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280 - 292
송유길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윤은경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 연구소)
Purpose: In this study a system dynamics 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correlation and nonlinear feedback structure among factors affecting unplanned extubation (UE) of ICU patients and to construct and verify a simulation model. Methods: Factors affecting UE were identified through a theoretica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중환자실이란 무엇인가? | 중환자실은 중증의 환자에게 집중적이고 포괄적인 입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대부분은 호흡곤란이나 의식불명 상태로 기관내관을 유지하고 있다. 기관내관은 폐의 환기 유지, 기도 폐쇄 예방, 인공호흡기를 통한 환기 보조, 위 내용물로부터의 기도 보호, 폐 세척을 위한 기구 삽입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삽입되어 중환자의 생명을 보전하고 유지할 수 있는 주된 치료방법으로 이용된다[1,2]. | |
중환자실에서 비계획적 발관으로 인한 갑작스럽게 발생된 응급상황시 의료진은 무엇이 필요한가? | 또한, 갑작스럽게 발생된 응급상황으로 간호사들을 당황하게 하여 중환자실의 업무흐름과 치료계획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이에 중환자실 의료진은 환자의 기관내관 개방성과 정확한 위치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 필요하며, 비계획적 발관은 환자안전의 한 부분으로 중환자간호에서 질 지표 및 중요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계획적 발관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하여 고위험 환자 및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
기관내관의 특징은? | 중환자실은 중증의 환자에게 집중적이고 포괄적인 입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대부분은 호흡곤란이나 의식불명 상태로 기관내관을 유지하고 있다. 기관내관은 폐의 환기 유지, 기도 폐쇄 예방, 인공호흡기를 통한 환기 보조, 위 내용물로부터의 기도 보호, 폐 세척을 위한 기구 삽입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삽입되어 중환자의 생명을 보전하고 유지할 수 있는 주된 치료방법으로 이용된다[1,2]. 환자의 기도유지나 폐 기능 및 혈역학적 기능을 포함한 전신 상태가 호전되면 의료진에 의해 계획적으로 기관내관의 발관이 시도되나[3], 치료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처치나 치료 시 또는 환자가 움직이는 동안 우연히 기관내관이 이탈되거나 환자 스스로가 제거하여 발생되는 비계획적 발관이 일어나기도 한다[4]. |
Yang HJ. Comparison of planned extubation and self-extubation of intubated patients in ICU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2011.
Moons P, Sels K, De Becker W, De Geest S, Ferdinande P. Development of a risk assessment tool for deliberate self-extubation in intensive care patients. Intensive Care Medicine. 2004;30(7):1348-1355. http://dx.doi.org/10.1007/s00134-004-2228-2
Listello D, Sessler CN. Unplanned extubation. Clinical predictors for reintubation. Chest. 1994;105(5):1496-1503.
Moons P, Boriau M, Ferdinande P. Self-extubation risk assessment tool: Predictive validity in a real-life setting. Nursing in Critical Care. 2008;13(6):310-314.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08.00305.x
Yeh SH, Lee LN, Ho TH, Chiang MC, Lin LW. Implications of nursing care in the occurrence and consequences of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4;41(3):255-262. http://dx.doi.org/10.1016/s0020-7489(03)00136-6
de Lassence A, Alberti C, Azoulay E, Le Miere E, Cheval C, Vincent F, et al. Impact of unplanned extubation and reintubation after weaning on nosocomial pneumonia risk in the intensive care unit: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Anesthesiology. 2002;97(1):148-156.
Choi YK, Kim KS.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ICU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02;9(1):74-89.
Tanios MA, Epstein SK, Livelo J, Teres D. Can we identify patients at high risk for unplanned extubation? A large-scale multidisciplinary survey. Respiratory Care. 2010;55(5):561-568.
de Groot RI, Dekkers OM, Herold IH, de Jonge E, Arbous MS. Risk factors and outcomes after unplanned extubations on the ICU: A casecontrol study. Critical Care. 2011;15(1):R19. http://dx.doi.org/10.1186/cc9964
Koo BN, Koh SO, Kwon TD. Predictors for reintubation after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multidisciplinary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3;18(1):20-25.
Richmond AL, Jarog DL, Hanson VM.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critical care. Qua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 payoff. Critical Care Nurse. 2004;24(1):32-37.
Kim DH, Moon TH, Kim DH. System dynamics. Seoul: Dae Young Co.; 1999.
Jang K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Kim DH. A simulation method of causal maps: NUMBER.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2000;1(2):91-111.
Kim SW. Systems thinking and scenario planning. Cheongju: CBNU Press; 2010.
Tung A, Tadimeti L, Caruana-Montaldo B, Atkins PM, Mion LC, Palmer RM, et al. The relationship of sedation to deliberate self-extubation.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2001;13(1):24-29.
Chang LC, Liu PF, Huang YL, Yang SS, Chang W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nplanned endotracheal self-extubation of hospitalized intubated patients: A 3-year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Applied Nursing Research. 2011;24(3):188-192. http://dx.doi.org/10.1016/j.apnr.2009.09.002
Curry K, Cobb S, Kutash M, Diggs 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unplanned extubation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8;17(1):45-51.
Razek T, Gracias V, Sullivan D, Braxton C, Gandhi R, Gupta R, et al. Assessing the need for reintubation: A prospective evaluation of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The Journal of Trauma. 2000;48(3):466-469.
Choi EH, Kim JH, Park MH, Lee JY. The comparison of the unplanned extub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fixing the endotracheal tube.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2):7-16.
Birkett KM, Southerland KA, Leslie GD. Reporting unplanned extuba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5;21(2):65-75. http://dx.doi.org/10.1016/j.iccn.2004.07.012
Kim HJ.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xtubation in MICU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5.
Hofso K, Coyer FM. Part 1. Chemical and physical restraints in the management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CU: Contributing factor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7;23(5):249-255. http://dx.doi.org/10.1016/j.iccn.2007.04.003
Chang LY, Wang KW, Chao YF. Influence of physical restraint on unplanned extubation of adult intensive care patients: A case-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8;17(5):408-415.
Balon JA. Common factors of spontaneous self-extubation in a critical car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rauma Nursing. 2001;7(3):93-99. http://dx.doi.org/10.1067/mtn.2001.117769
Atkins PM, Mion LC, Mendelson W, Palmer RM, Slomka J, Franko T.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ho self-extubate from ventilatory support: A case-control study. Chest. 1997;112(5):1317-1323.
Kim JS, Lee ES, Park JH. Effect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of new method to secure endotracheal tub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49-5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