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격소음으로 인한 양식어류 피해기준 제안
Suggestion of Safety Level in Fish Farming by Impulsive Sound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5 no.2, 2015년, pp.125 - 132  

최태홍 (도올발파기술사사무소) ,  김정한 ((주)효원이엔씨) ,  송하림 (케이피에코이엔씨) ,  고진석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류 양식장 인근에서 건설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진동의 경우 피해 금액과 산정방식 선정은 건설공사에 대한 공종별 전문가의 공학적, 기술적 의견이 배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피해자 측이 일방적으로 어류 전문가들의 생물학적 자문 위주의 논리만 주장하는 반면, 어류에 대한 생물학적 전문지식이 부족한 건설사 측은 일반적인 건설소음 진동에 관한 논리를 전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중앙 환경 분쟁 조정위원회에서는 2009년 소음 진동으로 인한 육상 양식어류 피해 평가 및 배상액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피해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경우 수중소음 피해인정 기준을 140 dB re $1{\mu}Pa$을 인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충격음이 아닌 1초 이상의 연속음의 RMS 값이다. 또한, 기존 연구 자료들을 보면 어류는 골표류와 비골표류, 기각류와 비기각류 등 어종에 따라서 수중소음에 대한 반응이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본 연구는 충격음과 연속음의 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충격음의 피해기준을 제시하려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for noise and vibration occurring due to construction near fish farms, engineering and the technical opinions of experts in different areas were excluded in calculating any damage. The victims tend to present only biological consulting-based opinions while construction companies tend to presen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기존 연구 자료들을 보면 어류는 골표류와 비골표류, 기각류와 비기각류 등 어종에 따라서 수중소음에 대한 반응이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본 연구는 충격음과 연속음의 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충격음의 피해기준을 제시하려 한다.
  • 이 기준은 충격음이 아닌 1초 이상의 연속음의 RMS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음과 연속음의 기존연구 자료를 확인하여 연속음의 피해기준을 충격음의 피해기준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수중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을 대상으로 한 소음・진동 기준치를 공중소음(dB(A))은 50 dB에서 60 dB 이하, 평상시와 차는 15 dB에서 20 dB, 진동(dB(V))은 55 dB에서 60 dB 이하, 평상시와 차는 15 dB에서 20 dB, 수중소음(dB re 1 μPa)은 140 dB, 평상시와 차는 15 dB에서 20 dB로 제시했다. 이 보고서의 특징은 공중소음, 진동(dB(V))을 평상시와 차가 15 dB에서 20 dB이면 피해를 인정하는 것이다.
  • 이 절에서는 발파 기술자의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의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발파기술자가 계측 자료를 분석할 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자료는 지발당 장약량, 거리(발파지점과 계측점과의 사거리), 진동・소음 데이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택과 빌딩 및 각종 시설물 등이 밀집된 도심지에서의 발파공사가 야기하는 것은 무엇인가? 주택과 빌딩 및 각종 시설물 등이 밀집된 도심지에서의 발파공사는 주거지역까지 소음・진동을 전파해 민원을 많이 발생시키고, 제주 해군기지 건설공사 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자연보호와 국가시설 건설의 상호 충돌이라는 사회문제를 낳기도 한다.
어류 양식장 인근에서 건설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진동의 피해 금액과 산정방식 선정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어류 양식장 인근에서 건설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진동의 경우 피해 금액과 산정방식 선정은 건설공사에 대한 공종별 전문가의 공학적, 기술적 의견이 배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피해자 측이 일방적으로 어류 전문가들의 생물학적 자문 위주의 논리만 주장하는 반면, 어류에 대한 생물학적 전문지식이 부족한건설사 측은 일반적인 건설소음・진동에 관한 논리를 전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가 제안한 소음・진동으로 인한 육상 양식어류 피해 평가 및 배상액 산정기준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보다 객관적이고 형평성에 적합한, 공학적, 기술적 접근방법이 사실상 전무한 상태로서 피해 당사자 간의 절충 방안을 모색하기도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2009a)는 소음・진동으로 인한 육상 양식어류 피해 평가 및 배상액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에서 육상 양식어류 배상기준(안)을 평가방법으로 수중소음도는 최고소음도(LAmax)를 채택하고 피해 인정기준으로는 수중소음 140 dB/μPa, 배경소음과 차는 20 dB/μPa인 평가 안을 제시하였다. 이 기준은 충격음이 아닌 1초 이상의 연속음의 RMS 값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J.Y and S. Rho, 1994, Relation between Explosion Sound Level and the Amount of the TNT Explosive and Responses of the Young Puffer, Takifugu rubripes, against the Explosion Sound Under the Water, Jeju National University Journal, Vol. 39, pp. 55-60. 

  2.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1991, Blasting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fish, pp. 1. 

  3. Bae, J.W., J.H. Park and J.R. Yoon, 2009, Characteristics of Impulsive Noise of Waterfront Construction Site and Its Effects on Fishes,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0, No. 9, pp. 928-934. 

  4. Bastasch. M., M. Fernandez-Diaz, J. Lorenz and B. Eilllis, 2008, Appendix 8, Technical Memorandum: Oregon LNG Terminal and Oregon Pipeline Project-Underwater Noise Propagation, Monitoring, and Mitigation, pp. 1-2. 

  5. Cho, M.K., 2013, Physiological Effects of Construction Noise on Freshwater Fish Farming, Ph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88-89. 

  6.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Fisheries Science Institute, 2012, 국도 77호선 완도 강독지구 위험도로 개수 공사 어업피해영향조사, pp. 54-55, pp. 65. 

  7. Ha, J.M, J.M. Lee, J.H. Lee, D.S. Gu and B.K. Choi, Prediction of Effect Zone for Marine Organisms Using Distance Attenuation Equations for Oceanic Noise, 2012,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26, No. 2, pp. 14-19. 

  8. Jesen., 2003, New Mechanical Shock Sensitivity Units in Support of Criteria for Protection of Salmonid Eggs From Blasting or Seismic Disturbance, pp. 2-4. 

  9. Lee, S., S.K. Kim and Y.H. Rhee, 2006, Study of Blast Ground Vibration & Noise Measurements In-situ and Effect Analysis for Numerical Analysis, Rational Blasting Design at an Eel Far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16, No. 2, pp.179-188. 

  10.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Mediation Commission, 2009a, 소음.진동으로 인한 육상 양식어류 피해 평가 및 배상액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pp. 113, pp. 117. 

  11.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Mediation Commission, 2009b, 환경분쟁조정사례집, Vol. 18, pp. 223-236. 

  12. Park, J.B.,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nderwater Noise and Ground Vibration,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pp. 35. 

  13. Park, Y.S., S.J. Park, S.H. Kang, Y.B. Jeon and G.J. Gong, 2006, An Experimental Study on Ground Vibration Equations by Underwater Blasting at Construction Site,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6, No. 7, pp. 777-783. 

  14. Payne C., Andrews L, Fancey D, and Christian J, 2008, Agreement in principle for interim criteria for injury to fish from pile driving activities, pp. 1-4. 

  15.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Environmental Noise & Vibration Research, 2010, 시추공 시험발파 소음.진동에 의한 어류 영향 평가 감정보고서, pp. 54-56. 

  16. Sun, H.S., 2014, 해상풍력발전기 수중소음 평가방안에 관한 고찰, Korea Environment Institute, Environment Forum, Vol. 18, No. 2. 

  17. Yoon, J.R., S.W. Lee, S.Y. Ahn, J.H. Park, J.W. Bae and M.S. Ahn, 2006, Effects of Underwater Noise on Fishes,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8. ?山良己., 1996a, 海洋音響學會誌, Vol. 23, No. 3, 魚の??能力と水中音に?する反?(I), pp. 73-80. 

  19. ?山良己., 1996b, 海洋音響學會誌, Vol. 23, No. 3, 魚の??能力と水中音に?する反?(II), pp. 132-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