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지역단위 사회경제지표를 활용한 경전철 역별 수요분석 방안 연구 - 실증분석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Light Railway Transit Ridership using Socio-economic Data Based on Block Group Level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8 no.2 = no.87, 2015년, pp.166 - 174  

이광섭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엄진기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문대섭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박철 (Myongji University) ,  신종진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초록

직접수요모형은 전통적 4단계 수요예측방법론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기본구상단계에 적합한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읍면동 기준보다 약 1/24 공간적 크기를 가진 소지역(집계구)단위 사회경제지표를 활용하여 지방 광역권 12개 도시철도 노선을 대상으로 직접수요모형을 구축하여 예측수요를 실적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하지만 통계적 분석에 의존하는 직접수요모형은 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승차인원 예측에 한계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승차인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내고 각 영향인자들의 표준화 및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전철 노선 54개 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여 역 특성 기초자료 수집, 분석, 보정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경전철 역을 대상으로 제안된 방안의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향후 직접수요모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rect demand model requires relatively little analysis time and incurs a low cost. It is also known to be useful for the preliminary screening of promising configurations or concepts. This study reviews direct demand models of 12 existing urban railways using demographic data based on a block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영향계수를 54개 경전철 역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가 Table 5에 정리되어 있다. 단, 여기서 제시된 영향 계수를 절대적인 값으로 추정하기는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노선의 역 특성과 실제 승차인원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된 영향계수와 식(3)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역별 수요방안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선행연구에서는 통계적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 경제 지표 외에 토지이용, 지하철 역세권 특성, 서비스관련 지표 등 다양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나 장래의 다양한 지표(특히 동일한 공간적 단위를 가진 데이터)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취득하기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득이 용이한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고 사회경제지표의 분석단위를 행정동보다 더 세밀한 소지역 단위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지역간 철도 또는 특정 지하철 노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더미변수를 활용하여 지방 광역권별 특성을 반영하였고, 특히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전철 노선을 대상으로 역별 승차인원과 역세권의 공간적 특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4단계 수요예측방법론보다 분석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도시철도 기본구상 또는 연구개발 단계에서 실효성이 없는 사업의 선별에 유용한 직접수요모형과 적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방 광역 대도시권 도시철도 노선을 대상으로 기존 읍면동 기준의 데이터보다 공간적 범위가 세밀한 통계청 소지역단위 사회경제지표 통계를 활용하여 직접수요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철도 건설 기본구상 단계 또는 연구개발 초기단계에서 실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모형을 구축하고 역별 특성을 반영한 수요추정 보정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비교적 자료취득이 쉽고 자료의 객관성이 보장되는 통계청 소지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도시 규모의 중전철 및 경전철 시스템에 적합한 직접수요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장에서는 앞에서 검토된 직접수요모형을 활용한 도시철도 수요예측의 한계인 역별 예측수요 오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특히,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그 동안 실증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경전철 노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오차 보정방안 마련을 위해 현장실태조사 및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도시철도 건설 기본구상 단계 또는 연구개발(R&D)단계에서 중소도시 규모의 도시철도 시스템에 적절한 직접수요모형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 4단계 수요 추정 방법론이란 무엇인가? 전통적 4단계 수요 추정 방법론은 직관적이고 설명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교통계획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하지만, 교통존(행정동 단위)별 사회경제지표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그리고 교통수단간 분담률 추정 과정에서 예측수요와 수송실적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 행정동 내에 2개 이상의 역이 존재할 시 도시철도 역별 수요분석 결과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1].
전통적 4단계 수요 추정 방법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전통적 4단계 수요 추정 방법론은 직관적이고 설명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교통계획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하지만, 교통존(행정동 단위)별 사회경제지표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그리고 교통수단간 분담률 추정 과정에서 예측수요와 수송실적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 행정동 내에 2개 이상의 역이 존재할 시 도시철도 역별 수요분석 결과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1].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단계별 파라미터 보정 및 검증, 분석대상 지역의 존 세분화 등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분석을 위해 많은 예산과 시간이 요구된다.
전통적 4단계 수요예측방법론과 비교했을때 직접수요모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직접수요모형은 전통적 4단계 수요예측방법론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기본구상단계에 적합한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읍면동 기준보다 약 1/24 공간적 크기를 가진 소지역(집계구)단위 사회경제지표를 활용하여 지방 광역권 12개 도시철도 노선을 대상으로 직접수요모형을 구축하여 예측수요를 실적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Y. Shon, B.W. Kwon, M.H. Lee (2004) Modelling the subway demand estimation by station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categ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2(1), pp.33-42. 

  2. FHA, UMTA (1977) An introduction to urban travel demand forecasting-a self-instructional text,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pp.1-198. 

  3. C. Chung, S.G. Kim, C.S. Kim (2007) A comparison study on fare and time elasticity on intercity rail travel dem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7(5), pp.547-553. 

  4. H.J. Kim, C.M. Jung (2010) Development of a direct demand estimation model for forecasting of railroad traffic demand,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hangwon, 10, pp.1-13. 

  5. D.O. Kim, C.K. Park, H.G. Choi, J.W. Lee (2004) Modelling the passenger demand estimation for urban rail transi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 service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4(6), pp.863-872. 

  6. H.G. Sung, D.J. Kim, J.H. Park (2008) Impacts of land use and urban design characteristics on transit ridership in the Seoul rail statio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6(4), pp.135-147. 

  7. Y.I. Moon, J.H. Rho (2011) An empirical analysis o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OD design factors in Seoul subway adjacent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3(4), pp.211-220. 

  8. L. Usvyat, L. Meckel, M. DiCarlantonio, C. Lane (2009) Sketch model to forecast heavy-rail ridership, TRB Conference of 88th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pp.1-19. 

  9. C. Lane, M. DiCarlantonio, L. Usvyat (2006) Sketch models to forecast commuter and light rail ridership: Update to TCRP Report 16,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86, pp.198-210. 

  10. N. Marshall, B. Grady (2006) Sketch transit modeling based on 2000 Census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86, pp.182-189. 

  11. R. Cervero (2006) Alternative approaches to modeling the travel-demand impacts of smart growth,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3), pp.285-295. 

  12. M. Kuby, A. Barranda, C. Upchurch (2004) Factors influencing light-rail station boardings in the United Stat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8, pp.223-247. 

  13. R.M. Pendyala, I. Ubaka, N. Sivaneswaran (2002) Development of a GIS-based regional transit feasibility analysis and simulation tool, 81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pp.1-29. 

  14. R. Cervero, J. Murakami, M.A. Miller (2009) Direct ridership model of bus rapid transit in Los Angeles County, Working Paper, UC Berkeley Center for Future Urban Transport, UC Berkeley., pp.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