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on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5, 2016년, pp.744 - 752  

이승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장형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양영희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103 middle-aged women was selected from the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sampl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중년여성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길어지는 노후를 건강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중년여성을 돕는 간호중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친구·동료 지지, 가족 지지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상 후 성장과 친구·동료, 그리고 가족으로 받는 사회적 지지이었으며 모두 4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의 유의한 영향변수로 친구· 동료 지지가 가장 컸고 가족 지지 역시 유의한 영향변수이어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간호중재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개인적 욕구, 경제·사회적 요구에 따라 중년여성의 사회진출이 높아지고 있고,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학부모회, 동호회 등 지역커뮤니티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로 받는 지지를 가족의 지지와 구분하여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보다 친구·동료의 지지가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자의 가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진 근거는 무엇인가? 길어진 노년기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보내기 위하여 이전 세대부터 이에 대한 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한데[7], 노년으로 들어가는 생의 전환기에 있는 중년기가 가장 중요한 시점이 될 것이다[8].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년여성은 다가올 노년의 삶에 대해 관심이 크다고 했고[7],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잘 할수록 노후준비 정도가 높다고 하였다[8]. 따라서, 중년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성공적 노화는 어떤 것인가? 평균수명이 증가됨에 따라 노화의 과정은 점점 연장되어질 수밖에 없는데 나이듦에 따른 감퇴에 대한 수동적 대처에만 초점을 두는 것에서 나아가, 지혜 측면을 포함하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통합적 개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할 것이다[3]. 성공적 노화는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되어온 신체적 기능적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했다는 개인의 자각이며 동시 에 삶의 의미나 목적을 발견하는 것이다[4,5].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성공적인 노화란 최후의 상태가 아니라 계속 적응해가는 과정이며 노년기는 결코 모든 것이 종료되는 시기가 아니라 신체적으로 심리적으로 또는 사회적 발달과업을 수행함으로써 전생애에 걸친 발달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6].
노화란? 노화란 생물학적으로 질병이나 사고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생체 구조와 기능이 쇠퇴하는 현상이다[1]. 통계청에 의하면 2013년 평균수명이 여성 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aver Korean Dictionary. Aging [Internet]. Seongnam: Naver Corp.; 2016 [cited 2016 March 2]. Available from: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705500. 

  2. Statistics Korea. 2013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 Author; 2014 [cited 2015 July 2].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41&conn_pathI2. 

  3. Lee SL, Cho SH. Aging and wisdom: An integrated conceptualization of successful aging.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007;13(3):65-87. 

  4. Flood M. Successful aging: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2002;6(2):105-108. 

  5. Flood M. A mid-range nursing theory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and Testing. 2004;9(2):35-39. 

  6. Kim JJ, Cho HI, Cho S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successful aging concept, and acceptant of death attitude among dance program participating elde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3;22(1):217-231. 

  7. Lee MJ, Yang JH.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among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79-90. 

  8. Kang SO, Ha KS.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12):121-144.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121 

  9. Shin SY, Chung NW.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growth: Rumin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2;33(2):217-235. 

  10. Hong KM.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s crisis and Christian counseling. The Gospel and Praxis. 2012;25:217-244. 

  11. Joseph S, Linley PA, Andrews L, Harris G, Howle B, Woodward C, et al. Assessing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adversity: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changes in outlook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2005;17(1):70-80. http://dx.doi.org/10.1037/1040-3590.17.1.70 

  12. Cho JH. Prediction model for the successful aging of middle aged wome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3. p. 1-116. 

  13. Heo CM, An SH.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heal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4;53(6):357-369. 

  14. Park JY. An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middle-aged women's on the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4;8(4):257-270. http://dx.doi.org/10.12811/kshsm.2014.8.4.257 

  1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1-596. 

  16. Kim TH. The influence of baby boomer retirees'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ersity; 2015. p. 1-150. 

  17. Shin YS, Kim EH. A study o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anxiety about aging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2):179-188. 

  18.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19.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20. Kim YS.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depression and happiness of the retired leisure male sports participants [dissertation].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14. p. 1-91. 

  21. Statistics Korea.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Internet]. Daejeon: Author; 2016 [cited 2016 March 31]. Available from: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1&NUM39. 

  22. Kim MJ.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and their roles in lifelong learning: Baby boomers in Korea.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2013;9(2):23-50. 

  23. Kim SK, Lee JE, Youn MK.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 3682-3690.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682 

  24. Jeong YJ, Yu NY, Kim BA, Shin HJ, Chong YS. 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4):781-797. 

  25. Lee S. The effects of traumatic event typ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13;19(3): 319-341. 

  26. Kim JS, Seo SG.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intentional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1;30(3):793-809. 

  27. Kim KH, Kim HS, Park KS.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self-esteem, and lonelines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2) :200-207. 

  28. Choi SM, Ko IS, Choi MN, Jang YS. The relationship among menopausal symptoms, competency of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in middle-aged woma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105-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