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권역의 하천 수면공간 및 수변환경이 수달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분석
Impacts of Aquatic and Ripa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Eurasian Otter (Lutra lutra) Presence Characteristics in the Nakdong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12, 2017년, pp.1341 - 1353  

신지훈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노백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quatic and riparia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absence of the Eurasian otter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ere the species is relatively more abundant than other otter species.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sence records were collected. Geographical Info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동강 권역의 광역적인 수달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7년 이후 매년 2차례 실시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자료와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확보하고, 낙동강의 수면부 환경과 수변환경이 수달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3; Jo et al., 2015). 전국자연환경조사와 수생태계건강성조사의 조사기간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2013)가 완료된 2013년도 기준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자료를 확보하였다.
  • 하천법(제2조)에서는 제방에서 둑 바깥쪽으로 500 m 범위로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내지 토지이용은 제내지 내의 지배적인 토지이용을 도출하였으며, 산림, 습지, 경작지, 시가지 및 주거지가 수달 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제내지 토지이용 분석결과, 제내지가 시가지와 경작지(논, 밭)인 조사지점이 250개 가운데 167개 (66.
  •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계건강성 조사·평가 DB에서 추출한 낙동강 권역의 수환경이 수달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생태계 건강성 지표종인 수달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수환경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0개의 환경변수 가운데 4개의 수변부 환경변수가 수달의 분포에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하천 수면부와 수변부 환경변수에 따른 수달의 출현특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수환경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수달의 서식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수면부와 수변환경 변수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와 하천환경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하천의 대표적인 교란 요인이라고도 할 수 있는 보의 설치는 어류의 이동을 결정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횡구조물의 설치에 따른 수달의 휴식처 및 먹이를 섭취하는 공간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보와 같은 횡구조물이 설치되지 않는 곳에서의 수달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환경은? 수달(Lutra lutra)은 풍부한 먹이자원과 안정적인 은신처 및 보금자리, 그리고 인위적 간섭에서 떨어진 안전한 서식환경을 선호한다. 하천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하며, 수생태계 먹이사슬의 정점으로 수환경의 지표종으로 인식된다(Hewson, 1969; Kruuk, 1995).
수달에 대한 생태계적 인식은? 수달(Lutra lutra)은 풍부한 먹이자원과 안정적인 은신처 및 보금자리, 그리고 인위적 간섭에서 떨어진 안전한 서식환경을 선호한다. 하천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하며, 수생태계 먹이사슬의 정점으로 수환경의 지표종으로 인식된다(Hewson, 1969; Kruuk, 1995). 국내외적으로 수달의 보전·복원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천연기념물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Han, 1997).
수달의 출현특성 분석에 있어서 취약한 연구주제는? 하천환경의 변화가 심한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수달의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면부 환경과 수변환경을 분석하여 낙동강의 수환경 조사·보전활동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낙동강 권역을 비롯한 수달의 출현특성 분석에 있어 수변서식환경 특히 종횡사주, 하천유속, 하상재료 등 미소서식처(micro -habitat)를 반영한 서식환경 관련연구는 전무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 H. G., Kim, J. H., Yoon, M. H., 2017. A study on changes in the density of Eurasian otter spraints(2012-2016) - The Busan New Port-, J. Environ. Sci. Int., 26(4), 457-466. 

  2. Cha, S. M., Han, S. Y., Son, S. W., 2001, Food habit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Seomjin river and Namhae area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Conference Proceedings, 135. 

  3. Choi, J. W., Yoon, M. H., 2012, A Study on food habits of the otter (Lutra lutra) and effects of construction of the Busan new port on its prey, J. Life Sci., 22(6), 736-743. 

  4. Craig, D. A., 1987, Some of what you should know about water, Proceedings of the 35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 Benthological Society, 178-182. 

  5. Han, S. Y., 1997. The ecological studie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south Korea, Ph.D. Thesis, Kyungnam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6. Hewson, R., 1969, Couch building by otters Lutra lutra, J. Zool., 159(4), 524-527. 

  7. Hwang, S. J., Lee, S. W., Park, Y. S., 2011, Ecological monitoring, assessment, and restoration of running waters in Korea, Korean J. Limnol, 47, S1-S2. 

  8.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14, IUCN Red List of Threatened Animals, New Zealand. 

  9. Jo, M. H., Lee, S. H., Choi, H. L., Jang, S. H., 2013a, Building a GIS database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and its application, J. Korean Assoc. Geogr. Inf. Stud., 16(4), 189-203. 

  10. Jo, M. H., Byun, M. S., Sim, J. S., Jang, S. H., 2013b, Geographic distribution of periphyton diatom species: A Case study of Achnanthes convergens in Nakdong river basin, J. Korean Assoc. Geogr. Inf. Stud., 17(3), 175-194. 

  11. Jo, M. H., Sim, J. S., Lee, J. A., Jang, S. H., 2015, Health assessment of the Nakdong river basin aquatic ecosystems utilizing GIS and spatial statistics, J. Korean Assoc. Geogr. Inf. Stud., 18(2), 174-189. 

  12. Jo, Y. S., Won, C. M., Kim, J. P., 2006, Distribution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4(1), 89-94. 

  13. Kruuk, H., Conroy, J. W. H., Glimmerveen, U., Ouwerkerk, E. J., 1986, The use of spraints to survey populations of otters Lutra lutra, Biological Conservation., 35(2), 187-194. 

  14. Kruuk, H., 1995, Wild otters: predation and popu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nited Kingdom. 

  15. Lee, H. J., Ha, J. W., Cha, J. Y., Lee, J. H., Yoon, H. N., Chung, C. U., Oh, H. S., Bae, S. Y., 2017. The habitat classification of mammals in Korea based on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J. EIA, 26(2), 160-170. 

  16. Lee, S. D., Cho, H. S., 2005, A Study of habitat use pattern of river otter (Lutra lutra) with land-cover map, J. EIA, 14(6), 377-385. 

  17. Manson, C. F., MacDonald, S. M., 1987, The use of spraints for surveying otter Lutra lutra populations: an evalu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41(3), 167-177. 

  18. Min, H. K., 2007, Studies on the behavior 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Eurasian otter(Lutra lutra) by radio-tracking,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4th nationwide survey guideline for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Guideline for the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Survey and assessment report of stream river ecosystem health,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22. Noh, S. Y., Choi, H. L., Park, J. Y., Hwang, S. J., Kim, S. H., Lee, J. A., 2015,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using fish for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in Korea. J. Korean Soc. Water Environ., 31(3), 319-327. 

  23. Rho, P., 2015, Using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the wild boar (Sus scrofa Linnaeus) to select wildlife passage sites in extensively disturbed forests, J. Ecol. Environ., 38(2), 163-173. 

  24. Thomas, A. G., John, E., Brock, R. M., Danny M., 2006, Space use and sociality of river otters(Lontra canadensis) in minnesota, J. Mammal., 87(4), 740-74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