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8 no.5, 2015년, pp.285 - 290
정순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부품소재연구소) , 이승윤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The phase change memory material is an active element in phase change memory and exhibits reversible phase transition behavior by thermal energy input. The doping of the phase change memory material with Ga leads to the increase of its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the improvement of its amorphou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상 변화 메모리 재료에 새로운 원소인 Ga를 첨가하였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가? | 이 재료들은 이미 상 변화 메모리 소자에 적용되어 상 변화 메모리 재료로서의 적합성이 검증되었으나, 상 변화 메모리가 플로팅 게이트 기반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대등한 수준의 성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보다 더 성능이 향상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 변화 메모리 재료에 새로운 원소를 주입(doping)하거나 또는 그 구성 원소를 다른 원소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상 변화 메모리 재료에 첨가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원소들 중에서 Ga은 칼코겐 및 닉토겐 원소에 인접한 3A 족에 속하는 원소로서 상 변화 메모리 재료의 결정화 온도 상승 [5] 및 비정질 안정성 개선 [6,7]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상 변화 메모리란? | 상 변화 메모리(phase change memory)는 그 소자를 구성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재료의 상 변화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하나이다. 상 변화 메모리 재료는 인가되는 에너지 크기에 따라 비정질 상과 결정 상 사이에서 가역적인 상전이를 하게되며, 비정질 상과 결정 상은 각각의 비저항 또는 광학상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상 변화 메모리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 |
상 변화 메모리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모리 구현이 가능한 이유는? | 상 변화 메모리(phase change memory)는 그 소자를 구성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재료의 상 변화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하나이다. 상 변화 메모리 재료는 인가되는 에너지 크기에 따라 비정질 상과 결정 상 사이에서 가역적인 상전이를 하게되며, 비정질 상과 결정 상은 각각의 비저항 또는 광학상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상 변화 메모리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상 변화 메모리 재료를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photonic network의 구성 요소인 스위치 소자 [1,2]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갖는 상 변화 메모리 재료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
S. Lee, S. Jung, S. Yoon, and Y. S. Park, J. Non-Cryst. Solids, 358, 2405 (2012).
H. Tsuda, Proc. Symposium on Phase Change Optical Information Storage (The Society of Phase Change Recording, Atami, Japan, 2007) p. 39.
J. Akola and R. O. Jones, Phys. Rev. B, 76, 235201 (2007).
S. Raoux, M. Salinga, J. L. Jordan-Sweet, and A. Kellock, J. Appl. Phys., 101, 044909 (2007).
D. Z. Dimitrov, C. Babeva, S. Cheng, W. Hsu, M. Hsieh, and S. Tsai, Proc. SPIE 5380 (SPIE, Monterey, USA, 2004) p. 487.
H. Cheng, K. Kao, C. Lee, and T. Chin, IEEE Trans. Mag., 43, 927 (2007).
L. Pieterson, M. Schijndel, and J.C.N. Rijpers, Appl. Phys. Lett., 83, 1373 (2003).
Y. Kajikawa and S. Noda, Appl. Surf. Sci., 245, 281 (2005).
P. Sigmund, Phys. Rev., 184, 383 (1969).
S. Lee, Y. Park, S. Yoon, S. Jung, and B. Yu, J. Electrochem. Soc., 155, H314 (2008).
R. W. Olesinski and G. J. Abbaschian, Bulletin of Alloy Phase Diagrams, 6, 258 (1985).
R. C. Krutenat and W. R. Gesick, J. Vac. Sci. Technol., 7, S40 (197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