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ir Peer Interaction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2, 2015년, pp.311 - 329  

최소영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육아종합지원센터) ,  신혜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24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24명이었다.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은 교사에게 의뢰한 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자유놀이시간의 관찰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러한 자료는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상관분석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놀이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 놀이단절에 유아의 놀이성 일부 요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효과의 검증 결과,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낮은 집단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에 따른 놀이단절 수준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유아의 낮은 자발성 수준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서 개인이 가진 취약한 특성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ir peer interactions, and investigated whether teacher-child interactions had any moderating effects upon the relation between child playfulness and peer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놀이성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 자발성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4세반 유아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때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찰자의 객관적 관찰에 기초하고자 한다.
  • 이에 근거해 볼 때 교사-유아 관계성의 기초가 되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역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유아의 놀이성의 영향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상호작용으로 옮겨가는데 있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조절효과를 모두 검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렇듯 관찰내용 및 평정기준의 충분한 숙지 후 녹화자료를 통해 2회 예비관찰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문항에 대해 논의를 통해 관찰자들 간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일정 수준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고 판단한 후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어린이집 유아반의 자유선택놀이시간에 관찰자 3명이 동시에 들어가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자유놀이시간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하여 살펴봄으로써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 정보에 기초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유아의 개인특성인 놀이성과 환경특성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특히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과 놀이단절 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또한 취학 전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려면 놀이장면에서 또래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고 하였다. 이렇듯 놀이는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장을 제공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놀이장면에서 보이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을 궁극적 관심사로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에 앞서 주 관심사인 또래상호작용의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 놀이단절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 이처럼 환경 요인으로써 교사 변인은 다수 연구를 통해 주목받아 왔으나, 주로 교사의 자기보고에 의존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객관적으로 관찰 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 본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직접 관찰을 통해 그 관련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종합해보면, 유아의 개인특성과 환경적 요인은 서로 유기적이며 상호보완적으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4세반 유아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위해서는 유아의 배경변인인 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성별의 효과를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상호작용으로 옮겨가는데 있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조절효과를 모두 검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유아의 놀이성의 경우 각 하위요인별로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는 여러 가지 놀이성 요인이 동시에 반영되는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찰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3차에 걸쳐 관찰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관찰자는 총 3인으로 모두 아동학 및 유아교육 전공 석사 이상 및 재학생으로 현장경력 3년 이상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가설 설정

  • 더불어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아의 개인특성인 놀이성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거나 강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가정된다. 일부 선행연구들(권연희 2012, 2014; 신혜진, 신나리, 2014; Hamre & Pianta, 2001; Myer & Pianta, 2008)에서는 다양한 조절변인으로 교사-유아의 관계성을 제시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유아 상호작용이란 무엇인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이란 교사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행동하는 언어적 ‧ 비언어적 소통체계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Arnett(1989)의 ‘보육교사 상호작용 척도(CIS; Caregiver Interaction Scale)’를 번안한 후 어린이집 맥락에 맞게 수정 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신체적 자발성이 높고, 사회적 자발성이 낮으며, 유머감각이 많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낮을수록 놀이방해 행동의 수준이 높았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즉 유아의 신체적 자발성이 높고, 사회적 자발성이 낮으며, 유머감각이 많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낮을수록 놀이방해 행동의 수준이 높았다. 이는 유아가 신체적으로 활발하고, 사회적 자발성이 낮고, 유머감각이이 높을수록, 교사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가 놀이방해와 같은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회귀모형에 투입된 네 변인은 놀이방해 총 변량의 29%를 설명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이란 무엇인가? 유아의 놀이성이란 놀이의 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유아의 놀이행동을 일으키는 심리적 성향 내지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Barnett(1991)의 ‘놀이성 척도(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고윤지, 김명순 (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 따른 놀이행동. 아동학회지, 34(1), 175-189. 

  2. 권연희 (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3. 권연희 (2014).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5-45. 

  4. 권희경 (2009).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91-410. 

  5. 김리한 (2012). 학령기 아동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이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7. 김명순, 유정은, 이민주, 조항린 (2011). 혼합연령과 동일연령 학급구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55-471. 

  8. 김선희 (2009).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203-224. 

  9. 김수영 (2000). 유아의 또래수용도,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5. 

  10. 김정림, 허미경 (2013).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 놀이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2), 101-119. 

  11. 김주혜 (2008).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태은 (2014). 유아의 정서 이해와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혜선 (2013). 유치원교실의 협력적인 상호작용. 고양: 공동체 

  14. 김희태, 김정림, 이임순, 남연정 (2014). 유아의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 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34(2), 29-48. 

  15. 김희태, 이임순 (2009).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 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21. 

  16. 남진경, 김명순 (2014). 어린이집 만 4세의 유아의 순수 놀이공간 및 놀이성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5(2), 25-41. 

  17. 문혜련, 엄정애 (2009). 만 5세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 통제유형간 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159-181. 

  18.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박화윤, 마지순, 천은영 (2004).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85-298. 

  20. 신은수, 권미경, 정현빈 (2010).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83-209. 

  21. 신혜영, 최혜영 (2008). 유아의 부정적 행동 및 목적 없는 행동에 미치는 교사변인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4), 25-35. 

  22. 신혜진, 신나리 (2014). 유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지, 10(3), 47-68. 

  23. 윤현숙 (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24. 이경님, 부예숙 (2013).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9(4), 31-53. 

  25. 이상은, 이주리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6), 71-85. 

  26.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27. 이숙재 (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파주: 창지사. 

  28. 임희경 (200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조은옥, 최영희 (2003). 유아의 기질과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6(1), 57-67. 

  30. 지성애, 김승희 (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111-127. 

  31.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 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32.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7. 

  34. 최혜영, 신혜영 (2011).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또래놀이행동 척도의 타당화. 아동학회지, 32(2), 35-52. 

  35. 황윤세 (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36. 황윤세 (2008). 창의적 행동특성과 놀이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교사-유아 관계 간의 구조분석. 아동학회지, 29(6), 245-257. 

  37. Arbeau, K. A., Coplan, R. J., & Weeks, M. (2010). Shyn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grade 1.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4(3), 259-269. 

  38.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39. Barnett, L. A. (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40.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41. Bulotsky-Shearer, R. J., Manz, P. H., Mendez, J. L., McWayne, C. M., Sekino. Y., & Fantuzzo, J. (2012). Peer play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A Protective influence for African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3), 225-231. 

  42. Choi, H. Y., Park, J. H., & Shin, H. Y. (2010). Children's social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s' belief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1(1), 85-96. 

  43. Cohen, J. S., & Mendez, J. L. (2009). Emotion regulation, language ability, and the stability of preschool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0(6), 1016- 1037. 

  44. Colwell, N., Gordon, R. A., Fujimoto, K., Kaestner, R., & Korenman, S. (2013). New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 Arnett Caregiver Interaction Scale: Results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birth cohor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2), 218-233. 

  45. Coolahan, K., Fantuzzo, J., Mendez, J., & McDermott, P. (2000).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3), 458-465. 

  46.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Manz, P. H., Canning, S., & Deh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on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47. Hamre, B., & Pianta, R.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2), 525-638. 

  48.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 Gregory K. M. (2011).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김지현 옮김). 파주: 교문사(원판 2009). 

  49. Myer, S. S., & Pianta, R. (2008). Developmental commentary: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arly problem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4(3), 267-283. 

  5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Child car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51. Phillips, D., McCartney, K., & Scarr, S. (1987).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3(4), 537-543. 

  52.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3), 444-458. 

  53. Rubin, K. H., Bukowski, W., & Parker, J.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Vol. 3) (6th edition, pp.571-645). New York: John Wiley & Sons. 

  54. Russon, A. E., White, B. E., & Rochester, M. J. (1990). Direct caregiver interaction in infant social encount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0(3), 428-439. 

  55. Singer, E., Nederend, M., Penninx, L., Tajik, M., & Boom, J. (2014). The teacher's role in supporting young children's level of play engage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4(8), 1233-1249. 

  56. Trawick-Smith, J., & Dziurgot, T. (2011).'Good-fit'teacher-child play interactions and the subsequent autonomous play of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1), 110-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