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국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적응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Korean Dietary Adaptation in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2, 2015년, pp.234 - 245  

아사노가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시현 (배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adaptation. An in-person survey was conducted by a research institute on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en, having one child or more aged 1~6 years old, and having resided in Korea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한국문화에 잘 적응하고 건강한 식행동을 하는 중국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 식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식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계획 시 식생활적응 관련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이들의 한국 문화적응 및 식행동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또한 한국문화에 잘 적응하고 건강한 식행동을 하는 중국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 식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적응을 위한 지원이나 관련 프로그램 계획 시 그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식생활적응과 유의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수준, 월평균 가구소득, 한국 거주기간 등 개별특성에 대한 고려를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중국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 식생활적응에 따른 한국 문화적응, 건강한 식행동, 식생활 실태, 한국 이주 후 식습관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 식생활적응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 1년 이상 거주하였고 만 1~6세의 미취학 자녀를 한 명 이상 둔 중국인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총 30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에 1년 이상 거주하였고, 만 1~6세의 미취학 자녀를 한 명 이상 둔 중국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국 식생활적응에 따른 한국 문화적응, 건강한 식행동, 식생활 실태, 한국 이주 후 식습관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 식생활적응의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중국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적응도는 5점 척도로 측정한 평균값인 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적응 정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국 문화적응, 식생활 실태, 건강한 식행동, 한국 이주 후 식습관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한국 식생활적응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문지의 일반사항에 대한 문항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중국 여성결혼이민자의 일반사항에 대한 문항은 민족,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 월평균 가구소득, 한국 거주기간으로 구성되었다.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음식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여성가족부의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Jeon et al 2013)'에 의하면 여성결혼 이민자·귀화자의 약 56%는 한국인 남편과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였으며, 문화적 차이를 경험한 이들 중 절반에 가까운 47%는 식습관에서 가장 큰 문화적 차이를 느끼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Kim et al(2011a)도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가 필리핀이나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한국 음식적응에 어려움을 겪은 정도가 덜하긴 하지만, 한국음식이 너무 맵고 맛과 향이 익숙지 않거나 싫어서 등의 이유로 한국 음식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약 32%는 주 2~3회 이상 식사를 거르고 이 중 15%는 매일 한 끼를 거르고 있는데, 끼니를 거르는 주요 이유로 음식이 입맛에 맞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에서 보다 많은 등 한국 식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et al 2011a).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5%, 필리핀 9.2% 순으로 중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ano K, Yoon J, Ryu SH (2014)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9: 317-327. 

  2. Barry DT (2001) 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acculturation: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 (EAAM). J Immigr Health 3: 193-197. 

  3. Berry J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 5-34. 

  4. Cha SM, Bu SY, Kim EJ, Kim MH, Choi MK (2012) Study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J Korean Diet Assoc 18: 297-307. 

  5. Choi HJ (2009)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ted women in Korea. Korean J Soc Welfare 61: 163-194. 

  6. Dela Cruz FA, Lao BT, Heinlein C (2013) Level of acculturation, food intake, dietary changes, and health status of first-generation Filipino Americans in Southern California. J Am Assoc Nur Practitioners 25: 619-630. 

  7. Han GS (2006) Family life and cultural encounter of foreign wives in rural area. Korean Soc Cult Anthropol 39: 195-243. 

  8. Han YH, Shin WS, Kim JN (2011) Special them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19: 115-159. 

  9. Hyun KJ, Kim YS (2011) Development of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ealth Soc Welf Rev 31: 63-100. 

  10. Jeon KT, Chung HS, Kim YS, Kim YR, Joo JS, Kim HY, et al (2013) A study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ort No.: 2012-59. 

  11. Jeong MJ, Jung EK, Kim AJ, Joo N (2012) Nutrition knowl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Diet Assoc 18: 30-42. 

  12. Kim HR, Paik SH, Jung HW, Lee AR, Kim E (2011a)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needs for nutrition services, and development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port No.: 2011-67. 

  13. Kim JE, Kim JM, Seo SH (2011b)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44: 312-325. 

  14. Kim JM, Lee HS, Kim MH (2012)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 into Korea through marriage. Korean J Nutr 45: 159-169. 

  15.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5: 405-418. 

  16. Kim KH (2012) Survey on status of dietary life adapting and needs of dietary education on multi-cultural couples: In Busan area. Ph D Dissertation Pusan University, Busan, pp 25. 

  17.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14: 22-30. 

  18.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07-815. 

  19. Lesser IA, Gasevic D, Lear SA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acculturation and dietary patterns of South Asian immigrants. PLoS One 9: e88495. 

  20. Lim EM, Jeong SJ, Lee SJ (2010)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s cultural adaptation types and acculturation stress. Korean J Counseling 11: 957-973. 

  21. Liu A, Berhane Z, Tseng M (2010) Improved dietary variety and adequacy but lower dietary moderation with acculturation in Chinese women in the United States. J Am Diet Assoc 110: 457-462. 

  22. Lv N, Cason KL (2004) Dietary pattern change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J Am Diet Assoc 104: 771-778. 

  23. Oh KS (2010) Marital conflict in relation with dietary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Ph D Dissertation Jeonbuk University, Jeonbuk. pp 40-44. 

  24. Rosenmoller DL, Gasevic D, Seidell Jaap, Lear SA (2011) Determinants of changes in dietary patterns among Chinese immigrants: A cross-sectional analysis. Int J Behav Nutr Phys Activ 8: 1-8. 

  25. Satia-Abouta J, Patterson RE, Neuhouser ML, Elder J (2002) Dietary acculturation: Applications to nutrition research and dietetics. J Am Diet Assoc 102: 110-518. 

  26. So J, Han SN (2012)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17: 589-602. 

  27. Statistics Korea (2014) Marriage divorce statistics 201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Accessed on May 2. 2014. 

  28. Tseng M, Wright DJ, Fang CY (2014) Acculturation and dietary change among Chinese immigrant women in the United States. J Immigr Minor Health in press. 

  29. Tserendejid Z, Hwang J, Lee J, Park H (2013) The consumption of more vegetables and less meat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acculturation among Mongolians in South Korea. Nutr Res 33: 1019-1025. 

  30. Yang OK, Kim YS, Lee BH (2007) A study on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foreign wives in Seoul. Seoul Stud 8: 229-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