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요양시설 치매환자에서 인지작업치료프로그램의 인지와 손기능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a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cognition and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798 - 4804  

강은영 (호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정복희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에게 인지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인지기능과 우울, 수부기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9월에서 12월까지 일개광역지역 소재 요양원에 입소한 환자를 중심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9명의 전체 21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신체활동을 포함한 현실인식 훈련, 점진적 단어소실기법, 수공예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심의 인지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서 인지기능, 우울정도, 수부근력과 수부조화운동에서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5). 그 결과 본 인지작업치료프로그램은 치매환자에서 우울감소와 수부근력 및 수부조화운동, 인지기능 회복을 위한 유용한 중재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치매는 주로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조기중재를 통해서 환자의 잔존기능 유지와 사회복귀를 위한 다양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evaluate the effect of a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hands function for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local community.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f 10 weeks focusing on the occupational therapy is conduct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약물적 중재방법인 작업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회복과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향후 지역사회 치매관련 요양 시설이나 기관에서 치매치료 및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에게 작업치료 중심으로 인지활동을 중재한 후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정도, 수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치료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치매 치료는 크게 약물적 중재와 비약물적 중재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약물적 중재는 정신병적 행동, 우울증, 초조, 공격성 및 탈억제 행동, 심리증상 등을 야기 시키는 주된 치료로 약물적 중재가 제안되고 있으나 임상에서 실제로 느끼는 안타까움은 약물에 의한 부작용의 문제로 약물을 투약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약물에잘 반응하지 않는 행동심리 증상들이 존재한다[5]. 따라서 부작용 없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남아있는 능력을 최대한 끌어내어 지역사회에 적응하고 참여 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 방법이 필요하다[7].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란 언어능력, 기억, 판단력, 행동 등을 관할하는 뇌의 기능에 지속적인 손상을 미치는 복합적인 임상 증후군으로[3] 많은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경험하게 되는 기억감퇴보다 훨씬 심각한 상태로 뇌신경 세포의 광범위한 소실로 인한 행동, 성격, 사고 및 판단, 일상생활과 사회생활, 인간관계를 원만히 이루어 가기 힘들 만큼 인지기능이 심하게 저하 될 뿐 아니라[4] 이상 행동, 불안 우울감으로 지역사회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나 능력에 제한을 갖는다[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는 2010년 60세 이상의 노인을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 치매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적기에 적절한 치료와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6] 치매의 조기 치료와 예방에 관한 관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치매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시행할 치매거점 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치매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치매환자 및 가족지원제도 확대를 위한 공립요양병원의 운영과 보건소에 등록된 경증치매환자와 인지력이 저하된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재활팀을 구성하여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 Y. Lee, J. H. Lee, Y. S. Ju, K. U. Lee, K. W. Kim, J. hoo, J. H,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Older people in an Urban Population of Korea: The Seoul Study. J Am Geriatr Soc, Vol.50, No.7, pp.1233-9,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532-5415.2002.50310.x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Projections by Province : 2013-2040 (Based on the 2010 Census), 2011 

  3. W. M. Jeong, C. S. Park, Y. J. Hwang, A Study on Job Competenc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 Focusing on Job Analysis in Dementia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Vol,21, No,3 pp.15-60. 2013. 

  4. Yang YA.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Plus cognitive aging-friendly workbook. pp.5-25, Dong Joo, 2014. 

  5. The Korean Association for Dementia. Approach to clinical dementia. pp, 641-647, Academia, 2006.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Master Plan. pp.4-21, Seoul, Korea, 2012. 

  7. B. H. Chong, The Effect of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 Living Elde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11, No,3, pp.317-325, 2013. 

  8. Wang, JS. The effects of hand movement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ility in the dementia old adults.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g-in University, 2004. 

  9. W, M, Jeong, D, Y, Lee, S, H, Ryu, Y, J, Hwang,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 J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Vol.16, No,4, pp.51-62, 2008. 

  10. M, F, Folstein, S, E. Folstein, & P, R. Mchugh, Mi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n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2, No,3 pp.189-198, 1975. 

  11. Y, C, Gwon & J, H, Bak.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8 No.1, 1989. 

  12. G, G, Fillenbaum. B. Peterson & J. C, Estimating, the validity of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the CERAD experience. Aging Clin Exp Res pp. 8:379-385, 1996. 

  13. J. A.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V. Huang, M. B. Adey & V. 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Vol,17, pp.37-49. DOI: http://dx.doi.org/10.1016/0022-3956(82)90033-4 

  14.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Cognitive Health Center Program Manual 1, Seoul: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pp.96-98. 2008. 

  15. Fess E, Moran C, Clinical Assessment Recommendation, American Society Hand Therapists. pp.6-8, Philadelphia, 1981. 

  16. K. Marjorie, F. Judy, S. Norman, Hand strength and dexterity, Am J Occu Ther, Vol,25, pp.77-83, 1971. 

  17. Lim JM. A Study on the Status of Self-reliance Support and Improvement Methods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the Aged in Korea in Aged Society, Graduate School of Namseoul University, pp.1-12, 2013. 

  18. H, H, Shin, H-y, So, A, Y, Lee, Comparing Clinical Usefulness of Cognitive Function Tests (CDT, K-MMSE, K-3MS, CDR) in Dementia Patient,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11, No,2, pp.90-98, 2008. 

  19. K, M, Lim & J, H, Park,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Appli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21 No,2 pp.1-12, 2014. 

  20. Carol T, Margaret D. Ctafts and Creative Media in Therapy. New Jersey USA 3rd ed: SLACK. pp.7-25, 2009. 

  21. H, R, Kyoung, Y, W, Kang, D, L. Na, K, H, Lee & C, S, Chung.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Dementia Patient,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9, No,1, pp.117-129. 2000. 

  22. J, Lee & S, M, Shin,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on and ADL of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3, No,4 pp.17-3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