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남성복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 주디스 버틀러의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
Gender Identity Expression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 Focus on Judith Butler's Gender Identity Theory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3, 2015년, pp.47 - 61  

김현정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ess functions as a clear boundary between gender differences In the past. However dress in the 21st century, due to movement of feminism during the 1960's, advance of mass media and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he boundary of gender differences has been blurred. Especially in men's fashion,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성성과 남성복식의 변화 양상을 역사적 고찰을 통해 결과와 버틀러의 젠더 이론을 바탕으로 남성의 젠더를 분류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의 컬렉션과 패션 잡지 광고, www.firstview.com 등의 인터넷 검색 사이트의 사진 자료를 통해 사례 조사를 하여 남성복에 나타난 젠더 표현의 방식과 내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들의 남성성 변화에 따른 남성복식의 특징을 역사적 흐름을 통해 살쳐보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남성의 젠더를 분류하여 분류한 젠더를 기준으로 2000년대 이후 남성복식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조사하고 여기서 드러나는 암시적 의미를 연구하는 것이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남성성의 표현을 전통적인 젠더 관습에 도전하는 방식이자 개인의 취향을 표현하는 방법의 하나로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열린 사고로 남성 복식이 다양하고 창의적인 형태로 창출될 수 있도록 다양화된 젠더 정체성의 특징이 반영된 디자인을 위한 표현 양상과 함축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들의 남성성 변화에 따른 남성복식의 특징을 역사적 흐름을 통해 살쳐보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남성의 젠더를 분류하여 분류한 젠더를 기준으로 2000년대 이후 남성복식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조사하고 여기서 드러나는 암시적 의미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틀러가 말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사회 규범의 결과는 무엇인가? 버틀러는 이러한 성 정체성의 일치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사회 규범의 결과라고 말한다. 그것은 반복 속에서 일시적인 주체를 구성하는 행위이자, 몸이며, 담론적 규제이다. 주체는 본질적으로 근원적인 존재로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양식, 육체의 양식, 담론의 양식 속에서 수행적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성(sex)과 성별(gender)의 구분은? 성(sex)과 성별(gender)의 구분은 페미니즘과 관련이 있는데 성은 남성과 여성간의 생물학적 차이를 말하며, 성별은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에 대한 사회적 분류를 의미한다. 생물학적 육체가 성을 결정하지만 문화의 산물인 남성성과 여성성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여성과 남성의 복식이 혼재되는 원인은? 21세기 패션은 전통적인 성 역할의 변화와 함께 여성과 남성의 복식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의 원인은 성 역할의 변화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혁명 이후 서구 사회의 성 역할에 대한 이분법적인 사고는 1차 세계대전 이후 여권 신장 운동에서 시작된 페미니즘, 매스미디어의 발달, 포스트 모더니즘 등의 영향으로 점차 와해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S. H. & Lee, K. H. (2000). The analysis of the transitional aspect of gender expressed in the later 20th centu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5), 86-97. 

  2. An, H. J. (2006).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expression in the contemporary men'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9(2), 77-91. 

  3. Baek, S. J. (2014). From gay to queer. The Journal of modern British & American language & literature, 32(1), 235-258. 

  4. Cho, H. S. (2001). Judith Butler's gender identity theory : Focused on parody, performativity, subjection, and melancholia. Feminist Stidies in English Literature, 9(1), 179-207. 

  5. Cho, H. S. (2006). Gender and the other as seen through the eyes of queer. The Journal of Asian Women, 45(2), 315-322. 

  6. Choi, K. H. (2009). Sex in fashion. Seoul, Republic of Korea: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Ltd. 

  7. Chung, S. H. & Yang, S. H. (2004). The study on Drag queen's and Drag king'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54(7), 135-150. 

  8. Joanne, E. (2013). The fashioned body. (G. H. Choi,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anSung University Press.(Original work published 2000). 

  9. Judith, B. (2008). Gender trouble. (H. S. Cho, Trans.).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MUNHAKDONGNE Publishing Corp.(Original work published 1990) 

  10. Kim, C. Y. (2007). A gender characteristic in comtemporary men'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1. Kim, C. Y, Je Kai, M. & Lee, Y. H. (2010). Gender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rosexual and ubersexua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60(7), 1-13. 

  12. Kim, H. L. (2013). Nazism and homosexuality. Seoul, Republic of Korea: Moonji Publishing Co.,Ltd. 

  13. Kim, M. J. (2004). Lectures on costume aesthetics 2 [복식미학강의 2].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Kyomunsa. 

  14. Kwon, G. Y. (2004). The study of ambiguous sex identity appearing in fashion advertisements.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00-111. 

  15. Lee, H. J. & Kim, H. A. (2009). A study on the pink color image expressed in the 21th century men's fashion.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8(4), 891-902. 

  16. Lee, M. S. (2003). Power and aesthetic images in men's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2), 177-192. 

  17. Lee, M. S. & Kim, M. J. (2012). The characteristic of the clothing behavior of gay men according to gay identity: Focusing on the drama 'queer as fol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6), 1-18. 

  18. Lipovetsky, D. (1999). L'empire de l'ephemere. (D. J.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oonye.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19. Min, G. S. (2011). How to read the gender theory of Judith Butler.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16(1), 1-17. 

  20. Park, S. J. & Yim, E. H. (2013). Discourse on the male body represented in fashion advertis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6), 29-39. 

  21. Kate, S. & Ruth A. S. (2005). Fashion and clothing: The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of gay identity.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3(4), 310-323. 

  22. Simone de Beauvoir (1992). Le Deuxieme sexe(4). (H. Y.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Dongsuhpress. 

  23. Shin, H. D.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feminism on modern fashion photograph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4. Soe, E. H. (2005). A study on sexual identity in men'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 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5. Song, M. J. & Chae, K. S. (2000). The aspects of sex expression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2), 133-144. 

  26. Yun, G. H. (1998). Sex culture and psychology. Seoul, Republic of Korea: Hak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