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BYV 감염 멜론의 황화증상에 따른 생리적인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lon Plants Showing Leaf Yellowing Symptoms Caused by CABYV Infectio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2, 2015년, pp.210 - 218  

이희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김미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이상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최장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최홍수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곽해련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최국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전창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멜론 재배지에서 확산되고 있는 멜론 황화엽 증상의 발생 원인을 구명하고자 황화엽 발생개체와 정상 개체간의 생육과 바이러스 이병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황화증상을 보이는 멜론 잎에 대해 전자현미경 검경 및 국내 보고된 박과 감염 8종에 대해 RT-PCR한 결과 바이러스가 진단되지 않았다. 국내 미보고된 바이러스로 의심되어 차세대유전체염기서열분석(NGS)를 이용하여 진단한 결과 박과진딧물바이러스(CABYV)로 판정되어 CABYV 특이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 한 결과 모두 CABYV 감염이 확인되었다. 광합성 능력은 정상엽의 경우 $12.36{\mu}mol{\cdot}m^{-2}{\cdot}s^{-1}$였고, 황화엽은 ($4.09{\mu}mol{\cdot}m^{-2}{\cdot}s^{-1}$로 황화엽이 정상엽의 1/3 수준으로 낮았다. 뿌리의 활력도 정상적인 생육을 보인 멜론에서는 $0.48mg{\cdot}g^{-1}$이었으나 황화증상이 발생한 개체에서는 $0.28mg{\cdot}g^{-1}$로 황화증상 개체의 뿌리 활력이 정상 개체보다 2배 정도 낮았다. 잎의 무기성분은 모든 성분에서 정상엽이 황화엽보다 2배 이상 유의성 있게 높게 나왔고, 특히 철분의 함량은 20배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정상 개체와 황화증상 개체의 세포조직을 관찰한 결과, 울타리조직이나 해면조직은 모두 정상적인 모양을 보여 황화증상이 잎의 세포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지만 다만, 황화증상 개체의 잎은 통도조직의 주변을 중심으로 전분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화양분의 전류가 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최근에 국내의 멜론재배지에서 급속하게 발생하고 있는 황화엽 증상은 생리적인 원인보다는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 이병에 의한 원인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며 황화엽 증상의 피해와 확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매개충인 진딧물을 사전에 방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on leaves showing yellowing symptoms were analyzed using electron microscopy and RT-PCR for major cucurbit-infecting-viruses (CMV, MNSV, CGMMV, SqMV, WMV, KGMMV, PRSV and ZYMV) reported in Korea, but these viruses were not detected. As the result of further analysis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아직까지 국내에서 발생되었다는 보고(Ryu, 2009)는 없다. 따라서 본 실험은 우리나라 멜론재배지에서 발생되고 있는 황화엽 증상의 발생 원인과 황화엽 발생이 근활력 및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각도에서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학현미경으로 황화엽 발생개체의 잎 세포조직을 검경한 결과 나타나는 특징은? 6과 같다. 정상주의 경우에는 잎 내에 전분이 축적되지 않고 모두 전류된 상태로 보이고, 황화엽증 발생주의 잎은 통도조직 주변을 중심으로 전분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전류가 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즉, 황화증상 개체의 잎은 바이러스의 전이를 막기 위하여 세포의 원형질 연락사(plasmodesmata)를 막아 광합성 산물이 전류되지 못하고 잎에 축적상태로 남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원형질 연락사 개폐에 관하여 바이러스 감염시 원형질 연락사가 닫힌다는 보고와 같은 맥락으로 판단된다(Epel, 2009; Lee et al.
생리적인 원인에 의한 황화증상은 주로 어떤 특징을 가진 품종에서 많이 발생하는가? , 2011; Takeshita, 2004)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진딧물 매개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황화증상은 생리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황화증상과 유사하지만 멜론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생리적인 원인에 의한 것은 뿌리 양이 적거나 잎이 크고 넓은 품종으로 과실비대가 잘되는 품종에서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Takeshita, 2004). 멜론은 과실 성숙기에 서서히 시들다가 갑작스럽게 황화가 진전되면서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경제적 손실을 입힌다고 하였으며(Lee et al.
Park et al., 2011에 따르면, 멜론에 나타나는 황화엽 증상은 어떠한가? , 2011). 황화엽 증상은 정상엽에 비해서 잎이 황화증상을 보이고, 처음에는 하위엽에서 시작하여 점점 상위엽으로 진행된다. 황화엽이 발생되면 생육이 더디고, 과실 비대가 느려지며 네트 형성이 되지 않고, 당도가 낮아지는 등 상품과 생산이 어렵다(Park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ou-Jawdah, Y., H. Sobh, A. Fayyad, and H. Lecoq. 1997. First report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luteovirus in Lebanon. Plant Dis. 81:1331. (Abstr.) 

  2. Avgelis, A.D. and N. Katis. 1989. Occurrence of squash mosaic virus in melons in Greece. Plant Pathol. 38:111-113. 

  3. Bateson, M.F., J. Henderson, W. Chaleeprom, A.J. Gibbs, and J.L. Dale. 1994. Papaya ringspot potyvirus: isolate variability and the origin of PRSV type P (Australia). J. Gen. Virol. 5:3547-3553. 

  4. Berridge, M.V., P.M. Herst, and A.S. Tan. 2005. Tetrazolium dyes as tools in cell biology: new insights into their cellular reduction. p. 127-152. In: M.R. EI-Gewely (ed.). Biotechnol. Annu. Rev. Elsevier. 

  5. Carver, T., U. Bohme, T.D. Otto, J. Parkhill, and M. Berriman. 2010. BamView: viewing mapped read alignment data in the context of the reference sequence. Bioinformatics 6:676-677. 

  6. Chang, S.C. 1973. Compounding of Luft's epon embedding medium for use in electron microscopy with reference to anhydride: Epoxide ratio adjustment. Mikroskopie 29:337-342. 

  7. Choi, G.S. 2001. Occurrence of two tobamovirus diseases in cucurbits and control measures in Korea. Plant Pathol. J. 17:243-248. 

  8. Choi, G.S., J.H. Kim, and J.S. Kim. 2003. Characterization of Melon necrotic spot virus isolated from muskmelon. Plant Pathol. J. 19:123-127. 

  9. Dahal, G., H. Lecoq, and S.E. Albrechtsen. 1997. Occurrence of papaya ringspot potyvirus and cucurbit viruses in Nepal. Ann. Appl. Biol. 130:491-502. 

  10. Diaz-Pendon, J.A., R. Fernandez-Munoz, M.L. Gomez-Guillamon, and E. Moriones, 2005.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Watermelon mosaic virus in Cucumis melo that impairs virus accumulation, symptom expression, and aphid transmission. Phytopathology 95:840-846. 

  11. Dukic, N., B. Krstic, I. Vico, N.I. Katis, C. Papavassiliou, and J. Berenji. 2002. Biolog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zation of viruses of summer squash crops in Yugoslavia. J. Agric. Sci. 47:149-160. 

  12. Enzie, W.D. 1943. A source of muskmelon mosaic resistance found in the oriental pickling melon, Cucumis melo var. conomon. Proc. J. Am. Soc. Hortic. Sci. 43:195-198. 

  13. Epel, B.L. 2009. Plant viruses spread by diffusion on ER-associated movement-protein-rafts through plasmodesmata gated by viral induced host ${\beta}$ -1,3-glucanases. Semin. Cell Dev. Biol. 20:1074-1081. 

  14. Grafton-Cardwell, E.E., T.M. Perring, R.F. Smith, J. Valencia, and C.A. Farrar. 1996. Occurrence of mosaic viruses in melons in the central valley of California. Plant Dis. 80:1092-1097. 

  15. Guilley, H., C. Wipf-Scheibel, K. Richards, H. Lecoq, and G. Jonard. 1994. Nucleotide sequence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luteovirus. Virology 202:1012-1017. 

  16. Juarez, M. 2004. First report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in Spain. Plant Dis. 88:907. (Abstr.) 

  17. Kim, J.S., S.H. Lee, H.S. Choi, G.S. Choi, J.D. Cho, and B.N. Chung. 2008. Survey of viral iseases occurrence on major crops in 2007. Res. Plant Dis. 14:1-9 (ln Korean). 

  18. Kim, J.S., S.H. Lee, H.S. Choi, M.K. Kim, H.R. Kwak, J.S. Kim, M. Nam, J.D. Cho, I.S. Cho, and G.S. Choi. 2012. 2007-2011 Characteristics of plant virus infections on crop samples submitted from agricultural places. Res. Plant Dis. 18:277-289. 

  19. Langmead, B. and S.L. Salzberg. 2012. Fast gapped-read alignment with Bowtie 2. Nat. Methods 9:357-359. 

  20. Lecoq, H. 1999. Epidemiology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p. 243-248. In: H.G. Smith and H. Barker (eds.). The Luteoviridae.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21. Lecoq, H., C. Desbiez, C. Wipf-Scheibel, and M. Girard. 2003. Potential involvement of melon fruit in the long distancedissemination of cucurbit potyviruses. Plant Dis. 87:955-959. 

  22. Lecoq, H., and C. Desbiez. 2012. Chapter 3 - Viruses of cucurbit crops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n ever-changing picture, p. 67-126. In: L. Gad and L. Herve (eds.). Adv. Virus Res. Academic Press. 

  23. Lemaire, O., W.D. Gubler, J. Valencia, H. Lecoq, and B.W. Falk. 1993. First report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in the United States. Plant Dis. 77:1169. (Abstr.) 

  24. Lee, J.H., J.K. Kwon, S.S. Park, Y.C. Huh, C.I. Lim, D.K. Park, and K.D. Ko. 2009. Effect of different rootstocks on wilting occurrence,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melon. Kor. J. Hort. Sci. Technol. 27:211-217. 

  25. Lee, J.Y., X. Wang, C. Weier, S. Ross, M. Shannon, C. Kirk, Z. Boris, W. Klaas van, Z. Chong, L. Hua, and L. Venkatachalam. 2011. A plasmodesmata-localized protein mediates crosstalk between cell-to-cell communication and innate immunity in Arabidopsis. Plant Cell 23:3353-3373. 

  26. Lee, J.Y. 2014. New and old roles of plasmodesmata immunity and parallels to tunneling nanotubes. Plant Science 221-222:13-20. 

  27. Li, H., B. Handsaker, A. Wysoker, T. Fennell, J. Ruan, N. Homer, and R. Durbin. 2009. The sequence alignment/map format and SAM tools. Bioinformatics 25:2078-2079. 

  28. McKenna, A., M. Hanna, E. Banks, A. Sivachenko, K. Cibulskis, A. Kernytsky, and M.A. DePristo. 2010. The Genome Analysis Toolkit: a Map reduce framework for analyzing next-generation DNA sequencing data. Genome Res. 20:1297-1303. 

  29. Mnari, H.M., J. Kummert, S. Russel, K. Ezzaier, A. Zouba, and M.H. Jijakli. 2005. First report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in Tunisia causing yellows on five cucurbitaceous species. Plant Dis. 89:776. (Abstr.) 

  30. Moon, J.H. 2001. Physiological responses of cucumber to root-zone temperature. PhD. Dis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31. NIAST.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32. Omar, A.F. and N.A. Bagdady. 2012.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in Egypt. Phytoparasitica 40:177-184. 

  33. Papayiannis, L.C., N. Ioannou, I.N. Boubourakas, C.I. Dovas, N.I. Katis, and B.W. Falk. 2005. Incidence of viruses infecting cucurbits in Cyprus. J. Phytopathol. 153:530-535. 

  34. Park D.K., S.H. Son, K.R. Do, W.M. Lee, and H.J. Lee. 2011. Effects of leaf chlorosis on the melon fruits and growing. Kor. J. Hort. Sci. Technol. 29:66-67. (Abstr.) 

  35. Rajamony, L., T.A. More, V.S. Seshadri, and A. Varma. 1987. Resistance to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in Muskmelon. Cucurbit Gen. Coop. Rep. 10:58-59. (Abstr.) 

  36. Ryu, S.H.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800-805. 

  37. Takeshita, S. 2004. Melons, p. 375-379. Vegetable gardening encyclopedia. Rural Culture Association Japan. 

  38. Tamura, K., G. Stecher, D. Peterson, A. Filipski, and S. Kumar.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2725-2729. 

  39. Tan, S.H., M. Nishiguchi, M. Murata, and F. Motoyoshi. 2000. The genome structure of kyuri green mottle mosaic tobamovirus and its comparison with that of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tobamovirus. Arch. Virol. 145:1067-1079. 

  40. Tomassoli L. and M. Meneghini. 2007. First report of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in Italy. Plant Pathol. 56:720. (Abstr.) 

  41. Vucurovic, A., A. Bulajic, I. Ekic, D. Ristic, J. Berenji, and B. Krstic. 2009. Presence and distribution of oilseed pumpkin viruses and molecular detection of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Pestic. Fitomed. 24:85-94. 

  42. Xiang, H.Y., Q.X. Shang, C.G. Han, D.W. Li, and J.L. Yu. 2008. Complete sequence analysis reveals two distinct poleroviruses infecting cucurbits in China. Arch. Virol. 153:1155-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