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2, 2015년, pp.277 - 288  

최정인 (한국교원대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 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a)에서는 미래 지식 기반 사회에서 과학 교육의 방향이나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가진 인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내용을 언급하며, 창의성 신장을 과학교육목표에 포함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동시에 이를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교육의 정수(精髓)라 할 수 있다. 2009년 12월에 최초 고시된 2009 개정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초· 중등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 중등학교에서 편성, 운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으로 그 성격을 규정짓고 있어 교육과정의 실현에 따라 공교육의 전개 양상이 크게 영향을 받음을 가늠하여 볼 수 있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는 이전 교육목표분류체계의 어떠한 한계점을 보완하였나? 교육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Bloom et al. (1956)의 교육목표분류체계는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순의 누적적인 단일 체계를 가지고 있어 실제 적용 시 한계가 있음을 지적받아 왔다(Anderson et al., 2000/2005; Kreitzer Madaus, 1994; Ormell,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derson, L. W., Krathwohl, D. R., Airasian, P. W., Cruikshank, K. A., Mayer, R. E., Pintrich, P. R., Rath, J., & Wittrock, M. C. (2005).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Kang, H., Kang, Y., Kwon, D., Park, Y., Lee, W., Cho, Y., Joo, D., & Choi, H. Trans.) Boston: Pearson.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2.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1: Con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3. Bybee, R. W., Powell, J. C., & Trowbridge, L. W. (2008).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ment scientific literacy, 9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4. Cho, H., Kim, H., Yoon, H., & Lee, K. (2014). Science Education. Seoul: Kyoyookgwahaksa. 

  5. Cho, Y., Seong, J., Chae, J., & Koo, S. (200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 307-328. 

  6. Choi, K., Cho, Y., & Cho, D. (1998). A Study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Observ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2), pp. 149-160. 

  7. Deno, S. L., & Jenkins, J. R. (1969). On the behaviorality of behavioral objectives. Psychology in the Schools, 6(1), 18-24. 

  8.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W.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9. Ha, S., & Kwack, D. (2008).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 a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by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3), 591-612. 

  10.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11. Kang, K., & Lim, S. (2010). Analysis of the cognitive domain in the science textbooks' questions. - Focused on “Materials” in the 7th grade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4(2), 125-132. 

  12. Kim, E. C., & Kellough, R. D. (1991). A Resource Guide for Secondary School Teaching. New York: Macmillan. 

  13. Kim, H. (2002). The Review of Educational Objective Theory, Analysis of Unit Objective and Proposal of Objective Statement Metho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1), 1-21. 

  14. Kim, N. (200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 Focused in life science cont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5. Kim, S. (2013). The Study on the Changing Possibility of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Knowledge Sequence.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7(1), 69-95. 

  16. Kim, S., Baek, S., & Chae, S. (1998). A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in national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1(1), 47-73. 

  17. Kim, Y., Lee, H., & Shin. A. (2007). Classificati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5), 570-579. 

  18. Kim, Y., Yoon, K., & Kwon, D. (2010).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 164-174. 

  19.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20. Kreitzer, A., & Madaus, G. (1994). "Empirical Investigation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Taxonony" In Anderson, L. and Sosniak, L.(Eds.) Bloom's Taxonomy: A Forty Year Retrospective. Chicago: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21. Lee, E., Shin, M., & Choi, C. (2012). Analys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1-12. 

  22. Lee, G., & Yoo, T. (2011). Analysis of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3), 53-68. 

  23. Lee, H. (2007).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4. Lee, S. & Paik, S. (2013). Suggestion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rchimede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30-45. 

  25. Marsh, C. (1992). Key Concept for Understanding Curriculum Development. Paris: UNESCO. 

  26. Matthews, M. R. (2014). Science teaching :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Kwon, S., Song, J., & Park, J. Trans.). London: Routledge.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27. Marzano, R. J. (2005).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Kang, H., Kang, Y., Kwon, D., Park, Y., Lee, W., Cho, Y., Joo, D., & Choi, H. Trans.). CA: Corwin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28.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a). A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b).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the MEHRD.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3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 General Statement. Notification No. 2009-41 of the M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2. Ormell, C. P.(1994). Bloom's Taxonomy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17, 3-18. 

  33. Park, I., & Kang, S. (2011).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314-327. 

  34. Pintrich, P. R. (2002). The Role of Metacognitive Knowledge in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THEORY INTO PRACTICE, 41(4), 219-225. 

  35. Seo, Y. (2013). A Critical Review on Statement Form of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6, 417-450. 

  36. Shin, J., & Cho, C. (2008). The Statement of Geography Instruction Objectives and the Creation of Evaluation Questions Based on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6(2), 129-144. 

  37. Wang, S., Baek, S., & Choi, S. (1999). Research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tools on the National Curriculum. RRE 1999-4-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8. Wee, S., Kim, B., Cho, H., Sohn, J., & Oh, C. (2011). Comparis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2007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7th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1), 10-21. 

  39. Ministry of Education. (2014, September 24). Announcement for main respect of 2015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Retrieved December 14, 2014, from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 view.do?bbsId294&pageSize10¤tPage3&encodeYnY&boardSeq 56874&modeview. 

  40.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2014, December 14). NGS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from http://www.nextgenscience.org/sites/ngss/iles/Final%20Release%20NGSS%20Front%20Matter%20-%206.17.13%20Update_0.pdf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