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회가 있는 치매노인에게 신체 그룹 작업치료 참여가 인지기능, 심리행동증상 및 사회적 행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Group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Social Behavior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Wandering Dementi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2 no.1, 2012년, pp.85 - 96  

송병남 (주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배회가 있는 치매 노인에게 신체 그룹 작업치료 참여가 인지기능, 심리행동증상 및 사회적 행동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전 ${\bigcirc}{\bigcirc}$요양원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중 고도의 치매(MMSE-K 9점 이하)를 가지고 있는 노인 13명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주 1회 총 9회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배회유형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Algase Wandering Scale-V2를 사용하였고,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인지기능 척도를 사용하였고, 심리정신행동을 알아보기 위해서 Neuropsychiatric Inventory-Questionnaire (NPI-Q)를 사용하였으며, 사회행동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여 신체그룹 작업치료를 시행하기 전과 후를 살펴본 결과 인지도 기능손상정도와 심리행동증상은 감소되었으나, 유의한 결과(p>0.05)를 얻지는 못하였고, 사회적 행동기능, 심리행동증상의 심각정도, 배회의 정도는 유의하게 감소(p<0.05)된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 : 신체 그룹 작업치료를 한 결과 고도의 치매노인도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회적 행동기능, 심리행동증상의 정도, 배회의 정도가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치매를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도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며, 앞으로 충분한 대상자와 대조군 그리고 치매노인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in physical group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neuropsychiatric, social behavior in elderly with wandering dementia. Methods : Thirteen elderly with wandering dementia who live in nursing home in this study. 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배회가 있는 치매 노인에게 신체 그룹 작업치료를 적용하여 인지기능, 심리행동증상 및 사회적 행동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Duncombe와 Howe(1985)가 분류한 10개의 그룹형태 중 운동그룹과 예술과 수공예그룹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선별하였고, 치매노인이 회상을 할 수 있는 어릴 적 놀이를 작업치료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선별하였으며(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9), 요양원에 거주하는 치매노인들이 접근하기 쉽고 효율적인 신체 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배회가 있는 치매 노인에게 신체 그룹 작업치료를 적용하여 인지기능, 심리행동증상 및 사회적 행동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Duncombe와 Howe(1985)가 분류한 10개의 그룹형태 중 운동그룹과 예술과 수공예그룹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선별하였고, 치매노인이 회상을 할 수 있는 어릴 적 놀이를 작업치료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선별하였으며(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9), 요양원에 거주하는 치매노인들이 접근하기 쉽고 효율적인 신체 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배회가 있는 치매노인에게 신체 그룹 작업치료를 적용하여 인지기능과 심리행동증상, 사회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2010년 7월 8일부터 동년 9월 29일까지 주 1회(목요일), 총 9회 실시하였으며, 회차별 신체 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과 세부설명은 표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배회가 있는 치매노인에게 신체 그룹 작업치료가 인지기능, 심리행동증상, 사회적 행동기능과 배회의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요양원 내에서 배회가 있는 치매노인을 위한 효율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노인 증상 심각도의 총점은 0~36점이며, 그로 인한 보호자 고통정도의 총점은 0~60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와 보호자 및 요양보호사에게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행동증상의 수와 노인 증상의 심각도 두 가지만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각 항목은 치매노인의 가족 또는 간병인에 의해 작성되며, 노인 증상의 심각도와 그로 인한 보호자의 고통 정도로 나누어 심각도는 0~3까지, 고통정도는 0~5까지 각각 평가하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양원에서 치매노인을 직접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에게 연구자가 연구의도와 기입 방법을 설명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노인 증상 심각도의 총점은 0~36점이며, 그로 인한 보호자 고통정도의 총점은 0~60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주요 원인질환은 무엇인가? 치매의 주요 원인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이 가장 많고 혈관성 치매가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McCullagh, Craig, McIlroy, & Passmore, 2001). 치매란 단순히 기억력만 저하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인지 기능인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 능력과 판단력을 포함한 전두엽 집행기능 등의 장애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한다(유호신, 2001).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의 주요 원인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이 가장 많고 혈관성 치매가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McCullagh, Craig, McIlroy, & Passmore, 2001). 치매란 단순히 기억력만 저하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가진 여러 가지 인지 기능인 기억력, 주의력, 언어기능, 시공간 능력과 판단력을 포함한 전두엽 집행기능 등의 장애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한다(유호신, 2001). 또한 우울증이나 불안등과 같은 이상 심리행동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대한치매학회, 2006).
치매환자의 이상 심리행동증상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우울증이나 불안등과 같은 이상 심리행동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대한치매학회, 2006). 특히 인격변화, 망상, 불안, 우 울 등의 심리행동증상은 치매노인의 모든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간병하는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함으 로써 중요한 조기 수용화(institutionalization)의 원인이 된다(대한치매학회,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