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평면에서 어깨각도변화에 따른 여대생의 악력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Effects on the Grip Strength in Change of Shoulder Angle on Horizontal Plan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81 - 86  

서교철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승환 (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 ,  조미숙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수평면에서 어깨각도의 변화에 따라 악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여대생 20명을 대상으로 바로 선 상태에서 수평면에서 어깨각도 중립자세, 수평면에서 어깨각도 40도 수평모음자세, 수평면에서 어깨각도 40도 수평벌림자세에서 악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통계는 자세각도에 따른 악력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요인 반복측정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어개각도의 중립자세에서 약력이 다른 두 자세보다 더 큰 증가하였다. 변화량 검증에서는 중립자세, 어깨각도 40도 수평모음자세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수평면에서 어깨각도 중립상태에서 악력의 힘이 가장 큰 결과를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에서도 중립자세에서 활동을 할 때 효율적인 근력을 사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characteristic of grasping power with each different shoulder horizontal angle. Twent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o shoulder dysfuction participated subject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shoulder horizontal flexion with standing posture, shoulder 0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생활속에서는 반대쪽 신체 잡기, 걸레로 닦기, 악수하기, 빗자루 쓸기, 자켓 입기, 물건 집기, 옮기기, 전달하기, 창문 열기 및 닫기 등의 동작들은 어깨관절이 수평면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평면에서 어깨관절의 각도변화에 따른 악력을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천안 N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수평면에서 손의 악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을 통해 수평면에서의 어깨각도는 중립상태 악력의 힘이 수평위 40도 모음자세와 수평위 40도 벌림자세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수평면에서 팔의 위치에 따라 악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모음, 중립 벌림으로 지정하여 악력을 측정하였다. 해부학적으로 수평상의 모음의 최대 45°지만 실제 성인들의 각도범위는 40°에서 45°사이이기 때문에, 연구의 정확한 진행을 위해 수평 모음 각도는 40°에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rr. J. H. & shepherd. R. B. (2003). Stroke rehabilitation, Butterworth-Heinemann. London. 

  2. Balogun. J. A., Akomolafe. C. T. & Amusa. L. O. (1991). Grip strength: Effects of testing posture and elbow posi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2(5), 280-283. 

  3. Kim. B. R., Yi, D. H. & Yim, J. E. (2018). Effect of Stabilizing Reversal Techniqu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Taping Convergence on Wrist Pain and Grip Strengt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17-124. http://www.earticle.net/Article/A333809 

  4. Sharp. W. E. & Newell. K. M. (2000). Coordination of grip configurations as a function of force output. Journal of Motor Behavior, 32(1), 73-82. https://doi.org/10.1080/00222890009601361 

  5. Choi, Y. J. (2020). Convergence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Upper Limb Muscle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2), 117-124. http://www.earticle.net/Article/A369927 

  6. Shon. M. H., Yoon. Y. S. & Kim. B. O. (2001). Effects of elbow flexion on supination, pronation and grip strengths. Journal of Korean Academy Rehabilitation Medicine, 25(4), 678-683. 

  7. Espana. R. (2010). Elbow Position Affects Handgrip Strength in Adolescen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amar, DynEx, and TKK Dynamometer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4(1), 272-277. doi: 10.1519/JSC.0b013e3181b296a5 

  8. Erik. R. (2007). Effect of Elbow Position on Grip Strength in the Evaluation of Lateral Epicondylitis. The Journal of Hand Surgery, 32(6), 882-886. https://doi.org/10.1016/j.jhsa.2007.04.010 

  9. Shyam-Kumar. A. J. (2008). A study of grip endurance and strengh in different elbow positions. Journal of Orthopaedics and Traumatology, 9(4), 200-211. https://doi.org/10.1007/s10195-008-0020-8 

  10. Parvatujar. V. B. (2009). Comparative study of grip strength in different positions of shoulder and elbow with wrist in neutral and extension positions. Journal of Exercise Science and Physiotherapy, 5(2), 67-75. 

  11. Lee. D. C. & Jang. G. P. (1997). An analysis of grip strength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6(1), 73-83. 

  12. Lee. S. J. (2018). A Convergence Study on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around the Neck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Patient's Head Angle at the Direct Visual Inspection of the Maxillary Right-side Molar Palatal Surfa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209-216. http://www.earticle.net/Article/A341484 

  13. Lee. H. N. (2005). Effects of a tai-chi program on pain, sleep disturbance, mood and fatigue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2(1), 57-68. 

  14. Kim. D. M. & Gong. Y. G. (2012). Research of grip forces and subjective preferences for various individual finger grip spans by using an MFFM system.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7(3), 1-6. https://doi.org/10.5143/JESK.2008.27.3.001 

  15. Lee. R. N., Chae S. Y. & Song. B. Y. (2019) Combined Study 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Grip Strength in Students of Colleges and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55-61. http://www.earticle.net/Article/A362303 

  16. Smith. L. K, Weiss. E. L. & Lehmkuhl. L. D. (1996). Brunnstrum's clinical kinesiology, ed 5. Philadelphia, PA, F A Davis Co. 

  17. Kottke. F. J. & Lenmann. J. F. (1990). Krusen's hand book of Physical medcine and Rehabilitation. Saunders. 4th ed. 484-485. 

  18. Ha. G. J., Kim. D. G. & Hwang. S. G. (2012). The Impact of Shoulder Flexion Angle on Hand Grip Strength in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PNF, 10(1), 9-17. https://www.earticle.net/Article/A194766 

  19. Lee. H. R., Kim. J. S. & Cho. S. M. (2018). Effects of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Convergence Program on Pain, Range of Mot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After Shoulder Surger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409-421. http://www.earticle.net/Article/A327328 

  20. Kattel. B. P., Frederisks. T. K.. Fernandez. J. E. & Lee. D. C. (1996).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posture on maximum grip strength.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8(5), 423-429. https://doi.org/10.1016/0169-8141(95)00105-0 

  21. Rajiv. D. (2016). Effect Of Elbow And Wrist Joint Position On Grip Strength. Journal of Dental and Medical Sciences, 15(4), 73-77. DOI: 10.9790/0853-150412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