement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2, pp.5816-5825,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5816 

  28. S. B. Lee, K. W. Kim,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Vol. 52, No. 11, pp. 1069-1076. 2009. DOI: http://dx.doi.org/10.5124/jkma.2009.52.11.1069 

  29. Korean Dementia Association.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Seoul: Academia. 2006. 

  30. S. J, Shin, J. S. Lee, S. K. Kim, B. J. Jeon, "The effect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for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1, No. 3, pp. 45-60, 2013. 

  31. W. M. Jeong, "The effect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in Mild Case of Dementia".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1, No. 1, pp. 46-55, 2007. 

  32. H. S. Le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a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elderly.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5, No. 1, pp. 55-6, 2011. 

  33. E. J. Kim, Y. A. Yang, "A study on the need for visual perception test of normal elderly in community",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7, No. 2, pp. 26-32, 2013. 

  34. W. M. Jeong, Y. J. Hwang, J. C. Youn.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1, pp. 127-140, 2010. 

  35. H. J. Lee, The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Visual perception, performance and brain Mapping in Alzheimer's Dementia. Daegu :Daegu University. 2008. 

  36. N. R. Dooley, J. Hinnojosa,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Brief",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8, pp. 561-569, 2004. DOI: http://dx.doi.org/10.5014/ajot.58.5.561 

  37. S. Josephsson, L. Backman, L. Borrell, L. Nygard, B. Bernspang,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ementia".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rch, Vol. 15, No. 1, pp. 36-49,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