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굽관절 각도가 악력과 위팔노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asp strength and brachioradialis thickness in elbow joint ang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073 - 2078  

박정아 (경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 자세에서 팔굽관절 각도에 따른 악력과 위팔노근의 두께 변화를 확인하여 팔굽관절 각도가 악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강한 대학생 30명을 선별한 후, 선 자세에서 팔굽관절 $0^{\circ}$, $90^{\circ}$, $135^{\circ}$ 굽힘을 취하게 하고 각각의 최대악력과 위팔노근 두께를 전자악력계와 초음파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남자 대학생과 여자대학생 모두 팔굽관절 각도가 $0^{\circ}$일 때 악력이 가장 컸으며, 각도가 증가할수록 악력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5).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모두 팔굽관절 각도가 $0^{\circ}$일 때 위팔노근의 두께가 가장 작았으며, 각도가 증가할수록 위팔노근의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팔굽관절 각도변화가 악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위팔노근의 두께에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vestigated for angle of elbow joint influence on grasp strength, confirm change of grasp strength and brachioradialis thickness according to angle of elbow joint in standing. Thirt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using for electr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 자세에서 팔굽관절 각도 0˚, 90˚, 135˚ 굽힘에 따른 각각의 최대악력과 근육두께를 측정하고, 팔굽관절 각도가 악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측정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 자세에서 팔굽관절의 각도가 0˚, 90˚, 135˚ 변화함에 따라 팔굽관절 굽힘 동작에 작용하는 위팔노근의 두께변화를 확인하여 팔굽관절의 각도가 악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고니오미터는 척추 및 사지 관절의 동적 또는 정적인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장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악력과 근육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동적 측정모드에서 팔굽관절 각도 0˚, 90˚, 135˚ 자세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앉은자세와 선 자세 중 최대악력을 발생하는 자세는? 그러나 손의 근력은 손목의 위치, 팔굽관절 각도 및 측정 시 신체의 자세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자세에 따른 악력차이에서는 손목의 각도가 중립일 때 최대악력이 발생하며, 앉은 자세보다 선 자세에서 어깨관절 0˚일 때 최대의 힘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 이는 선 자세가 근육의 수축시간과 공간적 결합력이 크며, 중추와 말초 자극이 증가하여, 하지 근육의 상승 효과에 의해 악력이 강화되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다[9].
악력이란 무엇인가? 악력은 쥐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손의 근력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손의 근력은 손목의 위치, 팔굽관절 각도 및 측정 시 신체의 자세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팔굽관절 굽힘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얕은 손가락 굽힙근의 근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것은 팔굽관절 각도 증가에 따라 길이-장력의 영향으로 얕은 손가락 굽힙근의 근 활성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10]. 이것은 팔굽관절 굽힘이 증가할수 록 악력을 위해 손과 손가락 근육이 동원되는 것이 아니라, 팔굽관절 굽힘에 동원되는 근육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 자세에서 팔굽관절 각도변화에 따른 위팔노근의 두께변화를 확인한 결과,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H. Kim. The standard value of anthropometric factors, grip and key pinch strength in the elderly. Korean J Sports Med, 27, 60-8, 2009. 

  2. T. A. Schreuders, M. Roebroeck, D. K. Van, J. N. Soeters, S. E. Hovius, J. J. Stam. Strength of th intrinsic muscles of the hand measured with a hand-held dynamometer: reliability in patients with ulnar and median nerve paralysis. J Hand Surg Br, 25, 560-565, 2000. DOI: http://dx.doi.org/10.1054/jhsb.2000.041 

  3. S. Hideo. Grip strength predicts causes-specific mortality in middle age and elderly person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0, 4, 337-342, 2007. DOI: http://dx.doi.org/10.1016/j.amjmed.2006.04.018 

  4. J. Y. Chung, J. W. Lee, J. Y. Im, D. C. Lee. Hand Grip Power Is Independenty Associated with Physical Funct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Korean J Clin Geri, 11, 4, 315-323, 2010. 

  5. E. A. Kuzala., & M. C. Vargo. The relationship between elbow position and grip strength.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 6, pp.509-512, 1992. DOI: http://dx.doi.org/10.5014/ajot.46.6.509 

  6. J. A. Balougn., C. T. Akomolafe., & L. O. Amusa. Grip strenght effect of testing posture and elbow position. Archive Physical Medical Rehabilitation, 72, pp.280-283, 1991. 

  7. V. Mathiowetz. Comparision of rolyan and jamar dynamometer for measuring grip strength.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9, 3, 201-209, 2002. DOI: http://dx.doi.org/10.1002/oti.165 

  8. C. Lee, K. J. Kim, B. W. Kim. The effect on grasp and pinch strength according to degree of elbow flexion in normal adults. Korean Journal of Orthopdic Manual Therapy, 14, 2, 25-33, 2008. 

  9. E. E. Fess, C. Moran. Clinical assessment recommendations. Indianapolis, American Society of Hand Therapists, 1981. 

  10. L. K. Smith., E. L. Weiss., & K, D. Lehmkuhl. "Brunnstrom's Clinical Kinesioloy", 5th ed, Portland, F. A. Davis Company, 1996. 

  11. Y. K. Kong., S. T. Sohn., & J. G. Han. A Review Study for Grip Strengths of Hand.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 5, 715-725, 2010. DOI: http://dx.doi.org/10.5143/JESK.2010.29.5.7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