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2, 2015년, pp.109 - 129  

장여옥 (경기대학교 청소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에 거주하는 미취한 자녀를 둔 어머니 20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척도(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양육효능감척도(최형성 정옥분, 2001), 양육태도척도(배문주, 2005)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피어슨 상관분석,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일상생활장애가 전반적인 양육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영역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상생활장애는 거부적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상세계지향성은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부모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강조하며 긍정적인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This study consisted of 203 smartphone using mothers of preschoolers in Gyonggi-do. The measurements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scale(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양육효능감 및 양육태도의 하위요인별 분석을 실시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두고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심각성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어머니에게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녀양육에 필요한 어머니의 적절한 태도와 긍정적인 확신을 도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파악하여 어머니의 적절한 스마트폰 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두고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심각성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어머니에게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의 중요성을 알리고 자녀양육에 필요한 어머니의 적절한 태도와 긍정적인 확신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3세 이하의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김지혜(2013)의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스마트폰에 중독되어 있을 수록 자녀에게 애정적이지 못하고 거부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처럼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결과가 미흡하므로 스마트폰 사용과 가정의 기능에 관한 선행연구 들을 통해서 스마트폰 사용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시간의 스마트폰 사용은 가족의 친밀도, 원활한 가족 간의 의사소통,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김기리, 이선정, 신효식, 2008; 현은자, 김태영, 조메리명희, 박은미, 2011), 디지털기기를 많이 사용하는 가족일수록 가족의 여가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연구되었다(정은희, 2008).

가설 설정

  • 1.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현상은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이나 중독은 가정, 학교, 직장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현대사회의 스마트폰 중독현상은 개인의 문제뿐 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장재홍, 김광현, 2009).
스마트폰 중독이란 무엇인가? 현대사회의 스마트폰 중독현상은 개인의 문제뿐 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장재홍, 김광현, 2009). 스마트폰 중독이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시간을 많이 보냄 으로써 사용증가를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김병년, 2013; 서지혜, 2012). 게다가 개인의 스마트폰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강박적 사용의 결과로 일상생활에 집중할 수 없는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다(우형진, 2006; 이해경, 2009).
양육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양육효능감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고 훈육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자신이 잘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믿음을 의미한다(이주옥, 2008).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자녀가 성공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사회적, 문화적,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부모의 능력이며 부모가 가지고 있는 확신을 나타낸다(Pelletier & Brent,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금희조, 조재호 (2010).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4(5), 348-371. 

  2. 김기리, 이선정, 신효식 (2008).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4), 187-203. 

  3. 김병년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8-217. 

  4. 김지혜 (2013).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혜영, 장예빛, 정의준, 유승호 (2013). 대학생 스마트폰 사용 집단의 해석수준 및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사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0(2), 47-67. 

  6. 문혁준 (2005). 취학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6(5), 139-149. 

  7.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공동 연구보고서. 

  8. 박중규, 배성만 (2012). 인터넷 사용동기,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심리, 정서적 문제가 초기 성인기 집단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19-434. 

  9. 박지영, 김귀애, 홍창의 (201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151-169. 

  10. 배문주 (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지혜 (2012).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동기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서창민, 이종훈, 최태연, 김지현, 신임희 (2012).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한국형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8(2), 223-230. 

  13. 안창규 (1992). 학생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변인의 측정연구. 성곡논총, 23, 119-170. 

  14. 오성심, 이종승 (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연구노우트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1(1), 1-15. 

  15. 우형진 (2006). 휴대폰 이용자의 자아성향이 휴대폰 중독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2), 391-427. 

  16. 이경옥, 김민화, 김승옥, 김혜수 (2006).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17. 이보영 (2012).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자녀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4), 115-132. 

  18. 이송이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61-71 

  19.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종구 (2000). Windows용 SAS와 통계자료 분석. 서울: 학지사. 

  21. 이주옥 (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22.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 및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정책 세미나.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3. 이해경 (2009). 10대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의 예측변인들: 20대, 30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6(1), 117-153. 

  24. 장여옥, 조남억 (2014).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1(2), 137-156. 

  25. 장영애, 박정희 (2007). 아동의 인터넷 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131-1140. 

  26. 장재홍, 김광현 (2009).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1996년부터 2007년까지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6(4), 157-183. 

  27. 정은희 (2008). 디지털 기술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보통신정책, 20, 56-63. 

  28. 정정애 (2010).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3), 1191-1202. 

  29. 최정숙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효능감의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최현석, 이현경, 하경철 (2012).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학회지, 23(5), 1005-1015. 

  31.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3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1).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3. 현은자, 김태영, 조메리명희, 박은미 (2011). 가정에서의 디지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 신앙과 학문, 16(4), 245-266. 

  34. 현은자, 박은미, 조메리명희,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181-205. 

  35. 현은자, 조메리명희, 조경선, 김태영 (2013).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203-221. 

  36. 홍경자 (2007). 자기주장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37. Ardelt, M., & Eccles, J. (2001). Effects of mothers'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promotive parenting strategies on inner-city youth. Journal of Family Issues, 22(8), 944-972. 

  38. Bae, J. K., & Jeong, H. M.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factors by including functional attributes of smart phone adoption. The E-Business Studies, 9, 337-361. 

  39.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40.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0).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correlates. Family Relations, 49(1), 13-24. 

  41. Connell, S. L., Lauricella, A. R., & Wartella, E. (2015). Parental co-use of media technology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the USA. Journal of Child and Media, 9(1), 5-21. 

  42. Gross, D., &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207-215. 

  43.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44. Lenhart, A., Purcell, K., Smith, A., & Zickuhr, K. (2010) Social media and young adults.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1-61. 출력일 2015년 03월 05일, Retrieved from http://www.pewinternet.org/reports/2010/social-media-and-young-adults. 

  45. O'Neil, J., Wilson, M., Shaw, D. S., & Dishion, T.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ffica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diverse sample of low income mot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6), 643-652. 

  46. Pelletier, J., & Brent, J. M. (2002). Parent participation in children' school readiness: The effects of parental self-efficacy, cultural diversity and teacher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34(1), 45-61. 

  47. Radey, M., & Randolph, K. A. (2009). Parenting sources: How do parents differ in their efforts to learn about parenting? Family Relations, 58(5), 536-548. 

  48.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235. 

  49.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50. Thomas, J., Feeley, N., & Grier, P. (2009). The perceived parenting self-efficacy of first-time fathers caring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2(4), 180-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