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덩굴쪼김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에 대한 저항성 멜론의 효율적인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령에서 채집한 덩굴쪼김병이 발생한 멜론으로부터 GR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동정 방법에 의해 그리고 오이, 멜론, 참외, 수박의 박과 작물에 대한 기주 특이성 조사를 통하여 GR 균주는F. oxysporum f. sp. melonis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4종 덩굴 쪼김병 race 판별품종들의 저항성 반응에 따라 GR 균주는 race 1임을 알 수 있었다. GR 균주의 접종원(소형분생포자)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실험한 6종 액체배지 중 V8-juice broth에서 가장 많은 포자가 형성되었다. 시판 중인 22개의 멜론 품종과 6개 멜론 재배용 대목 품종의 GR 균주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를 실험하였다. 실험한 멜론 품종 중 3개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은 다양한 정도의 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실험한 대목 품종들 모두에서는 덩굴쪼김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한 멜론 품종 중 GR 균주에 대한 저항성 반응에 차이를 보이는 6개 품종('레드퀸', '썸머쿨', '슈퍼세지', '아시아파파야', '얼룩파파야', '아시아황금')을 선발하여 멜론 생육시기, 뿌리 상처, 침지 시간, 접종원 농도 및 재배 온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로부터 멜론 품종들의 덩굴쪼김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멜론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pm}5^{\circ}C$)에서 7일 동안 재배한 유묘(떡잎 시기)를 뽑아 흙을 제거하고 뿌리 자르기와 같은 상처를 내지 않고 멜론 유묘의 뿌리를 $3{\times}10^5conidia/mL$ 농도의 F. oxysporum f. sp. melonis 포자현탁액에 30분 정도 침지하여 접종하고, 이를 새로운 토양에 이식하고 $25-28^{\circ}C$에서 약 3주일 동안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screening system to identify melon resistant to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F. oyxsporum f. sp. melonis GR was isolated from infected melon plants collected at Goryeong and identified as F. oxysporum f. sp. melonis based on morphological 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sp. melonis GR 균주의 접종원인 소형분생포자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V8-juice broth 배지에서 약 7일 동안 150rpm으로 진탕배양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론이란 어떤 작물에 속하는 식물인가? 멜론(Cucumis melo L.)은 박과 작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수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분이 탄수화물이며, 이 중 대부분은 가용성 당 성분이고 식이섬유도 소량 함유되어 있다. 수확하여 후숙을 시키면 단맛과 특이한 향기가 나는 것이 멜론의 주요 특징이다.
덩굴쪼김병균이 토양에 한 번 유입되면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덩굴쪼김병균은 식물의 뿌리로 침입한 후, 기주의 도관에 정착하여 식물에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고 결국 유묘나 성숙한 식물체가 고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병원균은 토양에 한 번 유입되면 끊임없이 생존하여 연작장애를 일으킨다(Banihashemi et al., 1975).
멜론의 성분은 무엇인가? 멜론(Cucumis melo L.)은 박과 작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수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분이 탄수화물이며, 이 중 대부분은 가용성 당 성분이고 식이섬유도 소량 함유되어 있다. 수확하여 후숙을 시키면 단맛과 특이한 향기가 나는 것이 멜론의 주요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nihashemi, Z. and D.J. DeZeeuw. 1975. The behavior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host plants. Phytopathology 65:1212-1217. 

  2. Bouhot, D. 1981. Some aspects of the pathogenic potential in formae speciales and races of Fusarium oxysporum on Cucurbitaceae, p. 318-326. In: P.E. Nelson, T.A. Toussoun, and R.J. Cook (eds.). Fusarium: disease, biology, and taxonom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ark. 

  3. Cafri, D., J. Katan, and T. Katan. 2005. Cross-pathogenicity between formae speciales of Fusarium oxysporum, the pathogens of cucumber and melon. J. Phytopathol. 153:615-622. 

  4. Cha, H.S., A.R. Youn, S.A. Lee, K.H. Kwon, B.S. Kim, and D.J. Choi. 2013. Effects of the initial storage temperature of a PA film-packaged muskmelon (Cucumis melo L.) during its storage. Kor. J. Food Preserv. 20:14-22. 

  5. Chun, J. 1995. Computer-assisted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Ph.D.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Newcastle upon Tyne, UK. 

  6. Cohen, R., T. Katan, J. Katan, and R. Cohn. 1989. Occurrence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1,2 on muskmelon in Israel. Phytoparasitica 17:319-322. 

  7.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783-791. 

  8. Freeman, S. and R.J. Rodriquez. 1993. A rapid inoculation technique for assessing pathogenicity of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 and F. o. melonis on cucurbits. Plant Dis. 77:1198-1201. 

  9. Freeman, S., A. Zveibil, H. Vintal, and M. Maymon. 2002. Isolation of nonpathogenic mutant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for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wilt in cucurbits. Phytopathology 92:164-168. 

  10. Geiser, D.M., M. del M. Jimenez-Gasco, S. Kang, I. Makalowska, N. Veeraraghavan, T.J. Ward, N. Zhang, G.A. Kuldau, and K. O'Donnell. 2004. FUSARIUM-ID v. 1.0: A DNA sequence database for identifying Fusarium. Eur. J. Plant Pathol. 110:473-479. 

  11. Gerlach, M. and W.J. Blok. 1988. Fusarium oxysporum f. sp. cucurbitacearum embracing all formae speciales of F. oxysporum attacking Cucurbitaceae. Neth. J. Plant Pathol. 94:17-31. 

  12. Jacobson, D.J. and T.R. Gordon. 1988. Vegetative compatibility and self-incompatibility within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Phytopathology 78:668-672. 

  13.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111-120. 

  14. Kuc, J. 1987. Plant immunization and its applicability for disease control, p. 255-273. In: I. Chet (ed.). Innovative approaches to plant disease control. John Wiley, New York. 

  15. Kuc, J. 1994.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 non-pesticide technology for disease control in plant, p. 511-518. In: D.L. Weigmann (ed.). Proc. 4th. Nat. Conf. pesticides. Blacksburg, Virginia. 

  16. Latin, R.X. and S.J. Snell. 1986. Comparison of methods for inoculation of muskmelon with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Plant Dis. 70:297-300. 

  17. Leary, J.V. and W.D. Wilbur. 1976. Identification of the race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causing wilt of muskmelon in California. Phytopathology 66:15-16. 

  18. Martyn, R.D. and T.R. Gordon. 1996. Fusarion wilt of melon, p. 14-15. In: T.A. Zitter, D.L. Hopkins, and C.E. Thomas (eds.). Compendium of cucurbit diseases.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Press, St. Paul, MN. 

  19. Matsumoto, Y., T. Ogawara, M. Miyagi, N. Watanabe, and T. Kuboyama. 2011. Response of wild Cucumis species to inoculation with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1,2y. J. Japan. Soc. Hort. Sci. 80:414-419. 

  20. Namiki, F., K. Shimizu, K. Satou, T. Hirabayashi, K. Nishi, T. Kayamura, and T. Tsuge. 2000. Occurrence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 1 in Japan. J. Gen. Plant Pathol. 66:12-17. 

  21. Namiki, F., T. Shiomi, K. Nishi, T. Kayamura, and T. Tsuge. 1998. Pathogenic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Japanese strains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Phytopathology 88:804-810. 

  22. Nelson, P. E., T.A. Toussoun, and W.F.O. Marasas. 1983. Fusarium species. An illustrated manual for identification. Pennsylvania State Univ. Press, University Park. 

  23. O'Donnell, K.O., E. Cigelnik, and H.H. Casper. 1998. Molecular phylogenetic, morphological and mycotoxin data support reidentification of the Quorn mycoprotein fungus as Fusarium venenatum. Fungal Genet. Biol. 23:57-67. 

  24. Owen, J.H. 1955. Fusarium wilt of cucumber. Phytopathology 45:435-439. 

  25. Risser, G., Z. Banihashemi, and D.W. Davis. 1976. A proposed nomenclature of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races and resistance genes in Cucumis melo. Phytopatholoy 66:1105-1106.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RDA, Suwon, Korea. 

  27. Thompson, J.D., D.G. Higgins, and T.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4673-4680. 

  28. Wagacha, J.M., U. Steiner, H.W. Dehne, S. Zuehlke, M. Spiteller, J. Muthomi, and E.C. Oerke. 2010. Diversity in mycotoxins and fungal species infecting wheat in Nakuru District, Kenya. J. Phytopathol. 158:527-535. 

  29. White, T.J., T. Bru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 315-322. In: M.A. Innis, D.H. Gelfand, J.J. Sninsky, and T.J. White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30. Zhou, X.G. and K.L. Everts. 2007. Characterization of a regional population of Fusarium oxysporum f. sp. niveum by race, cross pathogenicity, and vegetative compatibility. Phytopathology 97:461-469. 

  31. Zuniga, T.L., J.P. Jantz, T.A. Zitter, and M.M. Jahn. 1999. Monogenic dominant resistance to gummy stem blight in two melon (Cucumis melo) accessions. Plant Dis. 83:1105-1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