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적 유휴공간 재생 계획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공 현상설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Process for Public Regeneration of Under-used Space -Focusing on Public Competition Projects for Cultural Re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201 - 2211  

최순섭 (한국교통대학교 건축학과) ,  오준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휴지가 태생적으로 공공적, 도시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유휴지 재생계획들은 일반 건축 또는 조경설계 과정을 답습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지의 공공적 재생계획을 위해 필요한 차별화된 계획내용과 과정을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휴지가 갖는 도시적, 공공적 가치를 분석하여, 유휴지가 보다 넓은 범위와 관점의 계획내용과 체계를 포함되어야 함을 증명한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유휴지 재생 사례들의 계획지침들을 분석하여, 단절된 계획으로서 한계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해외의 성공사례로서, 오슬로시의 유휴지 재생계획들을 살펴본 결과, 개별 유휴지들의 계획들이 도시적이고 연계적인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휴지 재생계획은 시적인 상징성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공공공간 마스터플랜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후 개별 대지의 설계내용에서는 주변건물 및 계획들과 연계성을 강조한 현실적 통합계획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several design competition have been conducted to revitalize the cultural function of some areas using under-used space. However, though such sites include public and urban assets inherently, these projects defined their boundary as an isolated architectural or landscape design. Hence,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국 본 연구는, 유휴지의 공공적 재생을 위한 계획과정에서 도시적, 공공적 내용들이 밀도 있게 개입될 수 있는 방법을 유사 해외사례들을 통해 제안하는 것이다. 물론 한정된 지역의 사례들 분석에 따른 연구의 한계가 있지만, 전체적 관점에서 국내 실행방식의 누락된 부분을 찾을 수 있는 초기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공식적, 상징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유휴지 활용 현상설계의 사례로 ‘마포석유비축기지 국제설계경기공모(2014)’, ‘국유지 개발, 활용 아이디어 국민공모전(2014)’, ‘노들섬 오페라하우스(2008)’가 있으며 주요 산업시설을 활용하는 ‘국립미술품 수장 보존센터 설계공모(2012)’가 있다. 노들섬 오페라하우스는 1968년 한강개발계획으로 백사장과 기존의 수영장과 낚시터, 그리고 스케이트장과 같은 서울 시민의 대표적 휴양지가 사라져 방치된 유휴지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였다. 단절되고 방치된 섬으로서 특별한 시설 없이 대부분 모래, 갈대숲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유휴지의 생태적 요소 활용이 중요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지와 유휴공간의 공공적 재생계획을 위해 필요한 차별화된 계획내용과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유휴지 재생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고, 도시적 관점에서 공공적 재생을 위해 필요한 계획과정의 특성을 명확히 밝히려고 한다.
  • 본 연구는 공공부문이 문화복합공간으로서 유휴지를 활용한 성공적 개발을 위한 도시적, 공공적 차원의 계획 내용과 가치를 명확히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유휴지가 갖는 도시적, 공공적 가치를 분석하고 유휴지가 단순히 단절된 건축계획으로서만 다뤄지지 않아야하며 보다 넓은 관점의 계획내용과 이를 위한 계획과정이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지와 유휴공간의 공공적 재생계획을 위해 필요한 차별화된 계획내용과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유휴지 재생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고, 도시적 관점에서 공공적 재생을 위해 필요한 계획과정의 특성을 명확히 밝히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휴지와 유휴공간은 무엇인가? 따라서 각도시는 공간 효율성 향상과 함께 도시의 정체성을 유지, 재창출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유휴지와 유휴공간은 경제, 산업의 변화와 용도활용의 정체로 인해 사용가치와 효율이 저하된 대지 및 시설들을 말하는데, 고밀도 도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잠재적, 실행적 가능성이 높은 대지로서 최근에 주목받고 있다. 즉, 공공부문 개발이 가능한 공간과 대지이기에 지자체 또는 정부 차원의 이런 유휴지 개발은, 특히 공공적 상징성을 표방하기 위해 현상설계를 통해 계획안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공공주체로서 역할과 공공적 계획 유도를 위한 계획내용과 체계가 필요한 이유는? 즉, 공공주체로서 역할과 공공적 계획 유도를 위한 계획내용과 체계가 필요하다. 단순히 대지 안에 한정된 건물 설계방식과 과정으로는 유휴지의 도시적 재생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휴지 개발 진행 목적은 무엇인가? 특히, 유휴지와 유휴공간은 경제, 산업의 변화와 용도활용의 정체로 인해 사용가치와 효율이 저하된 대지 및 시설들을 말하는데, 고밀도 도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잠재적, 실행적 가능성이 높은 대지로서 최근에 주목받고 있다. 즉, 공공부문 개발이 가능한 공간과 대지이기에 지자체 또는 정부 차원의 이런 유휴지 개발은, 특히 공공적 상징성을 표방하기 위해 현상설계를 통해 계획안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휴지는 미래에 지역을 재생할 수 있는 중요한 공공적 또는 도시적 가치 측면에서, 일반 현상설계와는 다른 계획 및 내용체계를 가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OSF, KAMCO, "Guideline of Idea Competition for Public Land Development", 2013. 12. 2. p10 

  2. MOSF, KAMCO, "Guideline of Idea Competition for Public Land Development", 2013. 12. 2. p10-11 

  3. City of Seoul, "Guideline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Rehabilitating Mapo Oil Depot into a Cultural Depot Park", 2013. 5. 23, p3 

  4. City of Seoul, "Guideline for Seoul Performing Art Center competition", 2008. 10, p2 

  5.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uideline for MOCA arts preservation center", 2012. 10. 18. p13 

  6. City of Seoul, "Guideline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Rehabilitating Mapo Oil Depot into a Cultural Depot Park", 2004. 5. 23., p7-8 

  7. C3 KOREA,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05. 09 

  8.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hurch Affairs, Architecture. Now, Norwegian Architectural Policy, 2009. 08, p.88-90 

  9. Agency for Planning and Building Services, BJORVIKA, The New City within the City, 2008, p30 

  10. Agency for Planning and Building Services, BJORVIKA, The New City within the City, 2008, p8 

  11. Agency for Planning and Building Services, BJORVIKA, The New City within the City, 2008, p12 

  12. HAV Eiendom AS, Planning and design competition- Munch Museum and the Stenersen Museum Collections, Basis of Competition, Revision of Jan. 05. 2009. p.3-4 

  13. Statsbygg, National Museum at Vestbanen competition programme, 2009. 03. p9 

  14.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is part of the competition is that the proposals show how the building of the museum can be combined with the other buildings in a way that will optimize the commercial value of the properties." HAV Eiendom AS, Planning and design competition- Munch Museum and the Stenersen Museum Collections, Basis of Competition, Revision of Jan. 5. 2009, p.27 

  15. JoonGul Oh, A Study on the 'Reciprocal Publicity'-based Space Renewal of Industrial Sit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2013. 02. 

  16. JoonGul Oh, Soon-Sub Choi, Renewal Methods of Public Space Using Abandoned sites in Works of 'European Prize for Urban Public Spa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2. 12. 

  17. JoonGul Oh, A Study on Public Renewal of Abandoned Space by Public Sec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2013. 06. 

  18. Oslo City Council, The 2008 Municipal Master plan Oslo toward 2025, 2008. 06. 11 

  19. Dmp, 130 Days. 5 Discussions, process book vol.1 Nodle island project, 2010. 04. 30 

  20. Statsbygg, Open Planning and Design Competition, Jury Report- The National Museum of Art, Architecture and Design, 2010. 03. 26 

  21. www.statsbygg.no 

  22. www.mapodepot.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