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덩굴쪼김병 저항성 멜론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대량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imple Mass-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Melon to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1 no.3, 2015년, pp.201 - 207  

이원정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장경수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최용호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김흥태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김진철 (전남대학교 응용생명공학부) ,  최경자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에 의해 발생하는 멜론 덩굴쪼김병의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멜론의 덩굴쪼김병 저항성 검정에는 대부분 뿌리 침지(root-dipping) 접종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접종과정이 번거로워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간편 저항성 검정법을 개발하기 위해 뿌리 침지, scalpel, tip 및 토양관주 방법으로 F. oxysporum f. sp. melonis 균주를 감수성 및 저항성 멜론 품종에 접종하여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멜론 품종들은 scalpel 방법과 tip 방법에서 뿌리 침지 방법에서와 같은 분명한 저항성과 감수성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tip 방법은 scalpel 방법보다 개체간의 발병도 차이가 약간 더 심하였으며 토양 관주 방법의 경우에는 감수성 멜론 품종들에서 덩굴쪼김병 발생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멜론 덩굴쪼김병의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을 위한 효율적인 접종 방법으로 scalpel 방법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scalpel 방법으로 접종할 때 접종 농도($1{\times}10^6$, $1{\times}10^7conidia/ml$)와 접종 후 재배 온도(25, $30^{\circ}C$)에 따른 멜론 품종들의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scalpel 방법으로 접종된 멜론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확립한 간편 검정법을 이용하여 시판 멜론 22개 품종의 덩굴쪼김병 저항성을 뿌리 침지 접종 방법과 비교하여 실험하여 이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멜론 덩굴쪼김병에 대한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법으로 멜론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pm}5^{\circ}C$)에서 7일 동안 재배한 유묘의 뿌리를 scalpel을 이용하여 상처를 준 후에 $1{\times}10^6conidia/ml$ 농도의 멜론 덩굴쪼김병균 포자현탁액을 포트 당 10 ml씩 관주하고 $25-30^{\circ}C$에서 약 3주일 동안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imple mass-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melon to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FOM). Root-dipping inoculation method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resistance of melon plants to Fusarium wilt. However, the inoculation method req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p. melonis에 의해 발생하는 멜론 덩굴쪼김병의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멜론의 덩굴쪼김병 저항성 검정에는 대부분 뿌리 침지(root-dipping) 접종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접종과정이 번거로워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본 연구는 멜론 덩굴쪼김병에 대한 간편하고 효율적인 대량 검정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저항성 정도가 다른 6개 품종 멜론에 멜론 덩굴쪼김병균 포자를 뿌리 침지(rootdipping), 토양 관주(soil-drenching), scalpel 및 tip 방법으로 접종하고 멜론 품종들의 덩굴쪼김병의 발생 및 저항성 정도를 비교하여 접종 방법으로 scalpel 접종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론 과일의 특징은? )은 주로 시설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국내 재배 면적이 급격히 증가되어 현재는 약 900 ha에 이르고 생산량은 약 26,000 MT이다(Seo 등, 2006). 멜론 과일은 육질이 부드럽고 즙이 많으며 특이한 맛과 향기가 있어 시설에서 재배되는 과일 중 최고로 꼽히고 있다(Kwon 등, 1999). 우리나라에서 멜론(C.
멜론 덩굴쪼김병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멜론 덩굴쪼김병(Fusarium wilt)은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FOM)에 의해 발생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멜론 재배에서 심각한 수량 손실을 일으키므로 이 병의 방제는 매우 중요하다(Beckman, 1987; Katan 등, 1994). 멜론 덩굴쪼김병균은 뿌리를 통해 유관속으로 침입하여 시들음 증상을 일으키면서 식물을 고사시킨다(Gordon과 Okamoto, 1990; Sherf와 Macnab, 1986).
멜론 덩굴쪼김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친환경 방제 방법은? 최근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하는 친환경 방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Yeo 등, 2013). 여러 환경친화적인 방제 방법 중 저항성 품종을 이용하거나 저항성 대목을 접목하여 재배하는 것이 멜론의 덩굴쪼김병 방제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1994; Traka-Mavrona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ckman, C. H. 1987. The nature of wilt diseases of plants. APS Press, St. Paul, MN. 

  2. Cohen, R., Katan, T., Katan, J. and Cohn, R. 1989. Occurrence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1,2 on muskmelon in Israel. Phytoparasitica 17: 319-322. 

  3. Freeman, S., Zveibil, A., Vintal, H. and Maymon, M. 2002. Isolation of nonpathogenic mutant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for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in cucurbits. Phytopathology 92: 164-168. 

  4. Gordon, T. R. and Okamoto, D. 1990. Colonization of crop residue by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and other species of Fusarium. Phytopathology 80: 381-386. 

  5. Herman, R. and Perl-Treves, R. 2007. Characterization and inheritance of a new source of resistance to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1.2 in Cucumis melo. Plant Dis. 91: 1180-1186. 

  6. Iori, I., Ohara, T., Namiki, F. and Tsuge, T. 2001. Isolation of pathogenicity mutant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by insertional mutagenesis. Gen. J. Plant Pathol. 67: 191-199. 

  7. Katan, T., Katan, J., Gordon, T. R. and Pozniak, D. 1994. Physiologic races and vegetative compatibility group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in Israel. Phytopathology 84: 153-153. 

  8. Kwon, J. H., Kang, S. W., Son, K. A., Bae, D. W. and Park, C. S. 1999. Gray mold rot on fruit of Cucumis melo var. reticulatus caused by Botrytis cinerea. Kor. J. Mycol. 27: 280-282. (In Korean) 

  9. Latin, R. X. and Snell, S. J. 1986. Comparison of methods for inoculation of muskmelon with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Plant Dis. 70: 297-300. 

  10. Lee, J. M. 1994. Cultivation of grafted vegetables I. Current status, grafting methods, and benefits. HortScience 29: 235-239. 

  11. Lee. W. J., Lee, J. H., Jang, K. S., Choi, Y. H., Kim, H. T. and Choi, G. J. 2015.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s for melon plants resistant to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Kor. J. Hort. Sci. Technol. 33: 70-81. (In Korean) 

  12. Matsumoto Y., Ogawara, T., Miyagi, M., Watanabe, N. and Kuboyama, T. 2011. Response of wild Cucumis species to inoculation with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1,2y. Jpn. J. Soc. Hort. Sci. 80: 414-419. 

  13. Namiki, F., Shiomi, T., Nishi, K., Kayamura, T. and Tsuge, T. 1998. Pathogenic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Japanese strain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Phytopathology 88: 804-810. 

  14. Park, M. S., Jang, K. S., Choi, Y. H., Kim, J.-C. and Choi, G. J. 2013. Simple mass-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ce of tomato to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Kor. J. Hort. Sci. Technol. 31: 110-116. (In Korean) 

  15. Park, S. D., Kwon, T. Y., Lim, Y. S., Jung, K. C. and Choi, B. S. 1996. Disease survey in melon, watermelon, and cucumber with different successive cropping periods under vinylhouse conditions. Kor. J. Plant Pathol. 12: 428-431. (In Korean) 

  16. Risser, G., Banihashemi, Z. and Davis, D. W. 1976. A proposed nomenclature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s and resistance genes in Cucumis melo. Phytopatholoy 66: 1105-1106. 

  17. Seo, S. T., Park, J. H., Lee, J. S., Han, K. S. and Cheong, S. R. 2006. Bacterial fruit blotch of melo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lant Dis. 12: 185-188. 

  18. Sherf, A. F. and MacNab, A. A. 1986. Fusarium wilt of muskmelon. In: Vegetable Diseases and Their Control 2nd ed., pp. 334-337. Wiley, New York . 

  19.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KSPP). 2009. Vegetables. In: List of plant disease in Korea 5th ed., eds. by W.-G. Kim and H. M. Koo, pp. 99-103. KSPP, Suwon, Korea. 

  20. Traka-Mavrona, E., Koutsika-Sotiriou, M. and Pritsa, T. 2000. Response of squash (Cucurbita spp.) as rootstock for melon (Cucumis melo L.). Sci. Hortic. 83: 353-362. 

  21. Yeo, K. H., Jang, Y. A., Kim, S., Um, Y. C., Lee, S. G. and Rhee, H. C. 2013. Eval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infection during seedling stage of three Cucurbitaceae vegetables. Protected Hort. Plant Fac. 22: 413-420. 

  22. Wellman, F. L. 1939. A technique for studying host resistance and pathogenicity in tomato Fusarium wilt. Phytopathology 29: 945-956. 

  23. Zhou, X. G. and Everts, K. L. 2007. Characterization of a regional population of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 by race, cross pathogenicity, and vegetative compatibility. Phytopathology 97: 461-469. 

  24. Zink, F. W., Gubler, W. D. and Grogan, R. G. 1983. Reaction of muskmelon germ plasm to inoculation with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2. Plant Dis. 67: 1251-12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