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전·후기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 Ag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1, 2015년, pp.29 - 39  

홍금희 (부산대학교병원) ,  하주영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aged peopl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40 middle-aged people aged from 40 to 59.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중년기를 통합적 관점에서 파악한 것에 비해 생물학적 연령을 기준으로 중년기를 규정하고 동시대적 사회문화를 반영하여 세대 특성에 따라 중년 전기와 중년 후기로 구분하여 노화 불안, 성공적 노화 요소, 노후준비를 비교하고 세 개념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을 위해서는 중년 전기와 중년 후기의 세대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년기를 위한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년 전기와 후기의 노화불안의 차이와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공적 노화 요소를 이해하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노후준비를 돕는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중년기를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중년 전기와 후기의 이러한 특성은 노화에 대한 인식이나 준비에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중년기 시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연령과 동시대적 특징을 반영하여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년 전ㆍ후기를 위한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생주기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노년기를 준비하는 중년기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중년기는 인생주기에서 그 자체의 중요성과 의미를 지니는 시기로 자기 확신과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이 증가되는 시기이다(Choi, Jo, & Kim, 2001). 더불어 전반적인 신체적 기능쇠퇴로 노화를 실감하게 되고 만성질환 유병율이 높아지며 우울, 외로움, 실패감과 같은 정신 사회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경험하는 역동적 시기이다 (Seo, 2010).
중년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생주기에서 노년기가 차지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노년기를 준비하는 중년기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중년기는 인생주기에서 그 자체의 중요성과 의미를 지니는 시기로 자기 확신과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이 증가되는 시기이다(Choi, Jo, & Kim, 2001).
노년기의 불확실성과 노화불안에 대처하기 위하여 성공적인 노화가 이루어지기 위해 중년기부터 노화과정을 잘 이해하고 준비하는것이 중요한 이유는? 노화과정에 따라 미래에 야기될 수 있는 현상과 관련하여 생기는 불안을 노화불안이라 하는데(Lee, 2012), 중년기 성인들은 노인들보다 노화에 대한 불안감을 더 크게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Barret & Robins, 2008), 이는 죽음불안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Lee, 2012) 성공적 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Kang, 2012). 성공적 노화는 학자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수명과 건강 등의 생물학적 측면 뿐 아니라 심리적 건강의 측면, 그리고 개인의 인지적ㆍ사회적 효율성 및 생산성을 포함하는 삶의 긍정적 측면 등 여러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Park & Lee, 2002). 따라서 노년기의 불확실성과 노화불안에 대처하여 성공적인 노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중년기부터 노화과정을 잘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Ba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K. H. (1989). A Study on preparation for old Age of adu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 Bae, M. J. (2012).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ing for their old age in middle age on the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Journal of the Korea Family Relations, 16(1), 46-61. 

  3. Barrett, A. E., & Robbins, C. (2008). The multiple sources of women's aging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 32-65. http://dx.doi.org/10.1177/08982643073099732 

  4. Cho, J. & Kim, B. (2012). Perception for successful aging &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 System, 19(2), 259-266. 

  5. Choi, H., Paik, J., & Seo, S. (2005).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2), 1-10. 

  6. Choi, I. Y. (2007). Research on sense of value and perception on successful aging of Korean middle aged peo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7. Choi, K. O., Jo, H. S., & Kim, C. Y. (2001). A study on health behavior of middle aged 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5(2), 412-427. 

  8. Choi, S., Kim, S., Shin, K., & Lee, J. (2008). Anxiety about aging of a resident community of adul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1), 19-32. 

  9. Hawang, S. (2000). A study on the attitude of elderly life and the preparation for elderly life of the young -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10. Jeon, H. S. (2014). The effects of the locus of control and aging anxiety on preparation for old age in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0), 571-576.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571 

  11. Kang, H. J. (2012).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on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comparing elders living alone with ones not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57, 191-220. 

  12. Kang, M. S., Chun, Y., & Sohn, T. (2008). Work and family related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middle-aged married men in Ko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1), 105-134. 

  13. Kang, S. & Ha, K. (2013).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121-144.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121 

  14. Kang, Y, J. (2005). A study on Korean adults' planning for old age.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6(4), 159-174. 

  15. Kim, D. B, Jeong, K. J., & Lee, E. J.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life of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52, 325-352. 

  16. Kim, J H. (2014).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licy on old aged prepara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9, 62-73. 

  17. Kim, J. S. & Kang, S. (2012). Baby boom generation's burden for taking care of children, aging anxiety,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40-452.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440 

  18. Kim, K., Kwak, K., Min, H. Y., Choi, J., & Jeon, S. (2011). An investigation into mid-life as it is perceived by middle aged Korean men.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8(3), 135-155. 

  19. Kim, W. (2010). A comparative study on anxiety about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47, 71-94. 

  20. Lasher, K. P. & Faulkender, P. J. (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21. Lee, J. I. (2012).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the middle aged.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572-580.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572 

  22. Lee, S. (2014).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mid-life crisi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18(1), 29-46. 

  23. Lee, S. C. (2014). A study of effects of lifestyle on the old-age counterplans in middle-aged for the next generation of busines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Business Education Research, 28(6), 263-286. 

  24. Park, K. R. & Lee, Y. S. (2002). A study on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3), 53-66. 

  25. Pauline, W. T. (2013). Influe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happiness in retirement: a case of Nyeri county, Keny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Research, 1(3), 1-20. 

  26. Seo, Y. S. (2010). A study on middle aged men and women's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Social Welfare Review, 15, 35-51. 

  27. Statistics Korea. (2013, September). 2013 Statistics for the aged. Retrieved October 1, 2014, from http://kos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08688 

  28. Suh, S. & Choi, H. (2013). Aging anxiety and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4), 464-47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4.4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